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잎담배 수확 작업자의 니코틴 노출
Nicotine Exposure in Green Tobacco Harvesters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6 no.3 = no.114, 2010년, pp.208 - 214  

이윤근 (노동환경건강연구소) ,  김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  최인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een tobacco sickness (GTS) is an illness associated with nicotine exposures among tobacco harvester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nicotine residues on the hands and forearms of tobacco harvesters, and to compare the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he harvesting t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잎담배를 수확하는 작업자를 대상으로 니코틴의 주요 노출 경로인 팔과 전완에서의 피부 잔류 농도를 비교 분석하고, 작업 특성에 따른 노출 농도의 차이를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잎담배 수확 작업자 피부의 니코틴 잔류농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보고하고, 작업자에게 나타나는 GTS의 작업 관련성 연구와 예방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직 국내에서 한 번도 보고되지 않은 잎담배 수확 작업자들의 피부 니코틴 잔류농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평가하고, 작업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잎담배를 수확하는 작업자를 대상으로 니코틴의 주요 노출 경로인 팔과 전완에서의 피부 잔류 농도를 비교 분석하고, 작업 특성에 따른 노출 농도의 차이를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잎담배 수확 작업자 피부의 니코틴 잔류농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보고하고, 작업자에게 나타나는 GTS의 작업 관련성 연구와 예방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8) 잎담배의 니코틴은 대부분이 뿌리에서 합성 되어 잎에 잔류하게 되는 데 잎에 1-6% 정도 함유된 니코틴이 작업 과정에서 피부를 통해 흡수된다.19,20) 따라서 니코틴 노출은 대부분이 잎을 직접 취급하거나 접촉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TS의 발병 원인은 무엇인가? GTS의 발병 원인은 피부를 통한 니코틴 흡수로 알려져 있다.18) 잎담배의 니코틴은 대부분이 뿌리에서 합성 되어 잎에 잔류하게 되는 데 잎에 1-6% 정도 함유된 니코틴이 작업 과정에서 피부를 통해 흡수된다.
GTS의 증상은? 잎담배를 재배하는 농업인들에게 나타나는 Green tobacco sickness(GTS)는 아주 흔한 질병으로 미국에서는 주로 남미 지역 이민자들과 계절 농업인들의 중요한 건강문제로 보고되고 있다.1) GTS는 오심, 구토, 쇠약 및 현기증과 두통, 타액 증가, 복통, 호흡 곤란, 설사 등의 급성 중독으로 나타난다.2,3) 이러한 증상들은 니코틴 노출 이후 보통 3-17시간 정도 지나면 나타나는 데,4) 증상 자체가 농약 중독과 매우 유사하여 혼돈 되는 경우가 많다.
GTS의 증상은 니코틴 노출 후 얼마나 시간이 흐르면 발현되는가? 1) GTS는 오심, 구토, 쇠약 및 현기증과 두통, 타액 증가, 복통, 호흡 곤란, 설사 등의 급성 중독으로 나타난다.2,3) 이러한 증상들은 니코틴 노출 이후 보통 3-17시간 정도 지나면 나타나는 데,4) 증상 자체가 농약 중독과 매우 유사하여 혼돈 되는 경우가 많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rcury, T. A., Quandt, S. A. and Preisser, J. S. : Predictors of incidence and prevalence of green tobacco sickness among Latino farmworkers in North Carolina. Journal of Epidemiology & Community Health, 55(11), 818-824, 2001. 

  2. Ballard, T., Ehlers, J., Freund, E., Auslander, M. and Brandt, V. : Green tobacco sickness: occupational nicotine poisoning in tobacco workers. Archives of Environmental Health, 50(5), 384-389, 1995. 

  3. Parikh, J. R., Gokani, V. N., Doctor, P. B., Kulkarni, P. K., Shah, A. R. and Saiyed, H. N. : Acute and chronic health effects due to green tobacco exposure in agricultural worker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47, 494-499, 2005. 

  4. Boylan, B. B., Brandt, V., Muehlbauer, J., Auslander, M. and Spurlock, C. : Green tobacco sickness in tobacco harvesters-Kentucky.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42, 237-240, 1993. 

  5. Rao, P., Quandt, S. A. and Arcury, T. A. : Hispanic farmworker interpretations of green tobacco sickness. The Journal of Rural Health, 18(4), 503-511, 2002. 

  6.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Available from : http://faostat.fao.org/. Cited Feb. 13, 2007. 

  7. Korea Tobacco Growers Cooperative Association (KTGCA). Available from : http://www.yyc.or.kr/yyc/. Cited Mar. 21, 2010. 

  8. Trape-Cardoso, M., Bracker, A., Grey, M., Kaliszewski, M., Oncken, C., Ohannessian, C., Barrera, L. V. and Gould, B. : Shade tobacco and green tobacco sickness in Connecticut.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5(6), 656-661, 2003. 

  9. Trape-Cardoso, M., Bracker, A., Dauser, D., Oncken, C., Barrera, L. V., Gould, B. and Grey, M. R. : Cotinine levels and green tobacco sickness among shade-co sickness. Journal of Agromedicine, 1A(g2), 27-37, 2005. 

  10. Schmitt, N. M., Schmitt, J., Kouimintzis, D. J. and Kirch, W. : Health risks in tobacco farm workers-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Public Health, published on line, 1 June 2007. 

  11. Lee, K. and Lim, H.-S. :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Green Tobacco Sickness among Korean tobacco harvesters, 2003. Korean Journal of Epidemiology, 27(1), 129-139, 2005. 

