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빛과 어둠의 대비와 통합에 나타난 공간의 지각과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gnition and Perception of Space through Contrast and Integration of Light and Darkness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19 no.5 = no.82, 2010년, pp.3 - 10  

김종진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실내건축설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history of art and architecture, there ar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relationship between light and space. Among them, two characteristics seem to be fundamental : The first is that contrast between light and darkness is more articulated. Direct sunlight penetrates into the dark interior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중국의 종교 미술은 중세에 기독교 미술이 그랫떤 것처럼 불타니 중국의 사상가들의 전설을 이야기한다든가 특정한 교리를 가르치기보다는 명상의 실천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서 쓰이게 되었을 것이다. ...그것은 어떤 특수한 교훈을 가르치거나 단순한 장식으로서가 아니라 깊은 사색의 소재를 마련하기 위해서였다.
  • 즉' 세계를 현상적으로 체험할 때, 언어적 개념과 관념의 틀에 의해 '빛' 이라고 지각하기도 하고 '어둠'이라고 지각하기도 한다. 그러면 미술사, 건축사에서 빛과 어둠을 어떻게 관념화하고 미학적으로 표현하였는가 하는 것을 두 가지의 서로 다른 경향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 본 논문은 서로 다른 빛과 어둠의 관계적 경향을 고찰하여 세계인식에 관한 다양성을 제시하는데 궁극적 목적이 있다. 3장에서의 두 경향의 비교는 문화적 배경을 바탕에 깔고 있으나 4장의 공간지각구조의 분석에서는 비교문화를 극복하여 존재와 세계 인식화 과정에 나타나는 보다 본질적인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이 가지는 의의는 바로 이러한 빛과 어둠을 인식하고 관념화하는 두 가지의 경향을 함께 고찰함으로써 존재, 공간, 세계를 인식하는 다양성과 특수성을 논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빛과 어둠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대표적인 두 가지의 경향을 중심으로 그 철학적, 미학적 배경과 건축공간에서 의 지 각구조의 특성을 비 교 분석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회화나 공간에서 빛을 논할 때 빛 자체의 속성만이 분석되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본 연구는 빛의 투사 방식과 그로 인해 발생되는 공간과의 관계, 그리고 그것을 체험하는 경험자의 지각이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구축되어지는가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이것은 궁극적으로 빛과 어둠이 어떻게 관념화되는지와 그러한 관념이 어떻게 미술 및 건축공간에 표현되었는지의 비 교를 통해서로 다른 공간, 즉 세 계 인식 의 다양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빛과 어둠이라는 근본적인 주제는 공간을 계획하고 구축하는데 있어서 깊이 있는 성찰이 필요한 본질적 주제이다.
  • 있다. 일반적으로 회화나 공간에서 빛을 논할 때 빛 자체의 속성만이 분석되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본 연구는 빛의 투사 방식과 그로 인해 발생되는 공간과의 관계, 그리고 그것을 체험하는 경험자의 지각이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구축되어지는가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가설 설정

  • 다시 동굴로 돌아와 사람들에게 자신이 본 것을 이야기 하지만 동굴 속의 사람들은 태양 빛의 존재를 믿지 못한다.$ 동굴 속의 어둠은 무지하고 혼란스러운 인간 인식의 한계를 드러내는 것이고 동굴 밖의 태양빛은 본질의 세계를 드러내는 이데아로서의 빛이다. 이러 한빛과 어둠의 대립적 성향은 서양철학과 미학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종교적 개념들에서도 일관되게 발견된다.
  • 막스 피카르트(Max Picard)는 말과 침묵의 관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한다. «말이 그치는 곳에서 침묵은 시작된다. 시작이 아니라 말이 비로소 분명해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rnheim, Rudolf, Art and Visual Perception, 김춘일 역, 미술과 시지각, 미진사, 1995 

  2. Arnheim, Rudolf, Visual Thinking, 김정오 역,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3. Bockemuhl, Michael, Rembrandt van Rijn, 김병화 역, 마로니에북스, 2006 

  4. Chang, Amos Ih Tiao, The Tao of Architecture, 건축공간과 노자사상, 윤장섭 역, 기문당, 1984 

  5. Crowe, Norman, Nature and the Idea of a Man-made World: An Investigation into the Evolutionary Roots of Form and Order in the Built Environment, MIT Press, 1995 

  6. Gombrich, E. H., Art and Illusion: A Study in the Psychology of Pictorial Represent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2 

  7. Gombrich, E. H., The Story of Art, Phaidon, 1989(Fifteenth Edition) 

  8. Lobell, John, Between Silence and Light: Spirit in the Architecture of Louis I. Kahn, 침묵과 빛, 시공문화사, 2009 

  9. Meiss, Pierre von, Elements of Architecture: From Form to Place, E & FN Spon, 1990 

  10. Pascal Blaise, Pensees, 팡세, 이환 역, 민음사, 2009 

  11. Picard, Max, Die Welt Des Schweigens, 침묵의 세계, 최승자 역, 까치글방, 2010 

  12. Sontag, Susan, Styles of Radiacal Will, 급진적 의지의 스타일, 이병용 안재연 역, 현대미학사, 2003 

  13. 김지하, 김지하 전집(제3권 미학사상), 실천문학, 2002 

  14. 김홍기, 그림이 된 건축 건축이 된 그림, 아트북스, 2007 

  15. 고야마 히사오, 건축의장강의, 김광현 역, 도서출판국제, 1998 

  16. 다니자키 준이치로, 그늘에 대하여, 고운기 역, 눌와, 2005 

  17. 송주영 김종진, 산 카를로 알레 콰트로 폰타네와 산티시마 신도네에 적용된 공간적 깊이감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08년 12월 

  18. 장파, 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유중하 외 4인 역, 푸른숲,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