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정맥 삼척시 용소골 계곡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Yongso Valley in the Nakdong-jeongmaek, Samcheok-si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4 no.5, 2010년, pp.582 - 590  

조현서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이수동 (진주산업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두대간에 대한 관심은 현황조사 및 분석, 관리 및 복원 방안 등 다양한 연구결과를 도출한 반면, 지맥인 정맥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현황연구는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향후 관리 및 복원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낙동정맥 중 용소골의 식생구조를 밝히고자 $10m{\times}10m(100m^2)$ 조사구 30개소를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상대우점치 및 평균상대우점치에 의한 군집분류 결과 소나무군집, 박달나무군집, 황철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굴참나무군집의 5개 유형이 용소골 계곡을 대표하는 군집이었다. 소나무군집은 능선부에 주로 분포하며 꼬리진달래가 출현하는 것이 특징이었고 박달나무군집은 참나무류와 경쟁을 피할 수 있는 능선부 급경사지와 완만한 전석지에 분포하였다. 단위면적당($400m^2$) 종다양도는 0.7914~0.9442이었으며 수령은 30~115년으로 층위구조가 형성된 보호가치가 있는 숲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ekdudaegan field survey has been proposed and presented as a various plan such as field survey analysis, management and restoration plan, etc. Whereas, the concerns of the Jeongmaek has increased continuously, nevertheless there is no research of present condition for Jeongmaek. This paper is to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백두대간과 함께 지맥에 해당되는 정맥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으나 실제 낙동정맥을 인식하고 연구한 자료는 가지산~능동산 구간을 대상으로한 Kim and Choi(2004)의 식생구조 파악이 유일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백두대간의 초기 연구와 유사한 것으로 향후 관리 및 복원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낙동정맥 중 용소골의 식생구조를 밝히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백두대간에 대한 연구의 주요 주제는? , 2004) 등 관리ㆍ복원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백두대간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초기에는 현황파악 즉, 식생, 동물상, 등산로 및 훼손실태 등에 대한 정확한 자료수집이 주요 목적이었다면 최근에는 확보된 자료에 기초하여 처방을 내리는 연구 즉, 식생, 등산로 훼손지 평가, 관리 및 복원기법 제안이 주요 주제이다.
백두대간의 지맥인 낙동정맥의 위치는? 백두대간에 대한 개념 정립은 고려초기인 10세기 초반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나 18세기 말 우리나라 산줄기를 계통화하여 표로 나타낸 산경표(1779년경)를 통해 볼 때 이 시기에 이미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Yang, 1997). 지맥인 낙동정맥은 매봉산에서 시작하여 부산 몰운대에 이르는 약 359㎞ 구간으로, 대간의 개념이 마루금에 국한되지 않은 수계와 산계의 결합인 것처럼 정맥도 영역의 개념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Shin, 2004).
초기 백두대간에 대한 연구의 목적은? , 2004) 등 관리ㆍ복원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백두대간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초기에는 현황파악 즉, 식생, 동물상, 등산로 및 훼손실태 등에 대한 정확한 자료수집이 주요 목적이었다면 최근에는 확보된 자료에 기초하여 처방을 내리는 연구 즉, 식생, 등산로 훼손지 평가, 관리 및 복원기법 제안이 주요 주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oi, S.H. and K.K. Oh(2003)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Jeongryeongchi to Bokseongijae in the Baekdudaegan, Korea. Kor. J. Env. Ecol. 16(4): 421-432. 

  2.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nsconsin. Ecology 32: 476-496. 

  3. Hill, M.O.(1979a) DECORANA-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sco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52pp. 

  4. Kang, S.J. and A.K. Kwak(1999) Vascular Plants of Baek Doo - Great Mountain Chain within the Range of Chungcheongbukdo - Province. Bull Sci. Ed. 15: 85-99. 

  5. Kang, Y.S. and K.C. Oh(1982) An Application of Ordinations to Kwangnung Forest. Journal of Plant Biology 25(2): 83-99. 

  6. Kim, D.P. and S.H. Choi(2004)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Gajisan to Neungdongsan in the Nakdong- Jeongmek. Kor. J. Env. Ecol. 18(3): 279-287. 

