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과제 유형에 따른 온라인 협력학습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according to Learning Task Types 원문보기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11 no.5, 2010년, pp.95 - 104  

이성주 (동신대학교 교육대학원) ,  권재환 (동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습을 이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구성주의가 등장하면서 협력학습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교수와 학습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지원하는 테크놀로지로 온라인이 부각되면서 온라인 협력학습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하나의 주요한 요인인 학습과제 유형에 따른 협력학습 모형을 탐색하여 온라인 협력학습 실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과제를 문제해결과제와 지식학습과제로 분류한 후, 학습과제 유형별로 적합한 온라인 협력학습 설계와 환경, 그리고 학습과정을 살펴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computer and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are an unity, the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on constructivism is emphasized more than learning by forming external representation. Especially, online has characteristics not only to facilitate collaborative activities but to make students collabo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협력학습, 온라인 협력학습, 학습과제와 관련된 기존 문헌 및 관련 연구를 살펴보고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는 협력학습 과제유형을 크게 두 가지로 범주화하였다. 그리고 학습과제 유형별로 적합한 온라인 협력학습 모형을 탐색함으로 온라인 협력학습에 대한 이해와 실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학습과제는 코스 설계의 하나의 통합적 요소로 학습의 설계, 환경, 과정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분이다[6][8][18]. 본 연구는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하나의 주요한 요인인 학습과제 유형에 따른 협력학습 모형을 탐색하여 온라인 협력학습 이해와 실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협력학습, 학습과제, 온라인 협력학습과 관련된 기존 문헌 및 관련 연구를 살펴보고 학습과제 유형을 크게 문제해결과제와 지식학습과제로 분류하였다.
  • 학습과제 유형에 상관없이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사전활동과 사후활동은 그 성패 여부에 중요한 부분이며 필요한 과정이다. 사전활동과 사후활동은 과제유형에 따라 그 방법과 전략이 달라지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학습과제가 해결되는 온라인 협력학습 활동 과정이 과제유형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무엇이 부각되면서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방법론적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가?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지식은 협력을 통하여 공유되면서 생성된다는 관점이 부각되면서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방법론적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1][2]. 이 관점에서 보면 학습은 학생의 개인 내적 상호작용과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는 사회적, 대화적 과정이며 경험에 기초한 능동적인 과정으로 관점 공유를 통한 개념적 성장과 함께 이루어진다[3][4].
Palloff와 Pratt는 협력활동을 통해 무엇이 촉진된다고 하였는가? Palloff와 Pratt(2005)는 협력활동을 통하여 비판적 사고, 지식과 의미의 공동창출(co-creation), 반추, 변형적 학습이 촉진된다고 말한다[6]. 협력학습이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지만 그 결과물은 보다 깊고 효율적이며, 학습과정은 보다 완벽할 수 있다.
지식은 협력을 통하여 공유되면서 생성된다는 관점에서 학습은 어떻게 이루어 진다고 보이는가?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지식은 협력을 통하여 공유되면서 생성된다는 관점이 부각되면서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방법론적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1][2]. 이 관점에서 보면 학습은 학생의 개인 내적 상호작용과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는 사회적, 대화적 과정이며 경험에 기초한 능동적인 과정으로 관점 공유를 통한 개념적 성장과 함께 이루어진다[3][4]. 따라서 학습을 위한 환경은 학습자의 정신적 스키마가 일관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외부환경과 계속적인 적응을 향상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되어야 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Leh, A. S. (2001).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nd social presence in a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lecommunication, 7(2), 109-128. 

  2. McIsaac, M. S., & Gunawardena, C. N. (1996). Distance education. In D. H. Jonassen(Ed.). Handbook of research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New York: Macmillan Library Reference USA. 

  3. Sherry, L. (2000). The nature and purpose of online discourse: a brief synthesis of current research as related to the WEB project.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lecommunication, 6(1), 19-52. 

  4. Stacey, E. (2005) A constructivist framework for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adult lear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theory. In Roberts, T. S(Eds.).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Idea Group Publishing. 

  5. Tenenbaum, G., Naidu, S., Jegede, O., & Austin, J. (2001) Constructivist pedagogy in conventional on-campus and distance learning practice: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Larning and Instruction, 11, 87-111. 

  6. Palloff, R. M., & Pratt, K. (2005). Collaborating Online. Jossey-Bass 

  7. Inan, F. A., & Lowhter, D. L. (2007). A comparative analysis of computer-supported learning models and guidelines. In F. M. Neto & F. V. Brasileiro(Eds). Advances in Computer-Supported Learning. Information Science Publishing. 

  8. Boxtel C., Jinden J., & Kanselaar, G. (2003). Collaborative learning tasks and the elaboration of concetual knowledge. Learning and Instruction, 10, 311-330. 

