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0세 이상 여성의 요실금 유병률, 1회 배뇨량, 잔뇨량, 빈뇨 및 야뇨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Single Voided Volume, Post Void Residual Volume, Daytime Frequency, and Nocturia in Women over 40 Year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5 no.6, 2013년, pp.679 - 689  

김옥분 (21세기 병원) ,  윤혜상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prospectiv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UI), voided volume, post void residual volume (PVRV), daytime frequency and nocturia in women over 40 years. Methods: The sample comprised of 302 women over 40 years.The study lasted from February 20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요실금 유병률을 조사하고, 요실금 유무에 따른 나이, 체질량지수, 1회배뇨량, 잔뇨, 주간배뇨빈도, 야뇨빈도와 요실금점수를 비교하고, 이러한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요실금의 설명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전향적 관찰 연구이다.
  • 요실금의 설명요인에 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나이, 출산, 체질량지수, 폐경 및 질병과의 관련성을 다룬 반면 본 연구는 나이 및 체질량지수 이외에 잔뇨량, 1회배뇨량, 주간배뇨 빈도 및 야뇨 등의 배뇨 관련 생리적 변수와의 관련성을 탐색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이가 요실금의 설명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 Devore, Minassian와 Grodstein (2013), 그리고 Senturk과 Kara (2012)의 연구결과와도 유사하다.
  • , 2003) 임신 및 출산 관련하여 요실금 발생 위험도가 높아지므로(Santos & Santos, 2011) 30~40세부터 요실금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교통사고 환자로써 요실금과 관련하여 치료를 받은 적이 없는 40대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요실금 유병률, 요실금 인지율, 요실금 유무에 따른 1회 배뇨량, 잔뇨, 주간배뇨빈도와 야뇨를 조사하고, 요실금에 대한 설명요인을 탐색하여 요실금 간호중재를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압성 요실금군은 절박성 요실금군 및 혼합성 요실금군과 비교하여 1회배뇨량이 많으나 주간배뇨빈도와 야뇨가 적은 이유는 무엇인가? 복압성 요실금군은 절박성 요실금군 및 혼합성 요실금군과 비교하여 1회배뇨량이 많으나 주간배뇨빈도와 야뇨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복압성 요실금은 골반저근의 약화로 복압이 상승할 때 요실금이 발생하고, 절박성 요실금은 방광근의 비정상적 수축과 절박요의로 요실금이 발생한다는 점에서(Lee, 2005)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의 원인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절박성 요실금군과 혼합성 요실금군의 1회 배뇨량이 각각 183 mL와 189 mL로 나타나 절박성 요실금자의 1회 배뇨량을 197 mL로 보고한 Yoon 등(2003)의 연구결과와도 거의 유사하다.
요실금이란 무엇인가? 요실금이란 “본인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불수의적으로 소변이 누출되는 것으로(Abrams et al., 2002) 직접적으로 생명을 위협하지는 않지만 일종의 만성질환을 경험하고 있는 것과 같은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Cheung, Chan, Yiu, Lee, & Chung, 2012).
절박성 요실금의 특징은 무엇인가? 요실금은 절박성 요실금, 복압성 요실금과 혼합성 요실금 등으로 분류한다. 절박성 요실금은 요의를 참기가 어렵고 빈뇨와 함께 방광이 비정상적으로 수축하면서, 그리고 복압성 요실금은 기침이나 재치기 등으로 복압이 올라가면서 불수의 적으로 요실금이 되는 것으로 정의하며, 혼합성 요실금은 긴박성 요실금과 복압성 요실금이 함께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Abrams et al., 2002; Lee,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brams, P., Cardozo, L., Fall, M., Griffiths, D., Rosier, P., Ulmsten, U., et al. (2002). The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of lower urinary tract function. Report from the standardization sub-committee of the ICS. Neurourology and Urodynamics, 21 (2), 167-178. http://dx.doi.org/10.1002/nau.10052 

  2. Al-Shaikh, G., Larochelle, A., Campbell, C. E., Schachter, J., Baker, K., & Pascali, D. (2009). Accuracy of bladder scanning in the assessment of postvoid residual volume.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31 (6), 526-532. 

  3. Basak, T., Uzun, S., & Arslan, F. (2012). Incontinence features, risk factors, and quality of life in Turkish women presenting at the hospital for urinary incontinence.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39 (1), 84-89. http://dx.doi.org/10.1097/WON.0b013e31823efd47 

  4. Cheung, R. Y., Chan, S., Yiu, A. K., Lee, L. L., & Chung, T. K. (2012).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is impaired and comparable to women with chronic diseases. Hong Kong Medical Journal, 18 (3), 214-220. 

  5. Choi, K., Park, E., & Lee, I. S. (2012). Homebound status and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age in female elders in the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 (2), 291-301. http://dx.doi.org/10.4040/jkan 

  6. Committee on Technical Bulletins of the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1996). Urinary incontin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Gynaecology and Obstetrics, 52 (1), 75-86. 

  7. Devore, E. E., Minassian, V. A., & Grodstein, F. (2013). Factors associated with persistent urinary incontinence.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9 (2), 145, e1-6. http://dx.doi.org/10.1016/j.ajog.2013.05.002. 

