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현장 위험영향요소 기반의 위험도 산정 방법론
Construction Risk Assessment Methodology Using Site Risk Influence Factors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0 no.6 = no.52, 2009년, pp.117 - 126  

이현수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김현수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박문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이광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이사범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 산업에 내재된 위험은 작업환경, 작업의 종류, 작업자의 특성 등이 결합되어 발생한다. 건설 현장의 가변적이며 유동적인 특성을 고려한다면 동일 공종이라도 내재된 특성들의 조합에 따라 위험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안전 관리 방식은 이러한 건설업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체 타산업과 유사한 안전 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현장의 다양한 위험 요소를 고려한 위험도 산정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 및 설문을 통해 위험 영향 요소를 도출하고 가중치 체계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빈도와 강도 기반의 공종별 위험도를 구하였다. 위험 영향 요소와 공종별 위험도를 결합하여 건설 현장의 상황에 맞는 위험도 산정 방법을 마련하였다. 이로써 건설 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위험도를 구할 수 있으며, 위험도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안전관리활동을 펼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험 영향 요소들을 고려하여 현장 특성을 반영한 위험도를 산정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work-related risk factors can cause construction site hazards. Considering variable and changeabl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site, risk of same trade can be different by combination of inherent characteristics. But established safety management has performed like other industries not ref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재해사례를 기반으로 기존의 위험도 산정에 통합적으로 고려되지 않았던 작업자, 작업환경, 작업에 관련된 현장의 조건을 반영함으로써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위험도 산정의 한계점으로 파악된 현장의 특성을 반영한 특정 시점의 공종에 대한 정량적 위험도 산정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이러한 현장의 특성과 재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한 위험도 산정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건설 산업에서 리스크는 넓은 의미로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프로젝트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불확실한 사건이나 상태를 말한다. 본 연구는 리스크 관리 중 재해발생에 영향을 가지는 요소를 고려한 공종별 위험도 산정을 중심으로 수행한다.
  • 본 연구에서는 상황에 따라 작업조건이 변화하고, 수많은 공종과 작업자, 다양한 외적 환경으로 구성되는 현장의 유동적 특성을 반영하는 건설현장의 위험도 산정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안전관리 및 위험도 산정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위험에 대한 정의와 선행연구 및 기존의 지표들을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미비점을 찾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위험도 산정 개선방안을 도출한다.
  • 국내와 미국에서는 다양한 지표를 통하여 재해의 발생률 및 강도를 판단한다. 이러한 방법은 현재의 상태에 대해 조사 및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상황을 여러 관점에서 조사하여 현재의 상황에 적용시켜 재해를 예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위험 강도와 빈도를 구하고 난 뒤 두 값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변환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대 위험 강도와 상대 위험 빈도를 도입하며, 강도와 빈도는 동등한 중요도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IL-STD-882B이란? 미 국방성 안전프로그램인 MIL-STD-882B는 빈도와 강도의 정량적 구분 기준을 제시하였지만, 기준이 명확하지 못하다. 또한 효율적 위험도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각 현장의 특성에 맞는 정의와 기준을 반영하여야 한다.
Jannadi가 정의한 위험이란? 위험(Risk), 위험도 산정(Risk Assessment)과 재해(Hazard)에 관한 많은 정의들이 있다. Jannadi(2003)은 위험(Risk)을 특정 활동에 속하는 모든 재해의 발생 가능성, 강도, 노출 정도의 측정이라고 정의 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안전 관리 지침에 의하면 위험은 재해의 발생 가능성과 강도의 조합으로 정의 하였다(BSI 1996, BSI 2000).
MIL-STD-882B의 특징은? 미 국방성 안전프로그램인 MIL-STD-882B는 빈도와 강도의 정량적 구분 기준을 제시하였지만, 기준이 명확하지 못하다. 또한 효율적 위험도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각 현장의 특성에 맞는 정의와 기준을 반영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노동부. (2000). 산업안전보건법 제 4조 제 1항 제 7호 

  2. 노동부. (2007) 2007년 산업재해현황분석, pp.1-12 

  3.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1999). 건설공사 종류별 위험도 조사 및 정량화 지수연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4. 고성석, 송혁, 이재용. (2004). '건축공사 공종별 위험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20(5) pp. 137-144 

  5. 고성석, 송혁, 이한민. (2005). '재해사례와 위험도지수를 활용한 건축공사 안전정보 시스템 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21(6) pp. 113-120 

  6. 김만장. (2003). '건설현장의 재해예방을 위한 건설안전교육의 개선방안',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 39-45 

  7. 김은정, 신동우, 김경래. (2008). '건설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에 맞는 안전교육 모델',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9(5), pp. 116-126 

  8. 이민우, 이찬식. (2000). '건설공사의 위험도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16(5) pp. 105-112 

  9. 이종빈, 고성석, 장성록. (2006). '중대재해사례와 작업강도를 고려한 건축공사 위험성 평가' 한국안전학회지, 21(4), pp. 102-107 

  10. 손창백, 김상철. (2005). '기후요소가 건설안전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20(2), pp. 91-96 

  11. 장성록, 고성속, 이종빈. (2007). '건축공사 공종별 위험지수 산정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22(6), pp. 63-68 

  12. British Standard Institute(BSI). (1996). 'Guide to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 BS 8800, London 

  13. British Standard Institute(BSI). (2000).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OHSAS 18001.', OHSAS 18002, London 

  14. Heinrich, H. W. (1939).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McGraw-Hill, New York 

  15. Quality Management and Quality Assurance Standard. (1984). System safety program requirements , MILSTD-882B 

  16. Baradan S. and Usmen, M.A. (2006). 'Comparative Injury and Fatality Analysis of Building Trades', J. Constr. Eng. Manage., 132(5), pp. 533-539 

  17. Chua D.K.H. and Goh Y.M. (2005). 'Poisson Model of Construction Incident Occurrence.' J. Constr. Eng. Manage., 131(6), pp. 715-722 

  18. Hinze J. and Gambatese J. (2003). 'Factors That Influence Safety Performance of Speciality Contractors' J. Constr. Eng. Manage., 129(2), pp. 159-164 

  19. Jannadi O. A., and Almishari S.(2003). 'Risk Assessment in Construction.', J. Constr. Eng. Manage., 129(5), pp. 492-499 

  20. Mohamed S. (2002). 'Safety Climate in Construction Site Environments' J. Constr. Eng. Manage., 128(5), pp. 375-384 

  21. Seo J. W. and Choi H. H. (2008). 'Risk-Based Impact Assessment Methodology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Projects in Korea' J. Constr. Eng. Manage., 134(1), pp. 72-81 

  22. Suraji A., Duff A. R., Peckitt S. J. (2001) 'Development of Causal Model of Construction Accident Causation', J. Constr. Eng. Manage., 127(4), pp. 337-344 

  23. Toole, T. M. (2002). 'Construction site safety roles.', J. Constr. Eng. Manage., 128(3), pp. 203-2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