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과 개정교육과정의 그래프와 일차변환 단원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Graph and Linear Transformation in the Mathematics Amended Curriculum 원문보기

한국수학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23 no.4, 2010년, pp.83 - 100  

황석근 (경북대학교 수학교육과) ,  윤정호 (매천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6년 8월에 고시된 수학과 개정교육과정의 그래프와 일차변환의 내용이 학교 현장에서 지도될 때 생길 수 있는 문제점들을 제시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 7차교육과정 이후의 두단원에 대한 선행연구들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수학I', '수학의 활용' 그리고 '기하와 벡터' 과목의 검인정 교과서 및 익힘책 전부(27종 전 54권)에 대하여 두 단원의 학습내용을 비교하여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학교현장에서 두 단원에 대한 교사의 교육과정 이해도 제고와 교육과정 내용의 올바른 적용 적용 방안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to raise several questions in teaching the Graph and Linear Transformation complied with the Mathematics Amended Curriculum announced in 2006 Aug. and then to formulate a plan accordingly. For this, we'll take a good look at the prior studies on the Graph and Linear Transformation afte...

주제어

참고문헌 (41)

  1. 강옥기,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발전 과제", 수학교육학 논총 37(2010), 1-5. 

  2.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5 수학, 교육과학기술부, 2008. 

  3. 교육인적자원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 교육인적자원부, 2007. 

  4. 교육인적자원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수학, 교육인적자원부, 2000. 

  5. 교육인적자원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 교육인적자원부, 1997. 

  6. 김민경, "컴퓨터 기반의 이산수학에 관한 연구-Leslie 행렬 모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38(1999) No.2, 189-197. 

  7. 김화준, 한수영, "그래프 이론의 역사적 배경과 그 컴퓨터 표현", 한국수학사학회지 18(2005) No.1, 103-110. 

  8. 대한수학회, 수학용어집-증보판, 청문각, 1994. 

  9. 소경희, 교육과정 개발-주요 쟁점 및 새로운 접근-, 교육과학사, 2005. 

  10. 신경희, "선형대수에서의 학생들의 오개념-일차변환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논문집 19(2005) No.2, 379-388. 

  11. 윤현진, 박선용, 김서령, 이영하, 수학과 교육내용 개선방안 연구-이산수학, 확률과 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C 2009-3-3, 2009 

  12. 이준열, "이산수학 제7차 교육과정의 구현방안 연구", 수학교육 41(2002) NO.1, 17-37. 

  13. 이재학, "교사양성대학에서의 이산수학 교육과정", 수학교육논문집 15(2003a), 43-52. 

  14. 이재학, "중등교사 양성을 위한 이산수학 강좌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 42(2003b) No.4, 579-588. 

  15. 최승현, 고정화, 도종훈, 박선화, 신성균, 이광우, 최인봉, 고등학교 수학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RRC 2006-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16. 최영한, "선형 대수의 가르침에 고려해야 할 사항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18(2004) No.2, 93-108. 

  17. 한길준, "학교에서의 이산수학과 그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사학회지 16(2003) NO.1, 45-62. 

  18. 허은숙, 고등학교에서의 선형대수 개념 지도에 관한 연구-수학적 연결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19. 홍갑주, "일차변환 관점에서의 도형의 성질 이해 및 학교수학에의 시사점" 수학교육 47(2008) No.4, 437-445. 

  20. 김해경 외 8인(2009)외 검인정 교과서 14종, 수학 I 교과서 

  21. 김해경 외 8인(2009)외 검인정 익힘책 14종, 수학 I 익힘책 

  22. 정상권 외 8인(2009)외 검인정 교과서 2종, 수학의 활용교과서 

  23. 정상권 외 8인(2009)외 검인정 익힘책 2종, 수학의 활용 익힘책 

  24. 김해경 외 23인(2009)외 검인정 교과서 9종, 기하와 벡터 교과서 

  25. 김해경 외 23인(2009)외 검인정 익힘책 9종, 기하와 벡터 익힘책 

  26. A. Coxford, The Case for Connection. House, P. (Ed.), Connecting Mathematics across the Curriculum, 3-12, NCTM, 1995 

  27. A. Dossey, Discrete Mathematics: The Math for Our Time, Kenny, Margaret J. & Christian R. H.(Eds.), Discrete Mathematics across the Curriculum K-12, 1-9, NCTM, 1991 Yearbook 

  28. B. Cozzens, Discrete Mathematics: A Vehicle for Problem Solving and Excitement, Rosenstein, Joseph G., Deborah S. Franzblau and Fred S. Robers(Eds.), Discrete Mathematics in the Schools, Series in Discrete Mathematics and Theoretical Computer Science(DIMACS), 1997 

  29. B. Hoyer, A Discrete Mathematics Experience with General Mathematics Students, Rosenstein, Joseph G., Deborah S. Franzblau and Fred S. Robers(Eds.), Discrete Mathematics in the Schools, Series in Discrete Mathematics and Theoretical Computer Science(DIMACS), 1997 

  30. B. Maurer, What is Discrete Mathematics? The Many Answers, Rosenstein, Joseph G., Deborah S. Franzblau and Fred S. Robers(Eds.), Discrete Mathematics in the Schools, Series in Discrete Mathematics and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DIMACS), 1997 

  31. E. Perham & H. Perham, A computer-based discrete mathematics course, In Kennedy, M. J., & Hirsch, C. R. (Eds.), Discrete Mathematics across the Curriculum K-12, 117-127, NCTM, 1991 Yearbook 

  32. G. Brousseau, Theory of Didactical Situations in Mathematic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7 

  33. G. Rosenstein, Discrete in the Schools: An Opportunity to vitalize School Mathematics, Rosenstein, Joseph G., Deborah S. Franzblau and Fred S. Robers(Eds.), Discrete Mathematics in the Schools, Series in Discrete Mathematics and Theoretical Computer Science(DIMACS), 1997 

  34. K. Proulx, The Role of Computer Science and Discrete Mathematics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Rosenstein, Joseph G., Deborah S. Franzblau and Fred S. Robers(Eds.), Discrete Mathematics in the Schools, Series in Discrete Mathematics and Theoretical Computer Science(DIMACS), 1997 

  35. L. Crowley, Transformations: Making Connections in High School Mathematics, In House, P. (Ed.), Connecting Mathematics across the Curriculum, 79-91, NCTM, 1995 

  36. NCTM,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CTM, 1989 

  37. NCTM,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CTM, 2000 

  38. S. Roberts, The Role of Applications in Teaching Discrete Mathematics, Rosenstein, Joseph G., Deborah S. Franzblau and Fred S. Robers(Eds.), Discrete Mathematics in the Schools, Series in Discrete Mathematics and Theoretical Computer Science(DIMACS), 1997 

  39. T. Aoki, Inspiriting the Curriculum, In Pinar, W. F. and Irwin, R. L. (Eds), Curriculum in a New Key: The Collected Works of Ted T. Aoki.(pp.357-365),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5(1987) 

  40. The Linear Algebra Curriculum Study Group, Recommendations for a first course in linear algebra, The College Mathematics Journal 24(1993), 41-44 

  41. W. Hart, Discrete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Rationale and Examples from Core-Plus Mathematics Project, Rosenstein, Joseph G., Deborah S. Franzblau and Fred S. Robers(Eds.), Discrete Mathematics in the Schools, Series in Discrete Mathematics and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DIMACS),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