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폭력에 대한 부부치료 사례 분석 : 가정폭력 쉼터에 거주하는 부인을 대상으로
Case study on the couple therapy for family violence : Focusing on the wife residing in a shelter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8 no.5 = no.107, 2010년, pp.75 - 88  

박태영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박소영 (세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a family therapy case which dealt with family violence and was consisted of 14 sessions. The therapeutic perspective for this case was MRI model, a strategic family therapy model which emphasizes attempted solutions and intera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의 제 2조 1항에 의하면 가정폭력의 정의는 무엇인가?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가정폭력은 피해자에게 신체적으로나 정서적으로 미치는 폐해가 크다.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의 제 2조 1항에 의하면 가정폭력은 가정구성원 사이의 신체적, 정신적, 또는 재산상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때 가정폭력은 배우자폭력, 아동폭력, 노인폭력 등 가족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폭력을 포함한다.
가정폭력을 중단시키거나 예방하는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이 제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정폭력을 중단시키거나 예방하는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이 제기된다. 그 이유는 수강 명령을 통한 행위자에 대한 개입과 피해 여성에 대한 일시적 보호에 중점을 둔 서비스가 주를 이루어 피해 여성이 더 이상 가정폭력의 피해자가 되지 않도록 도와주는 근본적인 서비스가 부족하기 때문이다(박영란, 2007; 현진희, 2007). 한편으로는 피해 여성이 남편으로부터 분리되어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와 다른 한편으로는 가정으로 돌아가서 다시 피해자가 되지 않도록 지원하는 서비스가 모두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가정폭력의 특징은 무엇인가? 가정폭력은 다른 폭력과 달리 폭력이 발생한 후에도 행위자와 피해자가 생활을 같이 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폭력이 반복되는 특징이 있고 오랜 기간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가정폭력은 피해자에게 신체적으로나 정서적으로 미치는 폐해가 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김인숙(1998). 구타남편에 대한 사례연구-여성주의 사회사업 개입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2, 59-86. 

  2. 김은영.임승희.박소영(2009). 가족복지론. 서울: 학현사. 

  3. 김재엽.송아영(2007).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청소년의 부모폭력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23, 99-125. 

  4. 김주현?이연호(2008).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비폭력적 결혼관계 우지 경험에 관한 연구: 공식적 보호체계 이용 경험이 있는 피해여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23, 5-42. 

  5. 김지영?최상진(2004). 아내폭행 원인에 대한 통합적 모델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3), 77-95. 

  6. 박영란(2007).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가정폭력 피해자의 욕구와 피해자 보호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한국여성학, 23(3), 189-214. 

  7. 박태영(2002). 구타당한 아내에 대한 가족치료의 적용. 사회과학논총, 4, 47-85. 

  8. 서혜석(2005). 자아존중감 및 부부적응 향상을 위한 가정폭력 행위자의 부부집단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0(1), 25-41. 

  9. 신선인(2008).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아동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23, 163-182. 

  10. 여성가족부(2008). 2007년 전국 가정폭력 실태조사. 

  11. 임종렬(1998). 매맞는 아내의 부부체계 개선을 위한 대상중심 가족치료. 한국사회복지학, 34, 121-160. 

  12. 장희숙.김예성.변현주.정정호(2003). 가정폭력행위자교정 치료프로그램: 행위자 특성 및 유형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13. 장희숙.김예성(2004). 가정폭력행위자의 유형: 이론에 따른 세 하위 유형의 검증. 한국사회복지학, 56(3), 303-325. 

  14. 정민자.엄선필(2002). 가정폭력피해자들의 결혼과 결혼지속 과정에 대한 생애과정적 사례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3), 67-85. 

  15. 정혜숙(2007). 매맞는 여성의 떠날 수 없는, 머물 수 없는 이유. 사회복지연구, 32, 269-298. 

  16. 허남순(1995). 아내구타: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 모델의 적용. 한국가족치료학회지, 3, 41-64. 

  17. 현진희(2007). 가정폭력 부부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1, 5-34. 

  18. Bogard, M. & Mederos, F. (1999). Battering and couples therapy: universal screening and selection of treatment modality.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5(3), 291-312. 

  19. Bowlby, J. (1988). A secure base: Parent-child attachment and healthy human development. New York: Basic Books. 

  20. Burgess, A. W., Hartman, C. R., & McCormack, A. (1987). Abused to abuser: Antecedents of socially deviant behavior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4(11), 1431-1436. 

  21. Bybee, D., & Sullivan, M. (2005). Prediction of re-victimization of battered women 3 years after exiting a shelter program.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6(1), 85-96. 

  22. Campbell, J., Miller, P., Cardwell, M., & Belknap, R.(1994). Relationship status of battered women over time. Journal of Family Violence, 9, 99-111. 

  23. Cook, D., & Frantz-Cook, A. (1984). A systemic treatment approach to wife battering.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1, 83-93. 

  24. Dunford, F. W. (2000) The San Diego Navy experiment: An assessment of intervention for men who assault their wiv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3), 468-476. 

  25. Emery, R., & Laumann-Billings, L. (1998). An overview of the nature, causes and consequences of abusive family relationships. American Psychologist, 53, 121-135. 

  26. Gingerich, W. J., & Eisengart, S. (2000).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A review of the outcome research. Family Process, 39, 477-498. 

  27. Goldenberg, I., & Goldenberg, H. (2003). Family therapy: An overview. Pacific Grove, CA: Brooks/Cole. 

  28. Hamberger, K., Lohr, M., Bonge, D., & Tolin, F. (1997). An empirical classification of motivation for domestic violence. Violence against Woman, 3(4), 401-423. 

  29. Holtzworth-Munroe, A. & Gregory, L. S. (1994). Typologies of male batterers: Three subtypes and the differences among them. Psychological Bulletin, 116(3), 476-497. 

  30. Nicholas, M. P., & Schwartz, R. C. (2002). The essentials of family therapy. Boston, MA: Allyn & Bacon. 

  31. O'Leary, K. D. (1993). Through a psychological lens: Personality traits, personality disorders, and levels of violence. In R. J. Gelles & D. R. Loseke (Eds.), Current controversies on family violence. Newbury Park, CA: Sage. 

  32. O'Leary, K. D., Heyman, R. E., & Neidig, P.H. (2002). Treatment of wife abuse: A comparison of gender-specific and conjoint approaches. Behavior Therapy, 30, 475-505. 

  33. Soo-Hoo, T. (1999). Brief strategic family therapy with Chinese Americans.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7(2), 163-179. 

  34. Stith, S. M., Rosen, H. K., & McCollum, E. E. (2003). Effectiveness of couples treatment for spouse abus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9(3), 407-426. 

  35. Stith, S. M., Rosen, H. K., McCollum, E. E., & Thomsen, J. C. (2004) Treating intimate partner violence within intact couple relationship: Outcomes of multi-couple versus individual couple therapy.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30(3), 305-318. 

  36. Watzlawick, P., Weakland, J., & Fisch, R. (1974). Change: Problems formation and problem resolution. N.Y.: Norton. 

  37. Weakland, J. H., Fisch, R., & Bodin, A. M. (1971). Brief therapy: Focused problem resolution. Family Process, 13, 141-168. 

  38. Zlotnick, C., Kohn, R., Peterson, J., & Pearlstein, T. (1998). Partner physical victimization in a national sample of American familie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3(1), 156-16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