$\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수현 홈드라마의 장르문법과 젠더 이데올로기 <엄마가 뿔났다>를 중심으로
Category Grammar and Gender Ideology of the Su-Hyeon Kim's Home-drama Focused on <Mom's dead upse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11, 2010년, pp.102 - 112  

유진희 (동아방송예술대학 방송콘텐츠학부 방송극작과)

초록

본 연구는 학문적 연구 대상에서 소외돼온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에 관한 후속 연구로,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 홈드라마와 멜로드라마라는 장르 개념을 구축한 김수현 작가 홈드라마의 장르 차별성과 이데올로기 경향성을 논하고 있다. 김수현 작가의 멜로드라마에 관한 선행 연구에 이어 홈드라마 장르 연구를 시도한 첫 번째 목적은 기능주의적 사회규범 잣대의 편협한 단편적 평가를 재고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페미니즘 시각에 매몰된 평가에 의해서 김수현 홈드라마가 가부장 이데올로기를 옹호한다는 평가를 재고하기 위해서이다. 이 같은 평가야말로,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 연구의 부재라는 현실의 반증이기도 하다. 2008년 화제작 <엄마가 뿔났다>를 중심으로 한 연구 분석 결과, 김수현 작가의 홈드라마 장르문법은 안정적, 변동적 서사 전략을 적절히 융합, 구사함으로써 대중적 소구력을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가족과 중층적 인물 구성, 일상성을 기초로 한 사실주의와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가족애의 주제 의식의 안정적 장르 관습에 시대상을 반영한 1대 가부장의 변화, 2대 전업주부의 역할 변화, 3대 결혼 풍속도의 변화라는 변동적 서사전략을 융합 구사함으로써 장르문법의 차별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연구 대상 드라마의 갈등 유형과 갈등 관련 젠더 역할 분석 결과, 김수현 작가는 홈드라마 장르를 통해 그간의 남성 지배 가부장 젠더 이데올로기에 관한 진보적, 보수적 경향성 논의 보다는 그 저변에 자리한 작가의식, 즉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에 붕괴돼 가는 인간성의 회복과 사랑과 이해,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가족애를 지향하는 인본주의적 경향성을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he secondary full-scale research of a TV drama writer, who has been out of scholarly pursuits. This study examines the Su-Hyeon Kim's differential and tendency in home-drama genre, who has been constructing a general idea of TV drama genre, namely a home-drama, and a melodrama. The p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드라마의 페미니즘 연구 역시 여성중심 기능주의적 평가로, 단순화하면 평등한 성 구현을 위해 드라마가 얼마나 일조했는가 여부를 연구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작가자체의 젠더 이데올로기 의식 저변에 깔려있는 전체 경향성을 논하기에는 편협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김수현 작가의 젠더 이데올로기 경향성을 논하는데 있어 페미니즘 이론에 기반을 둔 여성중심 기능주의 평가를 제한하는 대신, 김수현 작가가 지향하는 젠더 이데올로기가 무엇인지를 규명코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의 텍스트 중심적 접근을 통한 김수현 작가 홈드라마의 서사전략과 그 차별성을 논하고, 아울러 맥락 중심적 접근을 통한 젠더 이데올로기의 경향성을 논함으로써, 김수현 작가의 통합체적인 연구를 할 것이다.
