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국소적 인자에 대한 19년간의 후향적 연구
The effects of local factors on the survival of dental implants: A 19 year retrospective study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48 no.1, 2010년, pp.28 - 40  

김성회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교실) ,  김선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교실) ,  이근우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교실) ,  한동후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 목적: 임플란트의 성공과 실패는 숙주 관련 요인, 위치 관련 요인, 수술 관련 요인, 임플란트 관련 요인, 수복물 관련 요인 등 다양한 인자에 의해 결정된다. 본 연구는 그 중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골질, 임플란트 표면, 길이 및 직경, 초기 안정성, 보철물 유형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임플란트의 예후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1991년 2월부터 2009년 5월 사이에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에서 5인의 외과의가 임플란트 수술을 시행하고, 1인의 보철 전문의에 의해 보철 수복이 이루어져 적어도 6개월 이상 보철물에 대한 주기적인 검사가 이루어진 879명환자, 2796개의 임플란트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진료 기록부 및 방사선 사진을 통해 환자의 식립 당시 나이와 성별, 임플란트의 제조회사, 표면, 직경 및 길이, 식립 부위 및 골질, 초기 안정성, 보철물의 유형, 생존 기간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임플란트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국소 인자의 유형, 분포 및 국소 인자와 생존율 간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생존율 분석은 Kaplan-Meier 생존 분석법을 이용하였으며, 평가 인자 내 항목들의 생존율 비교는 Chi-square test를 사용하였다. 또한, 임플란트의 실패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해 오즈비 (odds ratio)를 구하였다. 결과: 1. 총 879명에게 식립된 2796개의 임플란트 중 150개가 실패하여 누적 생존율은 94.64%로 나타났다. 그 중 기계 절삭 표면 임플란트의 누적 생존율은 91.76%, 거친 표면 임플란트의 누적 생존율은 96.02% 이었다. 2. 식립위치, 임플란트의 표면 특성, 기계 절삭 표면 임플란트의 직경, 초기 안정성, 보철물 유형, 환자의 연령 및 성별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P<.05). 3. 식립 부위의 골질, 임플란트 제조사별 거친 표면 특성, 임플란트의 길이 및 기계 절삭 표면을 제외한 거친 표면 임플란트의 직경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05). 4. 특히, 실패율이 높은 경우는 상악 구치부에 식립 시 (8.84%), 기계 절삭 표면의 임플란트 식립 시 (8.24%), 기계 절삭 표면 임플란트 중 wide 직경을 사용하는 경우 (14.47%), 초기 고정이 불량한 경우 (28.95%), 상악에 implant retained overdenture (기계 절삭 표면 26.69%; 거친 표면 10%) 및 telescopic denture (기계 절삭 표면 100%; 거친 표면 27.27%)로 수복하는 경우, 60-79세 환자에게 식립하는 경우 (6.90%), 남성에게 식립하는 경우 (6.36%) 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provide long-term data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multifactorial local factors and the survival of implants. Material and methods: During 19 years (1991 to 2009), 2796 implants were placed in 879 patients. From dental charts and radiographs, the...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플란트의 조기 실패는 무엇에 의해 발생하는가? 한편, 실패 시기에 따라 조기 실패 (early failure) 및 지연 실패 (late failure)로 분류 될 수 있다. 식립 후 수주에서 수개월 내에 골유착 획득에 실패하는 경우 조기 실패로 분류되며, 이는 수술 중 외상으로 인한 골괴사, 세균 감염, 초기 안정성 부족, 임플란트 조기 부하에 기인한다.12 기능 부하를 가한 후 골유착 확립 및 유지에 실패하는 경우 지연 실패로 분류되며, 이는 감염 및 과도한 부하 (overload)로 인해 발생한다.
임플란트의 실패 양상에 따른 실패 유형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실패 양상 및 시기에 따라 실패 유형을 분류 할 수 있다. Esposito 등11 은 생물학적 과정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실패를 생물학적 실패 (biologic failure), 고정체 파절, 나사 풀림 및 파절, 보철물 파절 및 탈락 등 구조물과 연관된 실패를 역학적 실패 (mechanical failure)라고 하였다. 한편, 실패 시기에 따라 조기 실패 (early failure) 및 지연 실패 (late failure)로 분류 될 수 있다.
임플란트 실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임플란트 실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로는 환자의 연령, 성별, 전실질환, 흡연 및 이상 기능 습관, 구강 위생 상태 등의 숙주 관련 요인 (host related factor)과 악궁 내 위치, 골질, 골량, 식립 부위의 감염 여부 등의 위치 관련 요인 (site related factor), 초기 안정성, 임플란트 식립 위치와 방향, 술자의 능력 등의 수술 관련 요인 (surgery related factor), 임플란트의 거시 및 미세 구조, 표면, 길이와 직경 등의 임플란트 관련 요인 (implant related factor), 보철물 유형 및 유지 방식 (screw type or cement type), 교합 양식 등 수복물 관련 요인 (restoration related factor) 등 다양하다.8,9 그 중에서 도 1981년 Albrektsson 등10 이 언급한 임플란트 디자인과 표면, 식립 부위의 상태, 외과 술식, 부하 조건 등이 성공적인 골유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dell R, Lekholm U, Rockler B, Branemark PI. A 15-year study of osseointegrated implants in the treatment of the edentulous jaw. Int J Oral Surg 1981;10:387-416. 

