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협력학습 과정의 참여 수준에 대한 학습전략의 영향 탐색
Exploring for Impact of Learning Strategies on Participation Level i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6, 2018년, pp.63 - 72  

이은철 (한국교육개발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온라인 협력학습 과정의 참여 수준에 대한 학습전략의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A 대학에서 교직과목을 수강하는 91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학기가 시작되면서, 학습전략은 MSLQ를 통해서 시연, 정교화, 조직화, 비판적 사고, 초인지, 학습시간 관리, 노력조절, 동료학습, 도움구하기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서 협력과제를 수행하였고, 집단 편성은 4-5명으로 구성하였다. 참여 수준은 상호작용을 위해 작성한 메시지에 양적 가치를 부여하여 점수로 측정하였다 협력학습의 과정은 학습목표 확인, 학습계획, 개별학습 실행, 학습결과 공유, 보고서 작성, 평가의 단계로 구분하였다. 각 단계에서 나타나 참여 수준에 대해 학습 전략의 영향을 다중회귀분석(단계적 선택방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목표 단계는 초인지가 가장 높은 수준에서 영향을 주었고, 학습계획은 학습 시간관리, 학습실행은 시연, 노력조절, 도움 구하기, 동료학습, 학습결과 공유는 조직화, 비판적 사고, 도움구하기, 보고서 작성은 조직화, 정교화, 비판적 사고, 평가는 비판적 사고, 초인지, 정교화가 높은 수준에서 영향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impact of learning strategies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To do this, We studied 91 students who took professorship courses at A univers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he 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온라인 협력학습과정에서 학습전략이 학 습자의 참여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서 수 행되었다. 이에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협력학습의 과정에서 학습전략이 참여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 다. 이를 위해 학습자들의 학습전략을 측정하였고, 온라인 학습환경을 구성하여 협력과제를 수행하였다.
  • 이에 어느 하나의 요인이 학습의 전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각 학습의 단계에 특별히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학습 전략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 학습전략은 학습의 과정에서 학습자가 학습을 수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기술과 태도를 포함하고 있는 요인으로 학습의 과정과 결과에 매우 높은 정적인 상관이 있음이 보고 되고 있다[9].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협력학습의 과 정인 학습목표 확인, 학습 계획, 개별학습 실행, 학습결과 공유, 보고서작성, 평가 단계의 참여 수준에 학습 전략의 하위 요인인 시연, 정교화, 조직화, 비판적 사고, 초인지, 학습시간 관리, 노력조절, 동료학습, 도움구하기가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학습의 과정에 일어나는 학습 활동에 대해 관련된 변인을 탐색하는 연구는 찾아보기 매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협력학습의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참여 수준에 학습전략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학습전략은 학습의 과정에서 학습자가 학습을 수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기술과 태도를 포함하고 있는 요인으로 학습의 과정과 결과에 매우 높은 정적인 상관이 있음이 보고 되고 있다[9].
  • 또한 학습의 전 과정에 관여하며 학습의 효과와 효율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도 온라인 협력 학습의 전 과정에 학습 전략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 예를 들어 C학생이 작성한 담화가 과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내용이고, 관련성이 높은 내용이라면 작성된 글에 2라는 점수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도 학습 참여 수준의 측정을 위해 상호작용을 점수화하기 위해 작성된 글에 양적 가치를 부여하여 측정하였다. 양적 가치는 상호작용 분석 전문가 3인이 측정하였으며, 평정자간 신뢰도는 .
  • 이에 온라인 협력학습의 효과 및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 지원 방안들을 개발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었고, 집단구성의 방법 및 메시지 전달, 과제 제시 방법, 스캐폴딩 제공 방법, 지원도구를 제공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었다[1][4-7]. 이와 같은 연구들은 표준화된 교수적 처치를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구들은 학습의 과정에 일어나는 구체적인 활동과 학습자들의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시하는 것은 찾아보기 매우 어렵다.

