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실가스 대량감축을 위한 $CO_2$ 지중저장의 기술 동향
Trends of Underground $CO_2$ Storage Technology for the Large Scale Reduction of GHG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0 no.5 = no.88, 2010년, pp.309 - 317  

채광석 (GS건설 기술연구소 첨단건설연구팀) ,  이상필 (GS건설 기술연구소 첨단건설연구팀) ,  윤성욱 (GS건설 기술연구소 첨단건설연구팀) ,  마츠오카 토시후미 (일본 교토대학교 공학연구과 사회기반공학 지질공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CS는 "이산화탄소의 포집 및 저장 기술"의 약어로서,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화력발전소, 제철소 등에서 대규모로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이다. CCS는 화석연료의 연소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포집하여, 압축, 수송, 주입의 프로세스를 거처서 깊은 지하에 영구적으로 저장한다. CCS를 기존 화력발전소에 적용시에는 CCS 설비가 없는 발전소에 비해 약 80~90%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다. IPCC의 보고서에 의하면, CCS는 2010년까지 이산화탄소 총 감축량의 10~55%를 감당할 수 있는 경제적 잠재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CCS 기술의 해외 적용 사례 및 관련 핵심 기술 동향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CS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is a means of mitigating the contribution of $CO_2$ to the Greenhouse gas, from large point sources such as power plants and steel companies. CCS is a process whereby $CO_2$ is captured from gases produced by fossil fuel combustion, com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CS에 관한 해외 실증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산업동향및 관련 기술에 대해 살펴보았다. CCS는 화력발전소, 제철소 등에서 발생한 CO2를 포집하여 지중에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술로서,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도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는 현실적인 기술적 대안으로, 화석연료에서 신재생에너지 기반사회로 넘어가는 Bridging Technology로 주목되고 있다.
  • 대상이 되는 저장층(Trap)을 조사하여 그 특성이 CCS 플랜트 건설에 적합한지에 대하여 평가한다. 데이터의 축적과 저장층 및 배출원에 관한 분석이 필요하고 가능한 저장 메커니즘을 검토한다. 그 검토결과에 근거하여 저장 가능용량 평가, 경제성 평가, 유용자원의 유무 등에 의한 종합적인 평가에 근거하여 판단한다.
  • CCS에 관련된 기술 구성을 실시단계 순으로 분류하면 각 단계에서 시뮬레이션 기술과 모니터링 기술이 많은 단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그림 12). 또한, 지하에 주입된 CO2가 어떠한 거동을 할 것인가에 대한 예측 시뮬레이션 기술과 초임계상태의 CO2 거동을 관측하는 모니터링 기술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 본 논문에서는 당사에서 수행한 CCS에 관한 기술탐색연구(GS건설 연구보고서) 및 국내의 CCS 지중저장 연구(강성길, 2008)에 근거하여 해외의 CCS 현황 및 지반공학자가 관심을 가져야 할 지중저장기술을 중심으로 소개하도록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CS란? 최근 들어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화석연료의 사용량을 억제하고 이산화탄소(이하 CO2) 배출량이 적은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현재의 신재생에너지원의 적용 규모나 범위를 고려할 때 화석연료를 대체하여 보급되기에는 앞으로도 상당 기간이 필요한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신재생 에너지 개발 이외에도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 CO2를 감축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함에 따라, CO2의 발생원으로부터 직접 CO2를 포집하여 지반 내에 영구 저장하는 기술인 CCS(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가 주목 받고 있으며, 보다 나아가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사업으로 인정하여 인센티브를 부여하자는 논의도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국내 에너지소비와 CO2의 배출이 증가되는 요인은? 우리나라의 국내 에너지소비와 CO2의 배출이 증가되는 요인은1) 저유가 정책과 빠른 경제성장에 편승한 비효율적인 에너지소비, 2)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등 에너지 집약적인 산업의 비중이 높음, 3) 국내 제조업의 총 설비 투자에서 에너지절약 시설투자 비중이 매우 낮음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하여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현재의 신재생에너지 개발과 소극적인 온실가스 대책으로는 커다란 경제적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노르웨이 Sleipner 프로젝트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노르웨이 Sleipner 프로젝트는 Statoil에 의해 1996년부터 상업적 목적으로 20년간 실시 중이며, CO2 지중 저장 모니터링을 1998년부터 실시 중이다. CO2의 포집과 지반내의 주입은 북해의 해상 플랫폼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천연가스와 함께 배출되는 CO2 가스를 분리 회수하여 대수층(Aquifer)에 주입하고 있다. 주입량은 연간 약 100만 톤이며, 노르웨이에서는 CO2 배출 시에 탄소세가 과세되므로 CCS 프로젝트를 통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그림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GS건설 연구보고서, 2008, 온실가스 대량감축을 위한 $CO_2$ 저장기술 연구. 

  2. 강성길, 허철, 2008, 해저 지질구조내 24-34 저장기술의 연구개발 동향 및 향후 국내 실용화 방안,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Vol. 11, pp. 24-34, 

  3. IPCC, 2005, Special Report on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4. IPCC, 2007, 4th Assessment Report: Climate Change. 

  5. Li, G., 2003, 4D seismic monitoring of $CO_2$ flood in a thin fractured carbonate reservoir, The Leading Edge, pp. 690-695. 

  6. Paul Freund, 2006, International Workshop on $CO_2$ Geological Storage, Japan. 

  7. Tore, A. T. and Gale, J., 2004, Demonstrating storage of $CO_2$ in geological reservoirs: The Sleipner and SACS projects, Energy, Vol. 29, pp. 1361-1369. 

  8. Wright, I., 2006, $CO_2$ Sequestration in a Gas Field-The In salah Project, Algeria, Carbon Managemen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Petroleum Industry. 

  9. 일본 경제산업성(METI), 2007, 기술전략 Map 2007. 

  10. 地球環境産業技術?究機構(RITE), 2009, 平成20年度 二酸化炭素地中貯留技術?究開?成果報告書. 

  11. 小川豊和.?木智幸, 2008, 二酸化炭素地中貯留に?する 技術の現?と動向, 大成建設技術センタ?報, 第41?, No. 2. 

  12. 山本肇, KeniZhang, 唐崎建ニ, 丸井敦?, 2007, 二酸化炭素地下貯留に?jする大規模シミュレ?jション技術 の開?, 大成建設技術センタ?j報, 第40?,No. 41.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