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소아의 2차성 야뇨증의 흔한 원인 중 하나로 당뇨병이 알려져 있으나 당뇨병 환아의 야뇨증은 고혈당으로 인한 다뇨의 증세로만 생각되어 이의 진단이 늦어질 수 있다. 아직까지 당뇨병 환아의 야뇨증 유병률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 바가 없어 이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대구지역 3개 대학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는 소아당뇨환자 중 전화설문조사에 응한 117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아의 성별, 나이, 당뇨병 발병시 나이, 당뇨병 치료 전과 후의 야뇨증 빈도, 빈뇨, 급뇨등의 증상 동반 여부, 수면 동안의 각성도, 당뇨병 진단과 최근의 HbA1c, 야뇨증에 대한 치료여부 및 치료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야뇨증은 1달 이상 지속된 최소 주 1회 이상의 불수의적인 야뇨증상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 : 당뇨병 환아를 야뇨증군과 비야뇨증군군으로 나누었다. 117명 중 32명(27.0%)이 야뇨증군으로, 낮동안 소변횟수가 야뇨증군($4.2{\pm}1.6$회)에서 비야뇨증군($3.6{\pm}1.2$회)에 비하여 많았다(P=0.016). 진단시 HbA1c는 야뇨증군과 비야뇨증군에서 $12.0{\pm}2.3%$$12.0{\pm}2.5%$였고, 추적 검사한 HbA1c는 $9.3{\pm}2.3%$$8.3{\pm}2.3%$으로 야뇨증 지속군에서 높았다(P=0.042). 인슐린 투여량은 $1.1{\pm}0.5$$1.1{\pm}0.4$ units/kg/day로 차이가 없었다. 수면 동안의 각성도는 두 군 모두에서 3단계인 '아이의 이름을 크게 부르거나 알람소리를 울리면 잠에서 깬다'가 10명(31.3%)와 35명(41.2%)로 가장 많았으나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야뇨증 환아중 10명(31.3%)이 단일증상성 야뇨증(monosymptomatic enuresis, MNE) 이었고, 22명(68.8%)이 비단일증상성 야뇨증(non-monosymptomatic enuresis, non-MNE) 이었다. 야뇨증 환아 중 당뇨병 치료 후에도 14명(12.0%)의 환아는 야뇨증상이 지속되었고 이 중 5명은 MNE이었고, 9명은 non-MNE였다. 진단시 HbA1c는 $11.1{\pm}2.5$, $12.4{\pm}2.1$으로 non-MNE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P =0.144). 치료 전 야뇨횟수는 야뇨증 지속군에서 $4.4{\pm}1.9$회/주이었고 야뇨증 호전군에서 $4.0{\pm}1.2$회/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면 동안의 각성도는 야뇨증 지속군과 야뇨증 호전군에서 각각 $3.3{\pm}1.2$, $2.5{\pm}1.0$로 야뇨증 호전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59). 결 론 : 소아당뇨병환자에서 야뇨증의 유병률은 정상아동에서 보다 높았으며, 혈당조절이 충분치 못한 경우 야뇨증 경향을 보였다. 야뇨증이 소아의 심리안정 및 정서발달에 미치는 악영향을 고려할 때, 소아당뇨병 환자에서 야뇨증의 진단 및 적절한 치료에 대한 관심 고조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Diabetes mellitus (DM) is known as one of the common causes of secondary enuresis in children. However, enuresis in diabetic children is overlooked only as a symptom of polyuria due to hyperglycemia. We evaluated the prevalence of nocturnal enuresis in children with diabetes mellitus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직까지 당뇨병 환아의 야뇨증 유병률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 바가 없어 이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단과 최근의 HbA1c, 야뇨증에 대한 치료여부 및 치료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야뇨증은 1달 이상 지속된 최소 주 1회 이상의 불수의적인 야뇨증상으로 정의하였다.
  • 본 연구는 후향적 방법으로 소아와 청소년의 집단을 대상으로 당뇨병의 치료에 따른 야뇨증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 목 적: 소아의 2차성 야뇨증의 흔한 원인 중 하나로 당뇨병이 알려져 있으나 당뇨병 환아의 야뇨증은 고혈당으로 인한 다뇨의 증세로만 생각되어 이의 진단이 늦어질 수 있다. 아직까지 당뇨병 환아의 야뇨증 유병률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 바가 없어 이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야뇨증을 동반하는 질환은 무엇이 있는가? 야뇨증은 신체적 이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매우 드물어 세심한 문진, 신체검사와 소변검사 등의 기본 검사만으로 충분한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혼합성 야뇨증, 절박뇨, 빈뇨와 신경병증 등이 의심이 되는 경우에는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위하여 기본 검사 외에도 필요한 여러 가지 추가 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18]. 야뇨증을 동반하는 질환의 감별에는 요로감염, 변비, 방광출구폐색, 외요도구협착, 척수질환, 수면무호흡증후군, 요붕증, 당뇨병과 주의력 결핍 과다활동 장애 등이 있으며, 또한 당뇨병은 증상이 있거나 혈당의 조절이 불량할 때에는 고장성 다뇨에 의해 야뇨증을 보는 경우가 있다[19].
야뇨증의 정의는 무엇인가? 야뇨증은 5세 이상의 소아에서 수면 중에 요실금이 있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1]. 일차성 야뇨증은 태어나서 현재까지 야뇨증이 지속되고 있는 경우이고 이차성 야뇨증은 최소한 6개월 이상 야뇨증이 없다가 다시 야뇨가 발생하는 경우이며, 일차성에 비해 동반된 질환이 많고 정신적인 원인이 더 동반된다[2, 3].
대구지역 3개 대학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는 소아당뇨환자 중 전화설문조사에 응한 117명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제한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설문지의 구성에 따라 증상이나 치료방법 등에서 설문지에 누락된 항목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 둘째, 보호자의 기록에 의한 답변으로 객관성이 부족할 수 있다는 점과 셋째, 당뇨병의 치료 후 야뇨증 환자의 경과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Neveus T, von Gontard A, Honbeke P, Hjamas K, Bauer S, Bower W et al. The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of lower urinary tract func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 Report from the standardization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children's continence society. J Urol 2006;176:314-24. 

