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M기반 자동화 데이터 수집기술을 활용한 위험지역 식별 모델
Hazardous Area Identification Model using Automated Data Collection(ADC) based on BIM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1 no.6, 2010년, pp.14 - 23  

김현수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  이현수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박문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이광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  편재호 (산호세 주립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건설 산업의 재해 중 상당 부분은 작업자의 이동 중 발생한다. 건설 현장의 안전관리는 작업을 중심으로 수행되며, 이는 이동 경로에 존재하는 위험원에 대한 안전관리 수준을 상대적으로 낮게 만든다. 많은 연구자들이 위험원을 인지하는 것이 안전관리의 기본임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화 데이터 수집기술(Automated Data Collection)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이동경로에 존재하는 위험원에 대한 안전관리자의 인지를 지원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은 실시간 위치추적기술 기반의 작업자의 위치정보와 BIM을 통한 최적이동 동선의 비교를 통해 일차적으로 위험 가능 지역을 찾는다. 그리고 기존 위험지역과 작업지역을 필터링함으로써 위험 가능 지역을 폭을 좁힌다. 이를 바탕으로 안전 관리자는 위험원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현장의 상황에 맞는 안전관리대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델을 통해 발견하지 못한 채 남을 수 있는 위험지역을 인지함으로써 안전관리 프로세스 범위에 속하지 않는 위험원을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건설 현장의 안전 향상에 도움을 줄 것이라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onsiderable number of construction disasters occurs on pathway. A safe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sites is usually performed to prevent accidents in activity areas. This means that safety management level of hazards on pathway is relatively minified. Many researchers have introduced that a haz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 위험 지역 인지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들을 살펴보았다. 본 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기술들을 바탕으로 작업자의 위치정보, 인지된 위험지역, 작업 지역, 작업자 최적 이동 동선을 활용하여 발견하지 못한 미인지 위험지역을 찾기 위한 구성요소를 제시한다.
  • 하지만 소수의 안전 관리자들이 건설현장의 모든 장소를 검사하여 위험지역을 찾는 것은 안전관리의 효율성을 저해시키는 요인이며, 충분한 성과를 얻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들의 위치정보를 분석하고 자동화 데이터 수집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위험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안전 관리자에게 효과적으로 알리는 방법을 채택하기로 한다.
  • 건설현장의 가변적인 상황을 고려한다면, 기존 수립된 계획에 포함되지 않는 위험지역이 생성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건설 단계에서 현장의 작업자 최적 이동 동선 상에 존재하는 미인지 위험원을 찾아 안전 관리자에게 알리는 모델 개발을 그 목적으로 하며 연구의 절차와 방법은 아래와 같다.
  • 본 연구는 안전관리에 작업자의 이동 동선, 최적 이동 경로, 자동화 데이터 수집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관리자가 건설현장의 모든 지역을 살펴보지 않아도 위험 지역을 찾을 수 있는 시스템화된 도구를 제안하였다.
  • 하지만 건설현장의 내재된 위험으로 인해 작업 뿐 아니라 이동경로에서 발생하는 재해역시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본 연구는 위험 요인 및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자동화 데이터 수집 기술에 대한 문헌조사를 통해 이동경로에 존재하는 위험지역을 찾을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 미발견 위험지역 인지 모듈에서 도출한 위험가능 지역은 미발견된 위험지역, 인지된 위험 지역, 작업이 진행되는 공간의 합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 발견된 위험지역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함으로 위험 가능 지역에서 인진된 위험 가능 지역과 작업이 진행되는 공간을 필터링해주어야 한다.
  • 본 절에서는 앞서 설명한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단계별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상세 알고리즘은 미발견 위험지역 인지 모듈,위험지역 필터링 모듈, 모니터링과 결과물 생성 모듈의 총 3단계로 이루어진 각각의 모듈별 상세 알고리즘을 통해 위험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필터링하여 안전 관리자에게 전달한다.
  •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이동 경로에 존재하는 위험원을 작업자 위치추적을 통하여 시스템 상에서 자동적으로 인지 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모델은 작업자의 위치추적 로그와 최적 이동 경로와의 차이를 통해 위험지역을 찾는다.
  • 또한 이현수 외(2009b)는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의 목적은 안전관리자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안전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가설 설정