  2. Adell R, Eriksson B, Lekholm U, Branemark PI, Jemt T. Long-term follow-up study of osseointegrated implants in the treatment of totally edentulous jaw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0;5:347- 59. 

  3. Buser D, Mericske-Stern R, Bernard JP, Behneke A, Behneke N, Hirt HP, Belser UC, Lang NP. Long-term evaluation of nonsubmerged ITI implants. Part 1: 8-year life table analysis of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with 2359 implants. Clin Oral Implants Res 1997;8:161-72. 

  4. Esposito M, Grusovin MG, Coulthard P, Thomsen P, Worthington HV. A 5-year follow-up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fficacy of various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 system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5;20:557-68. 

  5. Romeo E, Lops D, Margutti E, Ghisolfi M, Chiapasco M, Vogel G. Long-term survival and success of oral implants in the treatment of full and partial arches: a 7-year prospective study with the ITI dental implant system.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4;19:247- 59. 

  6. Han DH, Bae EK. Longitudinal clinical study on the efficacy of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s in partially edentulous Korean patients: an 8-years prospective study.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1;39:698-708. 

  7. Seo JY, Shim JS, Lee JH, Lee KW. Clinical and radiographical evaluation of implant-supported fixed partial prostheses. J Korean Acad Prosthodont 2006;44:394-404. 

  8. el Askary AS, Meffert RM, Griffin T. Why do dental implants fail? Part I. Implant Dent 1999;8:173-85. 

  9. el Askary AS, Meffert RM, Griffin T. Why do dental implants fail? Part II. Implant Dent 1999;8:265-77. 

  10. Albrektsson T, Branemark PI, Hansson HA, Lindstrom J. Osseointegrated titanium implants. Requirements for ensuring a long-lasting, direct bone-to-implant anchorage in man. Acta Orthop Scand 1981;52:155-70. 

  11. Esposito M, Hirsch JM, Lekholm U, Thomsen P. Biological factors contributing to failures of osseointegrated oral implants. (II). Etiopathogenesis. Eur J Oral Sci 1998;106:721-64. 

  12. Tonetti MS, Schmid J. Pathogenesis of implant failures. Periodontol 2000 1994;4:127-38. 

  13. Albrektsson T, Dahl E, Enbom L, Engevall S, Engquist B, Eriksson AR, Feldmann G, Freiberg N, Glantz PO, Kjellman O, et al. Osseointegrated oral implants. A Swedish multicenter study of 8139 consecutively inserted Nobelpharma implants. J Periodontol 1988;59:287-96. 

  14. Buser D, Weber HP, Lang NP. Tissue integration of non-submerged implants. 1-year results of a prospective study with 100 ITI hollowcylinder and hollow-screw implants. Clin Oral Implants Res 1990;1:33-40. 

  15. Cochran DL, Buser D, ten Bruggenkate CM, Weingart D, Taylor TM, Bernard JP, Peters F, Simpson JP. The use of reduced healing times on ITI implants with a sandblasted and acid-etched (SLA) surface: early results from clinical trials on ITI SLA implants. Clin Oral Implants Res 2002;13:144-53. 

  16. Bryant SR. The effects of age, jaw site, and bone condition on oral implant outcomes. Int J Prosthodont 1998;11:470-90. 

  17. Shirota T, Ohno K, Suzuki K, Michi K. The effect of aging on the healing of hydroxylapatite implants. J Oral Maxillofac Surg 1993;51:51-6. 

