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기 생활설계 진단척도 개발
Development of diagnostic scale for life planning in late Adolescence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8 no.5 = no.107, 2010년, pp.101 - 111  

최보아 (원광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andardized scale to diagnostic life planning in late adolescence. A preliminary 32 item scale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 a survey. 896 people responded to an online survey using the preliminary scale. A series of test, such as test-ret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척도의 개발은 청소년과 성인 사이에서 자립과 의존이 공존하고 있는 수많은 청년들의 성인기로의 원활한 이행을 도울 수 있는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년기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바람직한 청년기 모습 설정을 위하여 청년기 발달과업을 중심으로 청년기 생활설계 진단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이는 보다 나은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 청년기에 속한 본인들이 직접 자가 측정 할 수 있는 편리하고 유용한 척도의 개발이 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성인으로서 첫 걸음을 딛는 청년기의 생활설계를 위해, 청년기 삶의 영역을 분석하고, 발달과업을 유목화하여 청년기 생활설계 진단척도를 개발하였다. 선행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해 문항을 수집하고 안면타당도 및 예비조사를 통해 32개 문항으로 정리하였으며,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통해 최종 31개 문항으로 척도가 구성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청년기 생활설계 진단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설문과 문헌조사를 통해 문항을 수집하고, 청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으며 척도개발에 있어 그 절차는 남수정(2006), 장현선(2009)의 개발 절차를 참조하였다<그림 1>.
  • 요인의 명칭을 부여하기 위하여 각 요인 중에서 높게 적재된 해당변수들과 그 내용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상대적으로 요인 부하량이 높은 변인들을 중심으로 명명하고자 하였다. 첫번째 요인은 전체변량의 14.
  • 특히 현재의 청년기가 청소년의 특징이 유예되면서 결혼과 직업성취가 늦어지고 있어 이 시기에 속한 청년들에게 ‘내가 잘 살아가고 있는가’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있는 진단척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청년기 생활설계 진단 척도의 개발은 기존 생활설계와 관련한 연구들이 가정생활주기가 시작되는 신혼기 이후의 시기에 집중되어 있는 한계점에서 출발했다. 한 사람의 건강한 성인이 보다 건강한 가정을 만들 수 있다는 삶의 연속적인 측면에서 가정형성 이전의 시기인 청년기에 올바른 성인으로 설 수 있도록 그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현재의 청년기가 청소년의 특징이 유예되면서 결혼과 직업성취가 늦어지고 있어 이 시기에 속한 청년들에게 ‘내가 잘 살아가고 있는가’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있는 진단척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가 불확실성이 가져오는 불안과 피해를 최소화해온 방법은 무엇인가? 10년 후의 나의 모습은 어떠한지, 1년 후 우리 가정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지, 당장 오늘 이 시간 후에는 어떠한 일들이 일어날지에 대해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 인간 삶의 불확실성은 보다 나은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본연의 욕구에 걸림돌이 되어 왔기에, 우리는 미래에 다가올 예측 가능한 사건을 준비하고 대비함으로써 불확실성이 가져오는 불안과 피해를 최소화해왔다. 근래에는 인간을 삶의 주체로서의 의미가 강조되면서 적극적으로 본인의 삶을 관리하고 경영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바람직한 미래를 목표를 세워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생활설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생활설계에 관한 연구의 주된 관점이 되는 시기는 언제인가? 생활설계는 불확실성 속에서 인간 삶의 예측 가능한 사건들을 중심으로 삶에 만족과 여유를 주는 방법론이기에, 가정학에서 생활설계에 관한 연구의 주된 관점은 주로 삶의 큰 변화가 있는 시기 위주로 전개되었다. 결혼이라는 큰 변화가 있는 시기, 자녀출산이라는 큰 변화의 시기, 그리고 은퇴라는 변화의 시기 즉 결혼준비, 부모준비, 노인(은퇴)준비가 생활설계의 큰 3가지 연구의 주류였다(최보아, 2010).
인간이 생활설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인간 삶의 불확실성은 보다 나은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본연의 욕구에 걸림돌이 되어 왔기에, 우리는 미래에 다가올 예측 가능한 사건을 준비하고 대비함으로써 불확실성이 가져오는 불안과 피해를 최소화해왔다. 근래에는 인간을 삶의 주체로서의 의미가 강조되면서 적극적으로 본인의 삶을 관리하고 경영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바람직한 미래를 목표를 세워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생활설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종서.남종걸.정지용.이종환(1983). 발달과업, 청소년대책위원회 편. 청소년백서. 

  2. 남수정(2006). 소비에 대한 자기조절 척도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175-190. 

  3. 박아청(2004). 청년기 자아정체감의 발달단계의 특성분석. 교육심리연구, 18(1), 301-312. 

  4. 박장희.정옥분(2002). 복합순환모델에 의한 가족체계유형과 청년기 자아정체감 발달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10), 49-63. 

  5. 윤영란(2007). 대학생의 진로의식에 관한 분석 연구. 교육문화연구, 13(1), 123-168. 

  6. 윤진(1985). 성인.노인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7. 이희영.최태진(2005). 부모의 양육행동과 후기 청소년의 심리적 분리와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16(2), 93-123. 

  8. 장현선(2009). 인터넷 쇼핑에서의 충동구매 측정을 위한 척도의 개발 및 특성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4), 127-139. 

  9. 전상진.정주훈(2006). 한국후기 청소년 세대의 발달경로와 성장유형. 한국사회학, 40(8), 262-285. 

  10. 지영숙(1998). 현대가족생활설계론. 서울 : 도서출판 신정. 

  11. 지영숙(2004). 가족생활설계론. 서울 : 도서출판 신정. 

  12. 지영숙.이영호(2001). 생활설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1), 221-234. 

  13. 지영숙.이광자.곽소현(2003). 중년기 전업주부의 생활진단 척도개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7(1), 23-29. 

  14. 지영숙.최보아(2002). 은퇴기 생활설계를 위한 진단척도의 개발.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생활과학, 5, 177-194. 

  15. 최남숙(2005). 대학생의 시간사용 만족수준과 자아정체감 관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4), 81-93. 

  16. 최보아(2010). 생활설계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성과와 과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2), 79-90. 

  17. 최혜영.신혜영.최미숙.조성연(2009). 한국 아동의 행복감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5), 1-10. 

  18. 홍봉선.남미애(2003). 청소년복지론. 양서원 

  19. Baacke, D. (1999). Jugend und Jugendkulturen. Weinheim & Munchen : Juventa Verltag. 

  20. Chickering. Authur W. & Associatiates (1981). The Modern American College. anFrancisco ; Jossey. Inc, Publishers. 

  21. Hurrelmann (1999). Jungendprase Jungend. Weinheim & Munchen : Juventa Verltag, 50. 

  22. Levinson, D.(1978). The seasons of man's life, N. Y. : Knopf.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