가설 설정

  • 첫째는 독립변수 간의 상관이 크지 않아야하며, 이는 부분상 관계수가 1이 넘지 않아야 한다. 둘째, 다중공선성이 존재하면 안된다. 이는 공차한계 (VIF)가 10에 가까울수록 다중 공선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라인 협력학습이란 무엇인가? 온라인 협력학습은 온라인 학습환경을 사용하여, 학습자들이 과제 해결 또는 지식을 공동으로 구성하기 위한 협력학습 활동을 하는 것이다[10]. 다시 말하면 협력 학습은 공동으로 과제를 해결하거나 지식을 만들기 위해서 다수의 학습자들이 지식을 찾고, 정리하고, 공유하고, 검증하는 활동을통해 과제의 해결 방안 또는 정교화 된 지식을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온라인 협력학습 과정의 각 단계는 무엇인가? 학습 준비의 과정은 본격적으로 학습을 시작하기 전에 구체적인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 목표를 성취 할 수 있는 학습 계획을 적절하게 세우는 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학습 준비의 단계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전체적인 학습의 결과가 낮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학습실행의 과정은 학습을 직접 실행하는 단계와 학습한 결과를 공유하는 단계로 구분 할 수 있다. 협력학습은 학습자들이 각 부분을 학습하여, 조각을 맞추듯이 수행하기보다는 한 영역을 여러 학생이 학습한 뒤 해당 내용을 공유함으로서 정교화 시켜 공동의 지식을 구성하는 것이 핵심이다[1]. 이에 학습 결과에 대해 공유하고, 상호간에 피드백이 이루어지는 것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습 마무리의 과정은 보고서 작성과 학습 결과 평가의 단계로 구분할수있다. 보고서 작성은 문제 해결 방안 또는 공동의 지식이 구성되었을 때, 요구되어지는 형식에 맞추어서 정보를 재가공하는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서 조직화나 정교화 같은 학습 전략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학습의 마무리 단계에서는 보고서 작성과 함께 학습의 결과를 평가해야 한다. 학습 결과 평가는 학습의 결과물로 도출된 보고서의 내용이 적절한지, 학습목표와 일치하는지, 주어진 형식에 맞추어서 작성되었는지를 검토하는 활동이다. 학습의 최종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3][15].
온라인 협력학습의 장점은 무엇인가? 온라인 협력학습은 시공간의 제약과 학습자의 성격적 특성의 영향이 매우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점과 함께 온라인 협력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을 때 학습의 효율성이 매우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이은철,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 수준에 대한 협력스크립트 형태의 토론성찰일지 작성의 효과성 검증," 교육공학연구, 제33권, 제2호, pp.239-267, 2017. 

  2. 이은철,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고성취 집단의 학습과정에서 나타난 상호작용 분석," 교육공학연구, 제31권, 제2호, pp.159-190, 2015. 

  3. 이은철, 김민정, "위키(wiki) 기반 협력학습 지원을 위한 통합적 지원 모형 개발 및 효과성 검증," 교육공학연구, 제28권, 제3호, pp.587-617, 2012. 

  4. 김민정, "위키 협력학습 지원 스크립트 개발을 위한 설계기반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5권, 제4호, pp.47-75, 2009. 

  5. 선종삼, 김동식, "위키기반 CSCL에서 그라운딩 지원도구의 설계기반연구," 교육공학연구, 제26권, 제2호, pp.149-186, 2010. 

  6. 이은철, "라포 수준에 따른 집단 구성이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제51권, 제3호, pp.57-82, 2013. 

  7. 이은철, "학습자의 자기결정성 유형과 수준이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제21권, 제2호, pp.91-110, 2013. 

  8. Z. R. de. Yolanda and Z. Victoria Zenotz, "Learning strategies in CLIL classrooms: how does strategy instruction affect reading competence over time?," Received, Vol.29, pp.319-331, 2017. 

  9. P. Gunning and O. L. Rebecca, "Children's Learning Strategy Use and the Effects of Strategy Instruction on Success in Learning ESL in Canada," System, Vol.43, pp.82-100, 2014. 

  10. H. Bouta, S. Retalis, and F. Paraskeva, "Utilising a collaborative macro-script to enhance student engagement: A mixed method study in a 3D virtual environment," Computers & Education, Vol.58, No.1, pp.501-517, 2012. 

  11. J. Moskaliuk, J. Kimmerle, and U. Cress, "Wiki-supported learning and knowledge building: effects of incongruity between knowledge and information,"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Vol.25, pp.549-561, 2009. 

  12. K. Makitalo-Siegl, C. Kohnle, and F. Fischer,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inquiry learning and classroom scripts: Effects on help-seeking processes and learning outcomes," Learning and Instruction, Vol.21, No.2, pp.257-266, 2011. 

  13. R. Hamalainen and P. Hakkinen, "Teachers' instructional planning for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Macro-scripts as a pedagogical method to facilitate collaborative learn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26, No.4, pp.871-877, 2010. 

  14. 김동식, 권숙진, "CSCL에서 스캐폴딩의 유형이 공유 정신 모형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제22권, 제1호, pp.1-34, 2006. 

  15. T. Anderson, "Modes of interaction in distance education: Recent developments and research questions," In M. G. Moore & W. G. Anderson (Eds.), Handbook of Distance Educa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Publishers, pp.129-144, 2003. 

  16. A. D. Cohen, Andrew, "Strategies in Learning and Using a Second Language," Harlow: Pearson Longman, 2011. 

  17. L. R. Pinninti, "Metacognitive Awareness of Reading Strategies: An Indian Context," The Reading Matrix, Vol.1, pp.179-193, 2016. 

  18. P. R. Pintrich, D. A. F. Smith, T. Garcia, and W. J. McKeachie, "A manual for the us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Ann Arbor: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to Improve Postsecondary Teaching and Learning," The University of Michigan, 1991. 

  19. D. R. Newman, B. R. Webb, and A. C. Cochrane, "A Content Analysis Method to Measure Critical Thinking in Face-to-Face and Computer Supported Group Learning," Interpersonal Computing and Technology, Vol.3, No.2, pp.56-77, 1996. 

  20. 이은철,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학습동기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416-424, 2017. 

  21. 임규연, 박효선, 김주연, "웹기반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패턴 및 성과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8호, pp.1-25,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