  12. Zorin, S., Kuylenstierna, F. and Thulin, H. : In vitro test of nicotine's permeability through human skin. Risk evaluation and safety aspects. The Annals of Occupational Hygiene, 43, 405-413, 1999. 

  13. Ghosh, S. K., Gokani, V. N., Doctor, P. B. and Parikh, J. R. : Intervention studies against "green symptoms" among Indian tobacco harvesters. Archives of Environmental Health, 46(5), 316-317, 1991. 

  14. Misumi, J., Koyama, W. and Miura J. : 2 cases of green tobacco disease among tobacco harvesters and percutaneous nicotine absorption in rats. Sangyo Igaku, 25(1), 3-9, 1983. 

  15. Onuki, M., Yokoyama, K., Kimura, K., Sato, H., Nordin, R. B. and Naing, L. : Assessment of urinary cotinine as a ma urinof nicotine absorption from tobacco leaves: a study on tobacco farmers in Malaysia.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45(3), 140-145, 2003. 

  16. Lee, K. and Lim, H.-S. : Green Tobacco Sickness on tobacco harvesters in Korean village. Korean Journal of Epidemiology, 24(1), 29-36, 2002. 

  17. Marquart, H., Brouwer, D. H. and van Hemmen, J. J. : Removing pesticides from hands with a simple washing procedure using soap and water.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4, 1075-1082, 2002. 

  1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 Green tobacco sickness in tobacco harvesters-Kentucky, 1992.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42, 237-240, 1993. 

  19. Curwin, B. D., Hein, M. J., Sanderson, W. T., Nishioka, M. G. and Buhler, W. : Nicotine exposure and decontamination on tobacco harvesters' hands. The Annals of Occupational Hygiene, 49(5), 407-413, 2005. 

  20. Curwin, B. D., Hein, M. J., Sanderson, W. T., Nishioka, M. and Buhler, W. : Acephate exposure and decontamination on tobacco harvesters' hands. Journal of Exposure Analysis and Environmental Epidemiology, 13(3), 203-210, 2003. 

  21. Geno, P. W., Camann, D. E. and Harding, H. J. : Handwipe sampling and analysis procedure for the measurement of dermal contact with pesticides. Archive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30, 132-138, 1996. 

  22. Lee, K., Lim, H.-S., Kim, H. and Nam, S.-H. : Urinary cotinine concentrations of cases with green tobacco sickness. Korean Journal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6(4), 413-421, 2004. 

  23. Park, S.-J., Kim, J.-S., Kim, J.-S., Lee, K. and Lim, H.-S. : Airborne nicotine concentrations in harvesting and the processing of tobacco lea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1), 47-52, 2010. 

  24. Kim, H. C., Paik, N. W., Lee, K. S., Kim, K. R. and Kim, W. : A comparison of nicotine diffusive sampler and XAD-4 tube for determination of nicotine in ETS.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32(5), 485-491, 2006. 

  25. Arcury, T. A., Quandt, S. A. and Preisser, J. S. : High levels of transdermal nicotine exposure produce green tobacco sickness in Latino farm workers. Nicotine & Tobacco Research, 5, 315-321, 2003. 

  26. Brouwer, D. H., Boeniger, M. F. and Hemmen, J. V. : Hand wash and manual skin wipes. Annals of Occupational Hygiene, 44, 501-510, 2000. 

  27.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 Exposure factors handbook, Volume 1: General factors. EPA/ 600/P-95/002Fa Washington, DC: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National Center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7. 

  28. Weizenecker, R. and Deal, W. B. : Tobacco cropper's sickness. Journal of the Florida Medical Association, 57, 13-14, 1970. 

  29. Benowitz, N. L., Lake, T., Keller, K. H. and Lee, B. L. : Prolonged absorption with development of tolerance to toxic effects after cutaneous exposure to nicotine. Clinical Pharmacology & Therapeutics, 42(1), 119-120, 1987. 

  30. Arcury, T. A., Quandt, S. A., Preisser, J. S., Bernert, J. T., Norton, D. and Wang, J. : High levels of transdermal nicotine exposure produce green tobacco sickness in Latino farmworkers. Nicotine & Tobacco Research, 5(3), 315-321, 2003b. 

  31. Korea Tomorrow and Global (KT&G) : Standard planting method of green tobacco, Korea Tomorrow and Global, Seoul, 67-68, 2006. 

  32.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ACGIH) : Documentation of the threshold limit values and biological exposure indices, ACGIH, 2008. 

  33. Ellenhorn, M. J., Schonwald, S., Ordog, G. and Wasserberger, J. : Natural toxins. In; Ellenhorn MJ (eds.) Ellenhorn's Medical Toxic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of Human Poisoning. 2nd ed. Baltimore: Williams and Wilkins; 1997. 

  34. Fenske, R. A., Simcox, N. J. and Camp, J. E. : Comparison of three methods for assessment of hand exposure to azinphosmethyl(guthion) during apple thinning. Applied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14, 618-623, 1999. 

  35. Arcury, T. A., Quandt, S. A., Garcia, D. I., Preisser, J. S. Jr, Norton, D. and Rah, P. : A clinic-based, casecontrol comparison of green tobacco sickness among minority farmworkers: clues for prevention. Southern Medical Journal, 95(9), 1008-1011, 2002. 

  36.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SHA) : Field Sanitation Standard. 29 CFR Part 1928.110. Washington, DC: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U.S. Department of Labor, 198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