  • 따라서 김수현 작가론에 있어서 홈드라마 장르 안에서 작가 스스로 답습하고 있는 관습은 무엇인지, 관습 속의 변형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작업은 멜로드라마에서 보여준 작가만의 차별성, 경향성, 작품성이 홈드라마에도 적용가능한 지를 가늠하는 주효한 작업이 될 것이다. 또한 그 지위와 영향력만큼이나 기능주의적 사회규범 비평의 잣대에만 머물러 호불호(好不好) 정도의 평가에 그침으로써, 40년 동안 지속적인 대중적 소구력을 지녀온, 방송 역사상 유례를 찾기 힘든 김수현 작가에 대한 논의를 본격적 학문적 연구 대상으로 삼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과도 부합하게 될 것이다.
  • 본 고 역시 를 중심으로 김수현 작가가 홈드라마 장르에서 보여준 역사성을 분석함으로써, 앞서 언급한 되풀이된 장르 관습에 어떤 변동성을 스스로 구현하고 있는지 살펴보기로 하겠다.
  • 본 논문은 지금껏 학문적 연구 대상에서 소외돼 온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에 관한 본격적 연구로, 김수현 작가에 관한 선행 연구(“김수현 멜로드라마의 장르문법과 성 이데올로기”: “내 남자의 여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1호, pp175-183, 2009)에 관한 후속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특히 김수현 작가의 젠더 이데올로기 경향성 논의에 앞서 젠더 이데올로기와 관련한 미디어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앞서 제기한 김수현 작가에 대한 기능주의적 사회규범 비평 잣대의 문제점을 심도있게 논의하기 위해서이다.
  • 본 연구는 특히 김수현 작가의 젠더 이데올로기 경향성 논의에 앞서 젠더 이데올로기와 관련한 미디어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앞서 제기한 김수현 작가에 대한 기능주의적 사회규범 비평 잣대의 문제점을 심도있게 논의하기 위해서이다. 즉 김수현 작가의 홈드라마가 멜로드라마에 비해 상대적으로 후한 평가를 받았다는 사실은 기능주의적 사회규범 기준에 부합했다는 반증이고, 이 같은 평가는 사회의 지배적 이데올로기인 가부장적 젠더 이데올로기에 저항하는 대신 유지, 혹은 강화의 역할을 김수현 홈드라마가 기여한다고 인식한 때문이다.
  • 하지만 본 연구는 앞서 언급한 대로 페미니즘 시각의 젠더 이데올로기 연구가 작가의식의 총체성을 다루기에는 편협하다는 점을 다시 상기하며, 에서 구현된 이상적 가부장 남성이 작가의 보수적 시각, 즉 남성 지배적 젠더 이데올로기를 옹호 내지는 가부장체제로의 회귀를 생산하는 메커니즘이라기보다는 김수현 작가의 자본주의 이데올로기 속에 매몰되고 있는 인본주의 경향성을 지적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엄마가 뿔났다는 어떤 작품인가? <엄마가 뿔났다>는 드라마 제목이 각종 사회 현안과 연관돼 패러디 될 정도로 화제가 된 국민드라마이다. 또한 <엄마가 뿔났다>는 <사랑이 뭐길래>(1991~1992, MBC), <목욕탕집 남자들>(1995~1996, KBS), <내 사랑 누굴까>(2002, KBS), <부모님 전상서>(2005, KBS)를 잇는 김수현 작가의 홈드라마로, 김수현 작가 홈드라마의 전형성인 3대, 4대가 함께 모여 사는 ‘대가족체제’가 반복 설정돼 있는 작품이다.
김수현 작가가 드라마 작가로 데뷔한 작품은? 김수현 작가는 본격적 드라마 작가 데뷔작인 일일드라마 <새엄마>(MBC, 1972~1973)1) 이후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는 작품 활동을 통해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홈드라마’와 ‘멜로드라마’ 라는 장르 개념을 가져온 작가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이같이 대별(大別)되는 작품 세계는 김수현 작가에 관한 평가 역시 크게 나눠지게 만들어, 임학송(2001) 경우 “홈드라마를 쓸 땐 시청자 공히 예찬의 박수를 받았지만, 멜로드라마의 경우는 어느 드라마건 윤리적인 면에서 매도를 당했다”며 “김수현 작가 홈드라마는 TV용이지만, 멜로드라마는 영화용으로 간직해야 할 것[1]”이라고 평가할 정도다.
원용진은 구조주의의 어떤 점을 지적했는가? 원용진(1997)은 구조주의 언어학의 랑그(langue)와 파롤(parole)의 역학관계를 통해 장르를 고착화된 것으로 보는 위험성을 지적한다. 즉 구조주의는 언어의 구조나 체계를 갖춘 랑그에 비해 개인적 언어사용 스타일을 지칭하는 파롤을 하위에 둔 채, 공시적(synchronic) 연구에만 치우침으로써, 항상 긴장관계에 있게 되는 랑그와 파롤의 관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고 지적한다. 원용진은 이런 랑그와 파롤의 관계를 통해 장르 내에 존재 하는 자체 내 변동성을 장르(Genre) 대 장르(genre)로 표현한다[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한국방송비평회, 방송비평의 실제, 한울아카데미, p.282, 2001. 