  • 실내 위치 추적 기술의 한계점인 전파감쇄로 인해 실제작업자의 위치와 위치추적 결과가 정밀하게 일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정밀한 위치 추적 기술이 개발될 것으로 가정하고 수행하였다. 향후 실내 위치 추적 기술이 발달한다면, 보다 정밀한 위험지역을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우선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가정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가정을 만족하는 6개의 데이터베이스와 3개의 모듈로 구성된 위험지역 식별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 산업의 재해 중 상당 부분은 언제 발생하는가? 건설 산업의 재해 중 상당 부분은 작업자의 이동 중 발생한다. 건설 현장의 안전관리는 작업을 중심으로 수행되며, 이는 이동 경로에 존재하는 위험원에 대한 안전관리 수준을 상대적으로 낮게 만든다.
건설 현장의 안전관리는 무엇을 중심으로 수행되는가? 건설 산업의 재해 중 상당 부분은 작업자의 이동 중 발생한다. 건설 현장의 안전관리는 작업을 중심으로 수행되며, 이는 이동 경로에 존재하는 위험원에 대한 안전관리 수준을 상대적으로 낮게 만든다. 많은 연구자들이 위험원을 인지하는 것이 안전관리의 기본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동화 데이터 수집기술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이동경로에 존재하는 위험원에 대한 안전관리자의 인지를 지원하는 모델은 어떻게 위험 가능 지역을 찾는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화 데이터 수집기술(Automated Data Collection)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이동경로에 존재하는 위험원에 대한 안전관리자의 인지를 지원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은 실시간 위치추적기술 기반의 작업자의 위치정보와 BIM을 통한 최적이동 동선의 비교를 통해 일차적으로 위험 가능 지역을 찾는다. 그리고 기존 위험지역과 작업지역을 필터링함으로써 위험 가능 지역을 폭을 좁힌다. 이를 바탕으로 안전 관리자는 위험원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현장의 상황에 맞는 안전관리대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현수. (2010). "Influence Factor-Based Safety Risk Assessment Methodology for Construction Sites"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이광표, 이현수, 박문서, 김현수, 백윤주 (2010)." 건설 안전관리를 위한 실시간 위치추적(RTLS)기술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1(2), pp. 106-115 

  3. 이규진(2005)." 건축공사 근로자의 현장내 이동작업시 발생하는 재해위험도",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6(3), pp. 120-127 

  4. 이현수, 김현수, 박문서, 이광표, 이사범(2009a)." 건설현장위험 영향요소 기반의 위험도 산정 방법론",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0(6), pp. 117-126 

  5. 이현수, 이광표, 박문서, 김현수, 이사범 (2009b)" 위치추적기술을 이용한 BIM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한국건설관리학회 10(6), pp.135-145 

  6. 최철호, "건설분야에서의 RFID 시스템 활용사례 및 발전방향",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 5회, 2004, pp. 145-149 

  7. An, S. (2007). "Integrated safety risk management for construction projects."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8. Blakey, L. (1990). "Bar Codes; prescription, performance and productivity."J. Constr. Eng. Manage., 116(3), pp. 468-479. 

  9. Carter, G. and Smith., S. D. (2006). "Safety hazard identification on construction projects."J. Constr. Eng. Manage., 132(2), pp. 197-205. 

  10. Davidson I. N. and Skibniewski, J. (1995). "Simulation of automated data collection in buildings."J. Comp. Civ. Eng., 9(1), pp. 9-20. 

  11. Dziadak, K., Kumar, B., Sommerville, J. (2009)" Model for the 3D location of buried assets based on RFID technology."J. Comp. Civ. Eng., 23(3), pp. 148-159. 

  12. Gowen, L. D. and Collofello, J. S. (1994)." Software safety and preliminary hazard analysis."Prof. Saf., November 1994, pp. 20-25. 

  13. Hallowell, M. R. and Gambatese, A. (2009)." Activity-based safety risk quantification for concrete formwork construction."J. Constr. Eng. Manage., 135(10), pp.990-998. 

  14. Health and Safety Commision. (1995) Designing for health and safety in constrcution, HSE Books, London. 

  15. Jannadi O. A., and Almishari S. (2003). "Risk assessment in construction."J. Constr. Eng. Manage., 129(5), pp. 492-499. 

  16. Jaselskis, E. J., El-Misalami, T. (2003) "Implent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 the construction process."J. Constr. Eng. Manage., 129(6), pp. 680-688. 

  17. Lu, M., and Shen, X., Chen, W. (2009). "Automated collection of mixer truck operations data in highly dense urban areas."J. Constr. Eng. Manage., 135(1), pp. 17-23. 

  18. McKinney, K. and Fischer, M. (1998). "Generating, evaluating and visualizing construction schedules with CAD tools."Autom. Constr., 7(6), pp. 433-447. 

  19. Navon, R. and Kolton, O. (2006). "Model for automated monitoring of fall hazards in building construction."J. Constr. Eng. Manage., 132(7), pp. 733-740. 

  20. Navon, R. and Kolton, O. (2007). "Algorithms for automated monitoring of fall hazards ." J. Comp. Civ. Eng., 21(1), pp. 21-28. 

  21. Oloufa, A., Ikeda, M., and Oda, H. (2003). "Situational awareness of construciton equioment using GPS, wireless and web technologies."Autom. Constr., 12(6), pp. 737-748. 

  22. Rasdorf, W. and Herbert, M. J. (1990). "Bar coding in construction engineering."J. Constr. Eng. Manage., 116(2), pp. 261-280. 

  23. Rilett, L. R. and Park, D. (2001)." Incorporating uncertainty and multiple objectives in real-time route selection."J. Transp. Engrg. 127(6). pp.531-539 

  24. Sacks, R., Rozenfeld, O. and Rozenfeld, Y. (2009) "Spatial and temporal exposure to safety hazards in construction."J. Constr. Eng. Manage., 135(8), pp. 726-736. 

  25. Schatterman, D., Herroelen, W., Van de Vonder, S., Boone, A. (2008). "Methodology for integrated risk management and proactive scheduling of construction projects."J. Constr. Eng. Manage., 134(11), pp. 885-893. 

  26. Torrent, D. and Caldas C. (2009). "Methodology for Automating the Identification and Localization of Construction Components on Industrial Projects"J. Comp. in Civ. Engrg. 23(3), pp. 3-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