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USN 기반의 사면붕괴 모니터링 시나리오 개발
Development of a USN-Based Monitoring Scenario for Slope Failures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1 no.6, 2010년, pp.122 - 130  

김균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는 국토의 70%가 산지이고, 매년 7월~9월에 태풍과 집중호우가 있어, 사면붕괴가 매우 큰 피해를 끼치고 있다. 사면붕괴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정부, 학계, 연구계, 산업계는 유선기반의 사면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 설치하는 등 피해 저감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유선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면거동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기 시작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낙뢰 등으로 인한 시스템 오류 가능성, 시스템 복구 및 관리의 어려움 등 유선시스템으로서의 한계가 노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USN 기반의 사면붕괴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사면계측 및 USN 기술동향을 분석하고, 국내 사면붕괴 피해현황 및 사면붕괴 사례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USN과 사면 모니터링 기술이 접목된 USN 기반 사면붕괴 모니터링의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센서의 사양을 설정하고, 시스템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후속연구인 사면붕괴 모니터링 프로토타입 시스템 개발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궁극적으로는 USN 기반의 사면붕괴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 및 현장 적용을 통하여 사면재해 예방 및 피해 최소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venty percent of Korea's national territory is covered with mountains, and the land is frequently exposed to typhoons and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s, particularly in July through September. For this reason, slope failure is one of the most frequent types of natural disasters in Korea. To pre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USN 기반의 사면붕괴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사면계측 동향 및 USN 기술동향을 분석하고, 국내 사면붕괴 피해현황 및 사면붕괴 사례를 고찰하였다.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USN 기반의 사면붕괴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즉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면환경에 적합한 사면붕괴 모니터링의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개발된 시나리오에 적합한 센서 사양 등을 설정하고자 한다.
  • 즉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면환경에 적합한 사면붕괴 모니터링의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개발된 시나리오에 적합한 센서 사양 등을 설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나리오개발 및 센서사양 설정을 통해, 향후 사면붕괴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의 기반을 제공하고, 궁극적으로는 사면재해 예방 및 피해 최소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USN 기반의 사면붕괴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즉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면환경에 적합한 사면붕괴 모니터링의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개발된 시나리오에 적합한 센서 사양 등을 설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나리오개발 및 센서사양 설정을 통해, 향후 사면붕괴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의 기반을 제공하고, 궁극적으로는 사면재해 예방 및 피해 최소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U-IT란? 최근 홈 네트워크 및 유비쿼터스 정보기술 (Ubiquitous Information Technology; U-IT)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U-IT란, 무수히 많은 지능화된 사물들로부터 언제 어디서나 편안하고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해 주는 이용자 중심의 정보기술을 말한다(한국RFID/USN협회, 2008). 이러한 U-IT 중 가장 각광받는 기술 중 하나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 USN)이다.
USN이란? USN은 네트워크가 널리 편제되어 있어서 어떠한 기기를 이용하든지 고속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인프라이다. 즉 USN이란, 정보수집을 위한 각종 센서가 널리 편재되어 있고, 언제 어디서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수집된 정보를 활용하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인프라를 말한다(한국RFID/USN 협회, 2008). 이러한 USN은 기존 유선시스템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 즉, 선의 단락으로 인한 네트워크의 붕괴, 고가의 시공비, 사람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곳에 대한 유지관리의 어려움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사면 붕괴의 대책공법인 보호공법과 보강공법을 설명하면? 사면붕괴의 대책공법은 크게 보호공법과 보강공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보호공법이란, 사면이 현시점을 기준으로 허용 기준 안전율을 확보하고 있으나, 향후 우수나 풍화진행 등에 의해 안전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법이다. 그리고 보강공법이란, 사면 활동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거나 활동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기준의 안전율을 확보하기 위한 일련의 공법을 말한다. 그리고 대책공법을 세부적으로 분류하면, 활동 하중을 경감하는 공법과 활동을 억제하는 공법, 낙석을 제어하는 공법, 절토사면 표면을 보호하는 공법, 수리 특성을 제어하는 공법, 기타 공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국립방재연구소(2002), 사면붕괴의 유형별 원인과 저감대책 연구 

  2. 국립방재연구소(2004), 사면붕괴감지 및 관측에 관한 연구(I), 소방방재청 

  3. 남상엽 외 2인(2006),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도서출판 상학당 

  4. 장기태 외 7인(2001), 광섬유격자 센서를 활용한 사면거동 실시간 안전진단시스템, 한국지반공학회 사면안정기술위원회학술발표회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4), 2003년도 도로절토사면 유지관리 시스템 개발 및 운용, 건설교통부 

  6.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6), 2005년도 도로절토사면 유지관리 시스템 개발 및 운용, 건설교통부 

  7. 한국RFID/USN 협회(2008), 유비쿼터스지식능력검정 

  8. 한재구, 김균태(2007), USN 기술을 이용한 사면붕괴모니터링 시범시스템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정기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316-3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