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 간호 표준 개발
Development of Dementia Care Standard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5, 2010년, pp.631 - 641  

하주영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standards for dementia care as a baseline for professional nurses to provide a framework for dementia care evaluation Methods: The dementia care standards were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discussions. According to the Delphi metho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치매 간호 표준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치매 및 노인전문병원의 치매 간호 표준을 개발함으로써 치매환자 간호에 대한 전문적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궁극적으로 치매환자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시도되었다.
  • 기준은 표준과 관련된 행위, 환경, 업무에 대한 만족과 긍정 및 업무 숙달 등의 상태를 나타내는 진술이다(Korean Nurses Association [KNA], 2003).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치매환자 간호 표준에 대한 성취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을 말한다.
  • 본 연구에서는 치매 간호 표준(안)에 대한 내용 타당도를 조사하기 위해 목적적 표집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선정기준 중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3가지 이상을 충족하는 사람으로 전문가 패널을 선정하였다. 내용 타당도 조사에 참여하는 전문가는 최소 3명에서 최대 10명을 넘지 않아야 하므로(Lynn, 1986) 선정기준을 충족하는 사람 중 실무, 학계, 기관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 대한 참여의사를 확인하고 사전동의를 얻어 5명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 및 노인전문병원의 치매간호 업무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치매 간호의 표준과 기준 및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표준이란 무엇입니까? 간호표준은 간호전문직의 책임을 기술한 권위있는 진술문으로(ANA, 1999), 본 연구에서는 Donabedian (1980)의 개념틀에 근거한 구조적, 과정적, 결과적 측면의 치매환자 간호에 대한 진술문을 의미한다.
치매 환자 간호를 위해서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능력은 무엇입니까? , 2002). 따라서 치매 간호를 수행하는 간호사는 치매의 특성과 치매환자의 특별한 요구도를 이해하고 치매환자의 인지적, 정서적 요구에 맞춰 의사소통을 시도하며 일상생활의 독립성을 증진시키고 문제행동들을 인식∙예방∙관리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치매환자와 가족의 요구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상의 환경을 조성하며 치매환자 간호 중 발생할수 있는 윤리적 문제를 인식하면서 간호를 수행하는 대인적, 지식적, 기술적, 도덕적 업무 능력이 필요하다(Williams, Hyer, Kelly, Leger-Krall, & Tappen, 2005). 더불어 인지기능의 장애를 갖는 노인들을 돌봄에 있어서 개별화된 간호 사정과 간호 계획을 통해 다양한 다학제적 간호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며 치매환자의 퇴행을 늦추도록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활동에 가족들의 적극적인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작업요법, 물리치료, 치료 레크리에이션과 같은 활동을 통합하여 만족스런 간호중재를 제공받도록 해야 한다(Jablonski, Reed, & Maas, 2005).
치매 환자 간호의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입니까? 이처럼 전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치매는 뇌의 만성 또는 진행성 질환에 의한 증후군으로, 진단 초기에는 언어 장애나 시공간 혹은 실행 장애와 같은 인지 장애 중 한 가지 이상의 증상과 기억력 감소가 나타나고 증상이 진행됨에 따라 흥분, 공격성, 정신증과 같은 행동증상과 정신 심리증상이 나타나 간호제공자들에게 소진을 경험하게 하고 막대한 의료비용의 지출과 함께 삶의 질을 저하시키면서 환자들을 시설에 입소하게 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Fitten, 2006). 치매 환자 간호의 궁극적 목적은 가능한 한 환자 기능의 최적 수준을 유지∙촉진시켜 최대한 독립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며 환자가 만족스러운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Kwon et al., 2002). 따라서 치매 간호를 수행하는 간호사는 치매의 특성과 치매환자의 특별한 요구도를 이해하고 치매환자의 인지적, 정서적 요구에 맞춰 의사소통을 시도하며 일상생활의 독립성을 증진시키고 문제행동들을 인식∙예방∙관리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damczyk, K., Lorencowicz, R., Flis, D., Zajko, A., & Niezbecka, J. (2001). Evaluation of nursing care standard in a neurological ward. Annales Universitatis Mariae Curie-Sklodowska. Sectio D: Medicina, 56, 333-338. 

  2. Alzheimer's Association. (2008). 2008 Alzheimer's disease facts. Retrieved January 20, 2010, from http://www.alz.org/national/documents/topicsheet_2008_facts_figures.pdf 

  3. Alzheimer's Australia. (2007). Quality Dementia Care Standards. Retrieved January 20, 2010, from http://www.alzheimers.org.au/upload/ QDC21.pdf 

  4. Alzheimer Disease International. (2008). The Prevalence of dementia worldwide. Retrieved January 20, 2010, from http://www.alz.co.uk/adi/pdf/prevalence.pdf 

  5. American Nurses Association. (1997). Scope and Standards of Advanced Practice Registered Nursing (3rd ed.). Washington, DC: Author. 

  6. American Nurses Association. (1998). Standards of Clinical Nursing Practice (2nd ed.). Georgia: Author. 

  7. American Nurses Association. (2001). Scope and standards of gerontological nursing practice (2nd ed.). Washington, DC: Author. 

  8. American Nurses Association. (2005). Scope and standards of clinical nursing practice (2nd ed.). Washington, DC: Author. 

  9. Burn, A. (2005). Standards in dementia care. New York, NY: Taylor & Francis Group. 

  10. Donabedian, A. (1980). The definition of quality and approaches to its assessment. Michigan: Health Administration Press. 

  11. Fitten, L. J. (2006). Editorial: Management of behavioral and psychiatric symptoms in dementia.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10, 409. 

  12.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06). Nursing Standard (2nd ed.). Seoul: Author. 

  13. Jablonski, R. A., Reed, D., & Maas, M. L. (2005). Care intervention for older adul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ementia.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1, 39-48. 

  14. Jang, B. H. (2000). A study on critical care nursing practice and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critical care nursing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5. Kee, C. C., Foley, B. J., Dudley, W. N., Jennings, B. M., Minick, P., & Harvey, S. S. (2005). Nursing structure, processes, and patient outcomes in army medical center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7, 1040-1058. 

  16. Korean Nurses Association. (2003). Nursing Standard-Nursing Activities-. Seoul: Parkmungak. 

  17. Kwon, J. D., Ko, H. J., Lee, S. H., Yim, S. E., Kang, W, S., & Lee, Y. S. (2002). Dementia and Family. Seoul: Hakjisa. 

  18. Lee, B. S. (1998).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tool for the quality of nursing care in abdominal surgery patient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4, 107-127. 

  19.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 382-385. 

  20. Maldonado, R. W., Hanke, L. M., Neff, M. C., & Mor, V. (2004). Nurse staffing patterns and quality of care in nursing homes. Health Care Management Review, 29, 107-116. 

  21.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 Current status of welfare facilities for older adults. Seoul: Author. 

  22. Williams, C. L., Hyer, K., Kelly, A., Leger-Krall, S., & Tappen, R. M. (2005). Development of nurse competencies to improve dementia care. Geriatric Nursing, 26, 98-1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