  9. Bonk,C. J., Lee, S., Liu, X., & Su, B. (2007). Awareness design i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a pedagogical perspective. In F. M. Neto & F. V. Brasileiro(Eds). Advances in Computer-Supported Learning. Information Science Publishing. 

  10. McInnerney, J. M., & Roberts, T. S. (2004). Collaborative or cooperative learning. In T. S. Roberts(Ed).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UK; Information Science Publishing. 

  11. Hathorn, L. G., & Ingram, A. L. (2002). Online Collaboration: Making it work. Educational Technology January-February. 

  12. Alavi, M., & Dufner, D. (2005). Technologymediated collaborative learning: a research perspective. In S. R. Hiltz & R. Goldman (Eds). Learning Together Online. Maryam & Donna Dufner. 

  13. Ahern, T. C. (2000). Improving the instructional congruency of a computermediated small-group discussion: a case study in design and delivery. Journal of Research on Computing in Education, 32(3), 385-399. 

  14. Hara, N., Bonk, C. J., & Angeli, C. (2000). Content analysis of online discussion in an applied educational psychology course. Instructional Science, 28, 115-152. 

  15. Hartley, C., Schendel, E., & Neal, M. R. (1999). Writing (online) spaces: composings webware in Perl. Computers and Composition, 16, 359-370. 

  16. 이성주, 김회수 (2003). CMC 활용 학습에서 면대면 수업, 교사관여 및 메타인지가 학업 성취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 방송연구, 9(1), 95-128. 

  17. 이성주 (2003). CMC 활용 학습에서 면대면 수업 유무, 협력유형 및 메타인지가 학업성취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방송연구, 9(3), 37-64. 

  18. 이성주 (2004). 컴퓨터 컨퍼런싱 활용 협력 학습 상황이 학업성취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0(2), 33-52. 

  19. 박성익 등 (2003). 교육공학 탐구의 새지평. 서울: 교육과학사. 

  20. Moreno, A. S. (2005) Relational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In Roberts, T. S(Eds.).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Idea Group Publishing. 

  21. Klemm. W. R. (2005). Use and mis-use of technology for online, asychronous, collaborative learning. In T. S. Roberts(Ed).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Idea Group Publishing. 

  22. Li, Y. (2000).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ESL writing in task-based e-mail activities. System, 28, 229-245. 

  23. Chan, C. K., & Aslst, J. (2004). Learning, assessment and collaboration in Computersupported environment. In J. W. Strijbos, P. A. Kirschner & R. L. Martens(Eds). What we know about CSCL. Kluwer Academic Publishers. 

  24. King, A. (2002). Structuring peer interaction to promote high-level cognitive processing. Theory into Practice, 41(1). 

  25. Kirschner, P. A., Martens, R. L., & Strijbos, J. W. (2004). CSCL in Higher education?. In J. W. Strijbos, P. A. Kirschner & R. L. Martens(Eds). What we know about CSCL. Kluwer Academic Publishers. 

  26. Jarvela, S., Hakkinen, P., Arvaja, M., & Leinonen, P. (2004). Instructional Support in CSCL. In J. W. Strijbos, P. A. Kirschner & R. L. Martens(Eds). What we know about CSCL. Kluwer Academic Publishers. 

  27. Bennet, S. (2004). Supporting collaborative project teams using computer-based technologies. In T. S. Roberts(Ed).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UK; Information Science Publishing. 

  28. Benbunan-Fich, R., Hiltz, S. R., & Harasim, L. (2005). The online interaction learning model: an integrated theoretical framework for learning networks. In S. R. Hiltz & R. Goldman(Eds). Learning Together Online. Lawrence NJ; Erlbaum Associates, Inc. 

  29. Nash, B. N., Richter, C., & Allert, H. (2004). Drawing on design to improve evaluation of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two complementary views. In T. S. Roberts(Ed).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UK; Information Science Publishing. 

  30. Zumbach, J., Hillers, A., & Reimann, P. (2004). Supporting distributed problem-based learning: the use of feedback mehanism in online learning. In T. S. Roberts(Ed).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UK; Information Science Publishing. 

  31. Harasim, L. (2003). The case for collaborative learning online.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5(1), 77-100. 

  32. Ehrmann, S. C., & Collins, M. (2001). Emerging models of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can distance enhance quality? Educational Technology September-October. 

  33. Littleton, K., & Hakkinen, P. (2003) Learning together : understanding the processes of computer-based collaborative learning. In P. Dillenbourg(Ed). Collaborative Learning. Elsevier Sciencd Ltd. 

  34. Garrison, D. R., & Anderson, T. (2003). E-Learning in the 21st Century. London; RoutledgeFalme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