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순천대학교 문화공원 설계
A Study on the Landscape Design for Sunchon National University Cultural Park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4, 2010년, pp.75 - 83  

김연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한선아 (서인조경(주)) ,  김현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학 캠퍼스계획은 과거 대학의 기능과 건축물의 미관 만을 강조하였으나, 녹화, 에코를 중시하는 과정을 거쳐 이제는 지역주민의 문화와 커뮤니티 공간으로 전환되었다. 본 연구는 국립 순천대학교 문화공원 조성사업 현상설계 당선작으로 선정된 계획안의 설계전략과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국립 순천대학교 문화공간 조경 설계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시설의 개방 차원을 넘어서 지역과의 적극적인 연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물리적 환경의 연계만이 아니라 학교와 지역의 역사, 문화를 시민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계층별 프로그램을 공유하는 거점공간으로 조성하였다. 둘째, 건축물과 옥외시설물에 통합된 이미지를 부여하기 위하여 형태 및 색채계획을 수립하였다. 디자인 모티브는 대학을 대표하는 상징성이 충분한 '세권의 책'을 선정하여 3권의 책이 만들어내는 6개의 선과 이들이 만들어 내는 육각형, 원의 형태를 설계에 적용하였다 색채의 경우 조화성, 심미성과 함께 가시성을 높일 수 있도록 건축물에 대해서는 소재색인 적갈색을 적용하고 시설물의 경우 주조색은 검정색과 파랑색, 강조색은 흰색와 노랑색을 적용하여 순천 도시 이미지를 선도하고자 하였다. 셋째, 일반적으로 대학 캠퍼스가 가지는 폐쇄성을 극복하고 지역과 소통할 수 있도록 누구나가 자연스럽게 방문하고 체험이 가능한 베리어프리(barrier free) 설계를 지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llege campus landscape plans once focused mainly on campus functionality and aesthetically pleasing buildings. Yet now, after the rise of greater emphasis on afforestation and eco-friendly planning, building spaces for the local culture and community has become the core of the plan. This study a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립 순천대학교 진입부의 문화 공간 설계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공공 문화공간으로서의 대학 캠퍼스 계획을 고찰하고, 의의 및 계획 기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물리적 환경 구현은 물론 학교, 지역의 역사, 문화가 시민에게 나누어질 수 있도록 계층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역 환경과 정서를 이끌어 나가는 거점 공간으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 본 설계의 목표는 대상지를 도시와 소통하는 문화공간으로 이끌어내는 것이다. 캠퍼스 진입 공간이 내포하는 시작의 의미를 담아 도시의 문화공간으로의 재창조를 이끄는 도약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 열리는 영역성을 확보하였다. 이와 함께 문화의 거리로 나서는 게이트 부분을 열린 광장으로 조성하여 문화의 거리를 통합하고자 하였다.
  • 3개의 과제로 압축될 수 있다. 정문의 상징공간화, 문화의 거리와 연계한 이벤트 공간 연출, 체육 공간 조성이며, 이들 통해 상징성, 경관성, 이용편의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조화성, 심미성과 함께 가시성을 높일 수 있도록 건축물에 대해서는 소재색인 적갈색으로 선정하고 시설물의 경우 주조색은 검정색과 파랑색 강조색은 흰색과 노랑색으로 선정하였다. 지구 내부의 동선은 노약자, 장애우에게도 이용이 편리하도록 단차를 없애고 일정폭원을 확보하고 이들을 배려한 특별 관람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열린 순천대학교를 실천하고자 하였다.
  • 첫째, 대학 시설의 개방 차원을 넘어서 지역과의 적극적인 연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물리적 환경 구현은 물론 학교, 지역의 역사, 문화가 시민에게 나누어질 수 있도록 계층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역 환경과 정서를 이끌어 나가는 거점 공간으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 것이다. 캠퍼스 진입 공간이 내포하는 시작의 의미를 담아 도시의 문화공간으로의 재창조를 이끄는 도약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캠퍼스는 도시와 함께 호흡한다. 캠퍼스는 학교의 사유재산 이상의 의미로 승화되어야 한다.
  • 셋째, 물리적 정비 사업에서 그치지 않는다. 지역과의 연계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강현식, 민병호(2003) 캠퍼스에 대한 학생의 장소형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1): 67-70. 

  2. 고정석(1988) Macbeth 의 상징 연구: 숫자 3에 나타난 상징의 의미. 영어영문학 34(1): 121-140. 

  3. 권선국(1994) 대학캠퍼스 건물에 대한 시각적 질의 평가 모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기홍, 온영태(1999) 대학캠퍼스 확충을 위한 기능구성과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1): 351-356. 

  5. 김수연(2007) 유니버셜 디자인 개념을 고려한 캠퍼스 조경: 나사렛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0(1): 63-73. 

  6. 김종표(2008) 대학 캠퍼스 조경 Renovation 계획에 관한 연구: 국립창원대학교 사례 연구.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1(2): 25-39. 

  7. 김현(2006) 부곡온천과 기노사끼온천 관광지 가로경관 비교분석: 색채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4(5): 24-31. 

  8. 박인수(2006) 경계와 장소화를 통한 대학캠퍼스 커뮤니티센터 계획에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형진(2004) 대학 마스터플랜에서의 시설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흥수(2007) 漢字數字의 문화적 의미. 중국학연구 39: 3-32. 

  11. 배현식, 박시환(1994) 장소인식의 특징에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4(2): 115-118. 

  12. 손수진, 남영숙(2008) 에코캠퍼스의 이론적 고찰 및 국내.외 사례분석. (사)한국환경교육학회 발표논문집. pp. 85-90. 

  13. 엄붕훈, 한성미(1997) 캠퍼스 공간설계 유형에 따른 이용자의 지각반응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2): 104-116. 

  14. 여혜진(2007) 대학 지역사회 간 협력적 파트너쉽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여혜진, 김광중(2008) 대학 지역사회 협력적 졔획의 한국적 여건.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3(5): 91-106. 

  16. 유병안(1996) 대학캠퍼스와 지역사회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근욱(1995) 대학캠퍼스계획의 교지기준에 관한 기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충수(2008) 영어 고전동화와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숫자3의 의미. 현대영어영문학 52(4): 183-198. 

  19. 이호진, 김학철(1991) 대학캠퍼스 외부공간의 연계성과 위계성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 발표논문집 11(2): 307-312. 

  20. 임승빈, 변재상, 박창석(2000) 이용자 행태를 고려한 대학캠퍼스 시설 배치에 관한 연구: 캠퍼스내의 공동이용시설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6(10): 55-62. 

  21. 임진철, 정성원(2007) 서울시 대학교 담장개방 녹화사업을 통한 오픈 공간 활용 사례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7(1): 703-706. 

  22. 정재욱(1995) 대학 캠퍼스 마스터플랜 계획 기법의 개념 및 연계작업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1(8): 133-141. 

  23. 조용준, 최효성(1993) 대학캠퍼스의 공간배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9(4): 23-34. 

  24. CABE(2004) The Value of Public Space. London: CABE. 

  25. Dober, Richard P.(1963) Campus Planning. New York: Reinhold Pub. Co. 

  26. Rodin, Judith(2007) The University and Urban Revival: Out of the Ivory Tower and Into the Streets(The City in the 21century).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7. Turner, Paul Venable(1984) Campus: An American Planning Tradition. Cambridge, Massachusetts: The MIT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