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의 훈육방식과 유아의 양심간의 관계 : 두려운 기질의 중재적 역할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Discipline Style and Preschoolers' Conscience : The Moderating Role of Fearfulnes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8 no.5 = no.107, 2010년, pp.235 - 249  

조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  도현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  김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fearfulness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discipline styles and preschoolers' conscience. It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discipline styles and consci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 child's fearfulness and conscience. A sampl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국내에서는 두려움을 불안이나 두려움이 많은 기질 특성에 기초를 둔 아동의 행동억제(박성연·Rubin·정옥분·윤종희·도현심, 2007; Rubin, Hastins, Stewart, Henderson, & Chen, 1997)나 부정적 정서차원에 포함시킴으로써 두려움 자체에 초점을 두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양심 발달을 이해하기 위하여 양심의 정서적 불안감 요소에 중요한 토대가 되는 두려운 기질과 유아의 양심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부모의 훈육방식과 유아의 두려운 기질이 양심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롯하여, 부모의 훈육방식과 유아의 양심간의 관계에서 두려운 기질이 중재적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요약하면, 과 같이 본 연구는 부모의 훈육방식과 유아의 두려운 기질이 각각 유아의 양심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비롯하여, 부모의 훈육방식과 유아의 양심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두려운 기질의 중재적 역할을 살펴보았다.
  • 이와 같이, 대부분의 국내외 연구결과들에 근거할 때, 유아의 양심 발달 수준은 부모가 강압적 처벌을 하거나 방임적 훈육을 할수록 낮고 논리적 설명을 이용할수록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압적 처벌, 방임, 논리적 설명과 같은 훈육방식 요인들이 유아의 양심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그러나 아버지가 애정적이거나 자율적으로 자녀를 양육할 때 유아는 높은 도덕성과 친사회성을 보였으며(김정신, 1999; 하정아, 1997), 아동의 도덕성은 아버지의 언어통제 유형이 인성적일 때 가장 높은 반면, 명령적일 때 가장 낮았다(우혁기, 2003)는 연구결과들에서 볼 수 있듯이, 유아의 양심에 미치는 아버지의 영향력을 간과할 수만은 없다. 이와 같이 유아의 양심을 아버지의 훈육방식과 관련시켜 살펴본 연구가 매우 드문 시점에서, 본 연구는 유아의 양심 발달의 관련변인으로 아버지와 어머니의 훈육방식 각각의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 이처럼 유아기 양심 발달의 성차에 관해 다소 다른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을지라도, 유아기는 성에 대한 도식이 형성되어 가는 시기로서 유아는 가정, 교육기관 및 주변 사회로부터 성에 대한 개념이나 규칙을 배우고 내면화하게 된다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May & Jane, 1999). 이와 같이, 유아의 연령과 성별이 유아의 양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연령과 성을 통제하였다.
  • 이와 더불어, 양심 연구의 최근 경향 중 또 다른 하나는 아동의 기질과 부모의 사회화의 영향을 양심 발달에 중요한 요인으로서 통합하여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생애 초기의 양심에 관한 연구에서 두려운 기질과 양심간의 관계를 보다 명백히 규명하고자 시도한 Kochanska(1991)에 따르면, 영아기에 측정된 어머니의 권력 지향적인 양육방식과 유아의 순응성 수준은 6년 후에 측정된 양심과 관계가 있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두려움 각성에 상당히 예민한 유아의 경우에만 발견되었다.
  • 무엇보다도, 본 연구는 국내 아동발달 분야에서 흔하지 않은 연구주제인 유아의 양심에 초점을 두어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국외의 경우와 유사한 연구결과를 발견함으로써 환경적 특성으로서의 부모의 훈육방식과 유아의 양심 간의 관계에서 타고난 특성인 유아의 두려운 기질의 중재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양심의 선행 변인의 주효과만을 중심으로 살펴본 선행 연구들과는 달리, 유아의 양심에 대한 훈육방식과 두려운 기질의 상호작용 효과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다.

가설 설정

  • 실제로, 32-60개월 아동을 대상으로 한 종단연구에서, 두려움이 많은 아동의 경우는 걸음마기 때의 강압적이지 않은 온화한 훈육이 5세 때의 긍정적인 양심발달을 예측한 반면에, 두려움이 없는 아동의 경우는 그러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Kochanska, 1995, 1997). 이는 부모의 훈육 방식이 유아의 기질과 상호작용하여 유아의 양심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가정하게 한다. 개인의 발달에 있어, 환경의 영향은 유기체의 개인적 차이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는 발달의 유기체적 특수성 이론(Wachs & Gandour, 1983)에 근거해 볼 때도 양심 발달에 있어 훈육방식과 기질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충분히 예측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훈육방식의 연구는 주로 어떤 차원으로 나눠 수행되는가? 훈육방식과 양심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있어 훈육방식은 주로 강압적 처벌, 방임, 논리적 설명 등 세 가지 차원으로 나뉘어 연구가 수행되었다. 예를 들어, Kochanska(1991)의 종단연구에 따르면 걸음마기에 권위적인 훈육방식을 사용한 어머니의 자녀는 비권위적인 훈육방식을 사용한 경우보다 5년 후에 더 낮은 도덕성을 나타내었다.
초기의 양심은 언제 출현하는가? 한편, 초기의 양심이 3.2세쯤에 출현하는 것을 발견함에 따라(Kochanska et al., 1994), 연구대상에 대한 관심은 걸음마기와 유아기로 확대되었으며, 이 시기는 양심 발달과 도덕성 습득의 조기 개입이 이루어져야 하는 매우 중요한 시기로 강조되었다.
Kochanska는 양심의 개념을 무엇이라 하였나? 특히 Kochanska를 중심으로 한 연구자들은 선행 연구에서 양심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요인들을 모두 포함시켜 양심을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개념화하였다(Kochanska, Goldman, Devet, Murray, & Putnam, 1994). 첫째, 양심은 정서적 불안감(affective discomfort)으로서, 실제적․비실제적 상황에서 나쁜 행동을 했을 때, 각성, 분리불안, 죄의식, 두려움에 의해 영향 받기 쉬운 특성을 지닌다(Kagan, 1989a, 1989b; Kochanska, 1991). 둘째, 양심은 행동적 통제(behavioral control)로 보통의 일상적인 상황에서 금지된 것을 하고 싶은 충동과 나쁜 행위를 억제하고 바람직한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즉 자기를 통제할 수있는 능력을 의미한다(Kochanska et al., 1994). 종합해 보면, 양심이란 실제로 나쁜 행동을 했거나 나쁜 마음이 들었을 때 당황하거나 후회, 죄의식을 느끼는 등 불안을 느낌과 동시에 그와 같은 상황이나 금지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6)

