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jongsi persimmon (Diospyros kaki) is the major cultivar of astringent persimmon in southern of Korea. Kojongsi persimmon leaf has been traditionally used for acute and chronic diseases in Oriental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진안군 운장산 일대에서 재배되고 있는 고종시를 대상으로 성장 시기에 따라 감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고, 단감 및 두레시 품종과 유효 성분 함량을 비교하였으며, 자외선 B 조사에 의한 인간 유래 각질 세포주인 HaCaT 세포의 손상에 대한 감잎의 보호 효과를 조사한 결과 매우 흥미로운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산화적 스트레스는 일반적으로 인체생리계에 급성 및 만성 질환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 시기에 따른 고종시 잎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또한 본 연구는 감잎 성장 시기에 따른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와 같은 방법으로 감잎을 채집하여 시기별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Fig.

가설 설정

  • of 3 replicates. A: Total flavonoid levels during growth. B: Total flavonoid levels of leaf extracts of the persimmon varieties on June 29.
  • of 3 replicates. A: Total polyphenol levels during growth. B: Total polyphenol levels of leaf extracts of the persimmon varieties on June 29.
  • D: 100 µg/mL Kojongsi persimmon leaf extracts plus UVB irradiation). E: Cell viability by MTT assay. *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잎의 임상적 약리 작용에 따른 효능은 무엇인가? 감잎은 감잎차의 원료로 오래전부터 한방 및 민간에서 이용되어 왔다. 감잎의 임상적 약리 작용에 따른 효능은 동의보감과 본초강목 등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순환기질환, 소화기궤양 및 당뇨병 등 만성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는 주요성분은 비타민 A, C, D 및 엽산 그리고 탄닌과 같은 물질이 풍부히 함유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성장 시기에 따른 감잎 추출물 항산화 효과 연구 결과,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급격히 상승하는 6월 말경의 감잎 추출물은 무엇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가?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성장 시기에 따른 감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6월 말경에 급격히 상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 시기의 감잎 추출물은 DPPH와 NO 라디칼 소거 활성과 SOD 유사 활성에 우수한 효과가 있었다. 더불어 감잎 추출물은 강한 항산화 작용으로 자외선 B로부터 세포를 보호할수 있는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감잎에는 어떤 성분이 풍부히 함유되어 만성 질환에 효과가 있는가? 감잎의 임상적 약리 작용에 따른 효능은 동의보감과 본초강목 등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순환기질환, 소화기궤양 및 당뇨병 등 만성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는 주요성분은 비타민 A, C, D 및 엽산 그리고 탄닌과 같은 물질이 풍부히 함유되어 있음이 밝혀졌다.5,6) 감잎에 대한 효능연구는 항돌연변이, 항산화, 혈압강하, 항염증작용 등에 대한 효능이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ondo, T., Hirose, M. and Kageyama, K. (2009) Roles of oxidative stress and redox regulation in atherosclerosis. J. Atheroscler Thromb. 16: 532-538. 

  2. Mimeault, M. and Batra, S. K. (2010) Recent advances on skin-resident stem/progenitor cell functions in skin regeneration, aging and cancers and novel anti-aging and cancer therapies. J. Cell Mol. Med. 14: 116-134. 

  3. Geronikaki, A. A. and Gavalas, A. M. (2006) Antioxidants and inflammatory disease: synthetic and natural antioxidants with anti-inflammatory activity. Comb. Chem. High Throughput Screen. 9: 425-442. 

  4. Kumar, S., Kuma, D., Manjusha., Saroha, K., Singh, N. and, Vashishta, B. (2008)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Citrullus colocynthis (L.) Schrad. methanolic fruit extract. Acta Pharm. 58: 215-220. 

  5. 정경미, 강가화, 권민경, 송인규, 조두현, 추연대 (2004) 감잎의 품종별 화학성분과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1: 175-181. 

  6. 김종국, 이원영 (2002) 감잎의 성장시기에 따른 화학성분 변화.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2: 32-37. 

