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류 양식장의 세균학적 수질에 미치는 강우의 영향
Impact of Rainfall Events on th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of the Shellfish Growing Area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3 no.5, 2010년, pp.406 - 414  

이태식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오은경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유현덕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하광수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유홍식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변한석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김지회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pact of rainfall events on the sanitary indicator bacteria density of the shellfish-growing waters in Geoje Bay and Jaran Bay in Korea was investigated. The shellfish-growing area in Geoje Bay, which is a nearly closed basin, was not affected significantly, except near the stream mouth after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강우가 패류생산해역의 세균학적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주요 굴 생산지인 경남 거제시의 거제만과 경남 고성군의 자란만의 배수유역에 위치한 자연하천을 주요 오염원으로 선정하고, 각 하천의 하구에서 거리별로 해역에 조사지점을 설정하여 강우 후 경과시간별 세균학적 수질변동을 시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에서 허가해역, 제한해역, 금지해역 등으로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분변계대장균 (fecal coliform)은 패류 생산해역에 대한 위생관리 프로그램에 인축의 분변오염 지표로 오래 전부터 사용되고 있고, 또 해역 분류기준으로 여러 나라에서 활용하고 있다 (US FDA, 2007; European Commission, 2004). 미국에서는 해수 중의 분변계대장균 농도에 따라 허가해역, 제한해역, 금지해역 등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US FDA, 2007), 유럽연합 (European Union, EU)에서는 패류생산해역을 패류 중 대장균 (Escherichia coli) 농도에 따라 A, B 및 C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European Commission, 2004).
패류의 먹이 섭취 방법은? 패류는 이동성이 거의 없고, 여과섭식 활동을 통하여 먹이를 섭취하며, 이 때 주위 해수 중에 부유하는 병원성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각종 위해인자도 함께 섭취하여 체내에 축적하게 된다. 근년, 사람과 온혈동물의 분변에서 유래하는 장내 병원 세균이나 병원바이러스에 오염된 패류 섭취로 인한 감염증은 전 세계적으로 식품위생상 문제가 되고 있으며, 심한 경우 사망까지도 초래한다 (Rippey, 1994; Feldhusen, 2000; Potasman et al.
유럽연합에서 패류생산해역을 A, B 및 C등급으로 분류하는 해역 분류기준은 무엇인가 분변계대장균 (fecal coliform)은 패류 생산해역에 대한 위생관리 프로그램에 인축의 분변오염 지표로 오래 전부터 사용되고 있고, 또 해역 분류기준으로 여러 나라에서 활용하고 있다 (US FDA, 2007; European Commission, 2004). 미국에서는 해수 중의 분변계대장균 농도에 따라 허가해역, 제한해역, 금지해역 등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US FDA, 2007), 유럽연합 (European Union, EU)에서는 패류생산해역을 패류 중 대장균 (Escherichia coli) 농도에 따라 A, B 및 C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European Commission,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P.H.A. 1970. Recommended Procedures for the Examination of Seawater and Shellfish. 4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Inc., New York, U.S.A. 105. 

  2. European Commission. 1991. Council Directive of 15 July 1991 laying down the health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and the placing on the market of live bivalve molluscs (91/492/EEC). Off J Eur Communities 268, 1-14. 

  3. European Commission. 2004. Regulation (EC) No 854/2004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9 April 2004 laying down specific rules for the organisation of official controls on products of animal origin intended for human consumption. Off J Eur Communities L155, 206-321. 

  4. Feldhusen F. 2000. The role of seafood in bacterial foodborne diseases. Microbes Infect 2, 1651-1660. 

  5. Gerba CP and McLeod JS. 1976. Effect of sediments on the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in marine waters. Appl Environ Microbiol 32, 114-120. 

  6. Ha KS, Shim KB, Yoo HD, Kim JH and Lee TS. 2009.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ish growing area in Hansan-Geojeman, Korea. Kor J Fish Aquat Sci 42, 449-455. 

  7. Hunter C, Perkins J, Tranter J and Gunn J. 1999. Agricultural land-use effects on the indicator bacterial quality of an upland stream in the Derbyshire Peak District in the UK. Water Res 33, 3577-3586. 

  8. Hwang YJ. 2009. Food Balance Sheet, 2008.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p. 293. 

  9. Kim SJ. 1975. Sanitary studies of oysters and growing areas in the south coast of Korea. Bul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Agency 14, 1-79. 

  10. Mallin MA, Esham EC, Williams KE and Nearhoof JE. 1999. Tidal stage variability of fecal coliform and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in coastal creeks. Mar Pollut Bull 38, 414-422. 

  11. Mallin MA, Williams KE, Esham EC and Lowe RP. 2000. Effect of human development on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in coastal watersheds. Ecol Appl 10, 1047-1056. 

  12. Mallin MA, Ensign SH, McIver MR, Shank GC and Fowler PK. 2001. Demographic, landscape, and meteorological factors controlling the microbial pollution of coastal waters. Hydrobiologia 460, 185-193. 

  13. Pawiro S. 2010. Bivalves: Global production and trade trends. In: Safe Management of Shellfish and Harvest Waters. Rees G, Pond K, Kay D, Bartram J and Santo Domingo J, eds. WHO/IWA, 11-19. 

  14. Potasman I, Paz A and Odeh M. 2002. Infectious outbreaks associated with bivalve shellfish consumption: A worldwide perspective. Clin Infect Dis 35, 921-928. 

  15. Rippey SR, 1994. Infectious diseases associated with molluscan shellfish consumption. Clin Microbiol Rev 7, 419-425. 

  16. Sayler GS, Nelson JD Jr, Justice A and Colwell RR. 1975. Distribution and significance of fecal indicator organisms in the upper Chesapeake Bay. Appl Microbiol 30, 625-638. 

  17. Selegean JPW, Kusserow R, Patel R, Heidtke TM and Ram JL. 2001. Using zebra mussel to monitor Escherichia coli in environmental waters. J Environ Qual 30, 171-179. 

  18. Shim KB, Ha KS, Yoo HD, Kim JH and Lee TS. 2009.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ish growing area in Jaranman-Saryangdo area, Korea. Kor J Fish Aquat Sci 42, 442-448. 

  19. Solic M and Krstulovic N. 1992. Separate and combined effects of solar radiation, temperature, salinity, and pH on the survival of faecal coliforms in seawater. Mar Pollut Bull 24, 411-416. 

  20. Son NT and Fleet GH. 1980. Behavior of pathogenic bacteria in the oyster, Crassostrea commercialis, during depuration, re-laying, and storage. Appl Environ Microbiol 40, 994-1002. 

  21. U.S.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7. National Shellfish Sanitation Program, Guide for the control of molluscan shellfish, Model ordinance. Retrieved from http://www.fda.gov/Food/FoodSafety/ Product-SpecificInformation/Seafood/FederalStatePrograms/NationalShellfishSanitationProgram/default.htm on June 18,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