  8. Gehrich, A., Stany M. P., Fischer, J. R., Buller, J., & Zahn, C. M. (2007). Establishing a mean postvoid residual volume in asymtomatic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Obstetrics & Gynecology, 110 (4), 827-832. 

  9. Huang, A. J., Brown, J. S., Boyko, E. J., Moore, E. E., Scholes, D., Walter, L. C., et al. (2011). Clinical significance of postvoid residual volume in older ambulatory women.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9 (8), 1452-1458.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11.03511.x 

  10. Jura, Y. H., Townsend, M. K., Curhan, G. C., Resnick, N. M., & Grodstein, F. (2011). Caffeine intake, and the risk of stress, urgency and mixed urinary incontinence. The Journal of Urology, 185 (5), 1775-1780. http://dx.doi.org/10.1016/j.juro.2011.01.003 

  11. Kim, M. S., & Lee, S. H. (2008). Prevalence rate and associated factors of urinary incontinence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1), 92-100. http://dx.doi.org/10.4040/jkan 

  12. Kim, U. H., Kim, Y. H., & Kim, M. E. (2004). The prevalence and quality of life of overactive bladder and urinary incontinence in young women. Korean Journal of Urology, 45 (6), 543-550. 

  13.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0). Population /Household. Retrieved March 1, 2013, from http://stat.mw.go.kr/front/statDB/statDBView.jsp?menuId11&nPage2&sttsDa taSeq119&subjCdB00001&mmrlDate&schSttsNm 

  14. Larsson, G., & Victor, A. (1988). Micturition patterns in a healthy female population, studied with a frequency/volume chart. Scandinabica Journal of Urology & Nephrology, 114 (suppl), 53-57. 

  15. Lee, J. G. (2005). Diagnosis and treatment of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48 (4), 354-374. http://dx.doi.org/10.5124/jkma.2005.48.4.354 

  16. Lee, Y. S. (1994). A Study on stress incontinence in wom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4 (1), 12-23. 

  17. Madersbacher, S., Pycha, A., Klingler, C. H., Mian, C., Djavan, B., Stulnig, T., et al. (1999). Interrelationships of bladder compliance with age, detrusor instability, and obstruction in elderly men with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Neurourology and Urodynamics 18 (1), 3-15. 

  18. Madersbacher, S., Pycha, A., Schatzl, G., Mian, C., Klingler, C. H., & Marberger, M. (1998). The aging lower urinary tract: A comparative urodynamic study of men and women. Urology, 51 (2), 206-212. 

  19. Milleman, M., Langenstroer, P., & Gurainick, M. L. (2004). Postvoid residual urine volume in women with overactive bladder symptoms. International Urology of Journal 172 (5 Pt 1), 1911-1914. http://dx.doi.org/10.1097/01.ju.0000140502.34334.75 

  20. Oh, S. J., Park, W. H., Park, C. H., Paick, J. S., Seo, J. T., Lee, Y. S., et al. (2003).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and incontinence-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women: A population-based study. Journal of Korean Continence Society 7 (2), 73-80. 

  21. Santos, C. R., & Santos, V. L. (2011). Prevalence of self-reported double incontinence in the urban population of a Brazilian city. Neurourology and Urodynamics, 30 (8), 1473-1479. http://dx.doi.org/10.1002/nau.21116 

  22. Senturk, S., & Kara, M. (2012). Risk factors and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in postmenopausal women living in Turkey. Clinical and Experimental Obstetrics & Gynecology, 39 (1), 69-71. 

  23. Sung, W., You, H, Yoon, T. Y., & Lee, S. J. (2012). Socioeconomic costs of overactive bladder and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Korea. International Neurourology Journal, 16 (1), 23-29. http://dx.doi.org/10.5213/inj.2012.16.1.23 

  24. Timur-Tashan, S., Beji, N. K., Aslan, E., & Yalcin, O. (2012). Determining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and associated risk factors in young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Gynaecology and Obstetrics, 118 (1), 27-30. http://dx.doi.org/10.1016/j.ijgo.2012.01.021 

  25. Tseng, L. H., Liang, C. C., Chang, Y. L., Lee, S. J., & Lloyd, L. K. (2008). Postvoid residual urine in women with stress incontinence. Obstetrics and Gynecology of Journal, 27 (1), 48-51. 

  26.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2, March).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Urinary incontinence in adults. Washington DC: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 

  27. Van Haarst, E. P., Heldeweg, E. A., Newling, D. W., & Schlatmann, T. J. (2004). The 24-h frequency-volume chart in adults reporting no voiding complaints. Urology of Journal, 93 (9), 1257-1261. 

  28. Viktrup, L. (2005). Addressing the need for a simpler algorithm for the management of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Medscape General Medicine, 7 (3), 62. 

  29. Weiss, J. P., Blaivas, J. G., Stember, D. S., & Brooks, M. M. (1998). Nocturia in adults: Etiology and classification. Neurourology and Urodynamics, 17 (5), 467-472. 

  30. Yoon, H. S., Song, H. H., & Ro, Y. J. (2003). A comparison of effectiveness of bladder training and pelvic muscle exercise on female urinary incontin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0 (1), 45-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