  7. Lee, M. H., Jiang, C. B., Juan, S. H., Lin, R. D. and Hou, W. C. (2006) Antioxidant and heme oxygenase-1 (HO-1)-induced effects of selected Taiwanese plants. Fitoterapia 77: 109-115. 

  8. Bei, W., Peng, W., Ma, Y. and Xu, A. (2005)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Diospyros kaki reduce hydrogen peroxide-induced injury of NG108-15 cells. Life Sci. 76: 1975-1988. 

  9. Katsube, T., Tabata, H., Ohta, Y., Yamasaki, Y., Anuurad, E., Shiwaku, K. and Yamane, Y.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in edible plant products: comparison of low-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assay,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and Folin-iocalteu assay. J. Agric. Food Chem. 52: 2391-2396. 

  10. Kotani, M., Matsumoto, M., Fujita, A., Higa, S., Wang, W., Suemura, M., Kishimoto, T. and Tanaka, T. (2000) Persimmon leaf extract and astragalin inhibit development of dermatitis and IgE elevation in NC/Nga mice. J. Allergy Clin. Immunol. 106: 159-166. 

  11. Chen, G., Lu, H., Wang, C., Yamashita, K., Manabe, M., Meng, Z., Xu, S. and Kodama, H. (2002) Effect of five flavonoid compounds isolated from leaves of Diospyros kaki on stimulus-induced superoxide generation and tyrosyl phosphorylation of proteins in human neutrophils. Clin. Chim. Acta 326: 169-175. 

  12. Matsumoto, M., Kotani, M., Fujita, A., Higa, S., Kishimoto, T., Suemura, M. and Tanaka, T. (2002) Oral administration of persimmon leaf extract ameliorates skin symptoms and transepidermal water loss in atopic dermatitis model mice, NC/Nga. Br. J. Dermatol. 146: 221-227. 

  13. Bei, W., Peng, W., Ma, Y. and Xu, A. (2005)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Diospyros kaki reduce hydrogen peroxideinduced injury of NG108-15 cells. Life Sci. 76: 1975-1988. 

  14. Fukai, S., Tanimoto, S., Maeda, A., Fukuda, H., Okada, Y. and Nomura, M. (2009) Pharmacological activity of compounds extracted from persimmon peel (Diospyros kaki THUNB.). J. Oleo. Sci. 58: 213-219. 

  15. Chen, X. N., Fan, J. F., Yue, X., Wu, X. R. and Li, L. T.(2008)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in persimmon (Diospyros kaki L. cv. Mopan). J. Food Sci. 73: C24-28. 

  16. Peterson, D. M., Emmons, C. L and Hibbs, A. H. (2001) Phenolic antioxidant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rling fracfractions of oat groats. J. Cereal Sci. 33: 97-103. 

  17. Moreno, D. A., Carvajal, M., Lopez-Berenguer, C. and Garcia-Viguera, C. (2006) Chem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ation of nutraceutical compounds of broccoli. J. Pharm. Biomed. Anal. 41: 1508-1522. 

  18.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 Marklund, S. and Marklund, G. (1975)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20. Gray, J. I. and Dugan, J. R. L.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5. 

  21. Coyle, J. T. and Puttfarcken, P. (1993) Oxydative stress, glutamate and neurodegenerative disorder. Science 262: 689-695. 

  22. Chao, J., Lau, W. K., Huie, M. J., Ho, Y. S., Yu, M. S., Lai, C. S., Wang, M., Yuen, W. H., Lam, W. H., Chan, T. H. and Chang, R. C. (2010) A pro-drug of the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prevents differentiated SH-SY5Y cells from toxicity induced by 6-hydroxydopamine. Neurosci Lett. 469: 360-364. 

  23. Bengmark, S., Mesa, M. D. and Gil, A. (2009) Plant-derived health: the effects of turmeric and curcuminoids. Nutr. Hosp. 24: 273-281. 

  24. Liu, W. and Wu, S. (2010) Differential roles of nitric oxide synthases in regulation of ultraviolet B light-induced apoptosis. Nitric Oxide in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