  7. Kim, G.T. and G.J. Baek(1998)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aech`ongbong-Hangyeryong Area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l. 11(4): 397-406. 

  8. Kim, G.T. and T.W. Um(2004) A Study on Vegetation Index for Zoning of Natural Ecosystem on Baekdudaegan - From Namdeogyusan to Sosagogae -. Korea. Kor. J. Env. Ecol. 18(2): 158-166. 

  9. Kim, N.C., U.J. Nam and K.J. Shin(2008) A Study on the Slope Ecologic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Models of the Baekdu-Mountain Range.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0(4): 72-84. 

  10. Kwon, T.H., J.W. Lee and D.W. Kim(2004) Trail Deterioration and Managerial Strategy o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A Case of the Trail between Namdeogyusan and Sosagogae. Korea. Kor. J. Env. Ecol. 18(2): 175-183. 

  11. Kwon, T.H., S.H. Choi and K.J. Yoo(2002) Establishing the Managerial Boundary of the Baekdu-daegan: An Approach by Watershed Expanding Process. The Korean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5(4): 106-118. 

  12. Lee, D.K., W.K. Song, S.W. Jeon, H.C. Sung and D.Y. Son(2007) Deforestation Patterns Analysis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0(4): 41-53. 

  13. Lee, J.H., H.J, Hwon, G.S. Jeon, N.C. Kim, G.S. Park and H.K. Song(2008) Native Plants Selection for Ecological Replantation in Roadside Cutting-slope of the Baekdu Range.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1(4): 67-74. 

  14. Lee, K.J., G.H. Goo, J.S. Choi and H.S. Cho(1991)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y of Daewon Vally in Mt. Chiri by the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 Kor. J. Env. Ecol. 5(1): 54-67. 

  15. Lee, K.J., J.C. Cho and C.H. Ryu(1990) Analysis on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in Mt. Yongmun by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 Journal of Plant Biology 33(3): 173-182. 

  16. Lee, K.J., K.S. Ki and J.W. Choi(2009) Vegetation Succession and Vegetation Management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the Beopjusa Area, Songnis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l. 23(2): 208-219. 

  17. Lim, D.O., Y.S. Kim, Y.K. Park, Y.M. Ryu and M.H. Koh(2004) Vascular Plants of Mt. Deog-yu Area in the Baekdudaegan. Kor. J. Env. Ecol. 18(2): 107-123 

  18. Oh, K.K and J.E. Lee(2003a) Literatures Review for the Flora,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in the Baekdudaegan - from Cheonwangbong in the Jirisan to Hyangjeokbong in the Deokyusan -. Kor. J. Env. Ecol. 16(4): 475-486. 

  19. Oh, K.K and J.E. Lee(2003b)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Pijae to Doraegijae in the Baekdudaegan, Korea. Kor. J. Env. Ecol. 15(4): 330-343. 

  20. Oh, K.K. and S.G. Park(2002)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Pijae to Doraegijae in the Baekdudaegan, Korea. Kor. J. Env. Ecol. 15(4): 330-343. 

  21. Park, I.H.(1985) A study on Forest Structure and Biomas in Baegwoonsan Natural Ecosystem.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pp. 42. 

  22. Park, S.G., H.J. Cho and C.B. Lee(2009) Vegetation Types & Floristic Composition of Native Conifer Forests i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8(4): 464-471. 

  23. Shin, J.H.(2004) Management Area and Management Strategy of Baekdudaegan. Korea. Kor. J. Env. Ecol. 18(2): 197-204. 

  24. Whittaker, R.H.(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 Monogra 26: 1-80. 

  25. Yang, B.K.(1997)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Paektu Taekan' (Paektu Great Mountain Chain) in the Choson Period. Journal of Chin-Tan Society 83: 85-106. 

  26. Yoo, K.J.(2002) An Approach for Establishing Conceptual Framework of Management Spectrum of the Baekdudaegan Area, Korea. Kor. J. Env. Ecol. 15(4): 408-419. 

  27. Yoo, K.J., Y.H. Kwon and S.H. Choi(2004) An Approach for Effective Resource Management in Baekdudaegan - A Case Study in Namdeogyusan~Sosagogae Area -. Kor. J. Env. Ecol. 18(2): 263-269. 

  28. http://www.samcheok.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