  2. 원용진, “장르변화로 읽는 사회”, 언론과 사회, 제16호, pp.100-133, 1997. 

  3. 토마스 샤츠, 한창호, 허문영 역, 헐리우드 장르의 구조, 한나래, 1995. 

  4. 박승현, 이윤진, “장르의 속성에 대한 고찰”, 언론과학연구, 제24권 1호, pp.78-107, 2007. 

  5. S. Neale, “Questions of genre", Screen, Vol.31, No.1, pp.45-66, 1990, 주창윤,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분류 기준에 대한 연구” 방송연구, 겨울호, pp.105-136, 2004, p.108에서 재인용. 

  6. G. Murdock, “Fabrication fictions: Approaches to the study of television drama production", Communication, Vol.6, pp17-33, 1980, 김훈순, 박동숙, “TV 드라마 여성작가 연구”, 언론과 사회, 제4권, pp.149-189, 1999, p.154에서 재인용. 

  7. 김응숙, “텔레비전 드라마 의 담론분석”, 언론과 사회, 제7권, pp.130-161, 1995. 

  8. 김훈순, 김명혜, “텔레비전 드라마의 가부장적 서사전략”, 언론과 사회, 제12권, pp.6-50, 1996. 

  9. 김명혜, 김훈순, “여성이미지의 정치적 함의: 텔레비전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38호, pp.203-248, 1996. 

  10. 하윤금, “멜로드라마의 이성애적 서사구조에 대한 해석: 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연구, pp307-335, 1999. 

  11. 백선기, 김승희, “텔레비전 드라마의 갈등 표출과 이데올로기적 의미: 드라마 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기호학연구, 제10권, pp.157-195, 2001. 

  12. 송명희, “ 에 나타난 가족 이데올로기와 젠더의식”, 우리어문연구, 제26집, pp.121-139, 2006. 

  13. 조항제, 홍찬이, 강승화, 문소영, “텔레비전 멜로드라마에서 나타나는 가족 표현의 변화: 와 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21-6호, pp.574-617, 2007. 

  14. T. Rosemary, 이소영 역, 페미니즘 사상, p.15, 한신문화사, 1995. 

  15. 김포천 외 3인 엮음, 김수현 드라마에 대하여, pp.40-42, 솔, 1998. 

  16. 최영묵, 주창윤, ,개정판 텔레비전 화면깨기, 한울아카데미, pp.142-144, 2003. 

  17. http://www.kshdrama.com/ 

  18. http://www.kshdrama.com/ 

  19. 김포천 외 3인 엮음, 김수현 드라마에 대하여, pp.236-249, 솔, 1998. 

  20. 원용진, “장르변화로 읽는 사회: 인기드라마 과 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통권16호, pp.100-133, 1997. 

  21. 박승현, 이윤진, “장르의 속성에 대한 고찰”, 언론과학연구, 제24권 1호, pp.78-90. 2007. 

  22. 조항제, 홍찬이, 강승화, 문소영, “텔레비전 멜로드라마에서 나타나는 가족 표현의 변화: 와 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21-6, p.596. 2007. 

  23. 송명희, “ 에 나타난 가족 이데올로기와 젠더의식”, 우리어문연구, 제26집, pp.135-136,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