  2. Fergusson DM, Horwood LT, Shannon FT. Secondary enuresis in a birth cohort of New Zealand children. Paediatric Perinat Epidemiol 1990;4:53-63. 

  3. von Gontard A, Hollmana E, Eiberg H, Benden B, Rittig S, Lehmkuhl G. Clinical enuresis phenotypes in familial nocturnal enuresis. Scand J Urol Nephrol Suppl 1997;183:11- 6. 

  4. Van Gool JD, Nieuwenhuis E, ten Doeschate IOM, Messer TP, de Jong TPVM. Subtypes in monosymptomatic nocturnal enuresis. Scand J Urol Nephrol Supple 1999;202:8- 11. 

  5. Norgaard JP, Pedersen EB, Djurhuus JC. Diurnal anti-diuretic hormone levels in enuretics. J Urol 1985;134:1029-31. 

  6. Lackgren G, Hjalmas K, Gool JV, Gontard AV, Gennaro MD, et al. Nocturnal enuresis: a suggestion for a European treatment strategy. Acta Pediatr 1999;88:679-90. 

  7. Report of the Expert Committee on the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1997;20:1183-97. 

  8. Ferrara P, Rigante D, D'Aleo C, Schiavino A, Emmanuelle V, Marrone G, et al. Preliminary data on monosymptomatic nocturnal enuresi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Scand J Urol Nephrol 2006; 40:238-40. 

  9. Muntoni S, Fonte MT, Stoduto S, Marietti G, Bizzarri C, Crino A, et al. Incidence of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among Sardinian-heritage children born in Lazio region, Italy. Lancet 1997;349:160-2. 

  10. Santiago JV. Clinical report: intensive management of insulin dependent diabetes: risks, benefits and unanswered questions. J Clin Endocrinol Metab 1992;75:977-82. 

  11. Yeung CK. Nocturnal enuresis (bedwetting). Curr Opin Urol 2003;13:337-43. 

  12. Roche EF, Menon A, Gill D, Hoey H. Clinical presentation of type 1 diabetes. Pediatr Diabetes 2005;6:75-8. 

  13. Jefferson IG, Smith MA, Baum JD. Insulin dependent diabetes in under 5 year olds. Arch Dis Child 1985: 60:1144-8. 

  14. Ferusson DM, Horwood LJ, Shannon FT. Factors related to the age of attainment of nocturnal bladder control: An 8-year longitudinal study. Pediatrics 1986;78:884-90. 

  15. Neveus T. Diagnosis and management of nocturnal enuresis. Curr Opin Pediatr 21: 199-202. 

  16. Butler RJ, Heron J. The prevalence of infrequent bedwetting and nocturnal enuresis in childhood, A large British cohort. Scand J Urol Nephr 2008;42:257-64. 

  17. Geffken GR, Williams LB, Silverstein JH, Monaco L, Rayfield A, Bell, SK. Metabolic control and nocturnal enuresis in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J Pediatr Nursing 2007;22:4-8 

  18. Kim WB, Kim KD. The Epidemiology of Childhood Enuresi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Korean J Urol 1998;39:1166-70. 

  19. Park YH.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nocturnal enuresis. J Korean Pediatr Soc 2002;45:425-34. 

  20. Koff SA. Enuresis. In : Walsh PC, Retik AB, Stamey TA, Vaughan ED Jr. editors. Campbell's Urology, 6th ed. Philadelphia : WB Saunders Co, 1992:1621-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