  18. Smith RA, Berger R, Dodson TB.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ental implants in healthy and medically compromised patie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2;7:367-72. 

  19. Schwartz-Arad D, Laviv A, Levin L. Failure causes, timing, and cluster behavior: an 8-year study of dental implants. Implant Dent 2008;17:200-7. 

  20. Wagenberg B, Froum SJ. A retrospective study of 1925 consecutively placed immediate implants from 1988 to 2004.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6;21:71-80. 

  21. Misch CE. Short dental implants: a literature review and rationale for use. Dent Today 2005;24:64-6, 68. 

  22. Renouard F, Nisand D. Impact of implant length and diameter on survival rates. Clin Oral Implants Res 2006;17:35-51. 

  23. Ivanoff CJ, Gro ¨ndahl K, Sennerby L, Bergstrom C, Lekholm U. Influence of variations in implant diameters: a 3- to 5-year retrospective clinical repor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9;14:173- 80. 

  24. Shin SW, Bryant SR, Zarb GA.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treatment outcome of wide-bodied implants. Int J Prosthodont 2004;17:52-8. 

  25. Meredith N, Shagaldi F, Alleyne D, Sennerby L, Cawley P. The application of resonance frequency measurements to study the stability of titanium implants during healing in the rabbit tibia. Clin Oral Implants Res 1997;8:234-43. 

  26. Huwiler MA, Pjetursson BE, Bosshardt DD, Salvi GE, Lang NP.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in relation to jawbone characteristics and during early healing of implant installation. Clin Oral Implants Res 2007;18:275-80. 

  27. Rabel A, Kohler SG, Schmidt-Westhausen AM. Clinical study on the primary stability of two dental implant systems with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Clin Oral Investig 2007;11:257-65. 

  28. Park JH, Lim YJ, Kim MJ, Kwon HB. The effect of various thread designs on the initial stability of taper implants. J Adv Prosthodont 2009;1:19-25 

  29. O'Sullivan D, Sennerby L, Meredith N. Measurements comparing the initial stability of five designs of dental implants: a human cadaver study. Clin Implant Dent Relat Res 2000;2:85-92. 

  30. Alves CC, Neves M. Tapered implants: from indications to advantages.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2009;29:161-7. 

  31. Iezzi G, Degidi M, Scarano A, Perrotti V, Piattelli A. Bone response to submerged, unloaded implants inserted in poor bone sites: a histological and histomorphometrical study of 8 titanium implants retrieved from man. J Oral Implantol 2005;31:225-33. 

  32. Kim NS, Vang MS, Yang HS, Park SW, Lim HP. Comparion of stability in titanium implants with different surface topographies in dogs. J Adv Prosthodont 2009;1:47-55 

  33. Cochran DL. The evidence for immediate loading of implants. J Evid Based Dent Pract 2006;6:155-63. 

  34. Goodacre CJ, Bernal G, Rungcharassaeng K, Kan JY. Clinical complications with implants and implant prostheses. J Prosthet Dent 2003;90:121-32. 

  35. Bryant SR, MacDonald-Jankowski D, Kim K. Does the type of implant prosthesis affect outcomes for the completely edentulous arch?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7;22:117-39. 

  36. Weber HP, Sukotjo C. Does the type of implant prosthesis affect outcomes in the partially edentulous patien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7;22:140-72 

  37. Esposito M, Hirsch J, Lekholm U, Thomsen P.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strategies for biologic complications and failing oral impla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9;14:473-90. 

  38. Weaver AL, Assad DA, Koka S, Eckert SE, Balshe A. The effects of smoking on the survival of smooth- and rough-surface dental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8;23:1117-22. 

  39. Esposito M, Hirsch JM, Lekholm U, Thomsen P. Biological factors contributing to failures of osseointegrated oral implants. (I). Success criteria and epidemiology. Eur J Oral Sci 1998;106:527- 51. 

  40. Rabel A, Kohler SG, Schmidt-Westhausen AM. Clinical study on the primary stability of two dental implant systems with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Clin Oral Investig 2007;11:257-65. 

  41. Chuang SK, Cai T, Douglass CW, Wei LJ, Dodson TB. Frailty approach for the analysis of clustered failure time observations in dental research. J Dent Res 2005;84:54-8. 

  42. Weyant RJ, Burt BA. An assessment of survival rates and withinpatient clustering of failures for endosseous oral implants. J Dent Res 1993;72:2-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