  1. 김경희(2000). 청소년의 사회적 도덕성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1), 81-93. 

  2. 김문신.김광웅(2003).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6(1), 3-13. 

  3. 김수영.허선자(1998). 아동의 양심 발달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어머니의 양육 행동, 아동의 가정환경 및 아동의 기질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18(1), 243-259. 

  4. 김연형(2007). SPSS와 사회과학 자료분석. 서울: 교우사. 

  5. 김윤희(2005).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유아의 성, 기질 및 도덕적 자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재희.한세영.김연화(2007). 어머니와 교사의 합리적 지도가 유아의 도덕적 정서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총, 11(2), 1-19. 

  7. 김정신(1999). 아버지 양육태도와 양육참여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지신(1986). 어머니의 훈육방법과 아동의 감정이입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희진(2003). 가정환경변인과 유아의 감성 지능 및 도덕적 판단능력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성연.Rubin, K.정옥분.윤종희.도현심(1997). 아동의 성, 기질, 행동억제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순종 행동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8(4), 1-17. 

  11. 박수종(1989).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자녀들의 도덕성 판단능력의 차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배병렬(2007). Amos 7에 의한 구조방정식 모델링: 이론과 실제. 서울: 청람출판사. 

  13. 배헌진(200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적 판단능력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손경숙(2001).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도덕적 판단 및 공격성 관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손은경(2002). 진실과 거짓말에 대한 아동과 어머니의 도덕적 판단능력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신지원(1998).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아동의 공격성향 및 도덕적 판단능력과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안미경(1996).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및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 행동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안영자(1994). 아동의 도덕성 발달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관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오승일(2004). 하이데거에 있어서 양심에 관한 고찰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우혁기(2003). 언어적 통제유형에서 부모간 일치여부가 유아의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2(1), 77-93. 

  21. 윤선희(2007). 모의 양육태도 및 죄책감 경향성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경님(2001). 아동의 자기통제와 관련변인간의 인과관계: 아동의 사려성, 자아개념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9(2), 97-110. 

  23. 이동희(2003). 유아의 기질, 부모간 갈등 및 어머니의 훈육방식이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미라(1999). 아동의 인지양식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욕구충족 지연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미순(2001). 부.모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유아의 도덕성 발달 수준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숙희(2007). 컴퓨터 게임 중독 수준에 따른 유아의 도덕적 판단 및 유아발달수준의 차이. 아동교육, 16(4), 33-44. 

  27. 이찬숙.현은자(2008). 유아의 기질, 사회적 유능감, 감성지능, 도덕성 및 부모양육 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9(3), 223-238. 

  28. 정은경(1996). 어머니 훈육방식과 유아의 도덕 판단력의 관계. 원광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정현주.선미정(2006). 아동의 거짓말 개념정의 및 도덕 판단에 대한 겸손함의 효과. 아동교육, 15(4), 243-258. 

  30. 조윤정(1999). 유아의 양심 발달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지명숙(1988).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도덕적 판단능력 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최성숙(1996).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도덕성 발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최순자(2002).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만 3세에서 6세 아의 도덕적 행동의 검토. 교육심리연구지, 16(3), 197-219. 

  34. 하정아(1997). 아버지의 양육태도 유형과 유아의 도덕성 발달과의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홍경선(2004). 어머니의 훈육방식과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Asendorpf, J. B., & Nunner-Winkler, G. (1992). Children's moral motive strength and temperamental inhibition reduce their immoral behavior in real moral conflicts. Child Development, 63, 1223-1235. 

  37. Brody, G. H., & Shaffer, D. R. (1982). Contributions of parents and peers to children's moral socialization. Developmental Review, 2, 31-75. 

  38. Cameron, J. R. (1978). Parent treatment, children's temperament, and risk of childhood behavioral problems: Initial temperament, parental attitude, and the incidence and form of behavioral problem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48, 140-147. 

  39. Clazada, E. J. & Eyberg, S. M. (2002). Self-reported parenting practices in dominican and puerto rican mothers of young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and Adolescent Psychology, 31(3), 354-363. 

  40. Cole, P. M., Barrett, K. C., & Zahn-Waxler, C. (1992). Emotion displays in two-year-olds during mishaps. Child Development, 63, 314-324. 

  41. Dienstbier, R. A. (1984). The role of emotion in moral socialization. In Izard, J. Kagan, & Zajonc, R. B. (Eds.). Emotions, cognitions, and behaviors(484-513).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Einstein, D., & Lanning, K. (1998). Shame, guilt, ego development, and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Journal of Personality, 66(4), 555-582. 

  43. Eisenberg, N. (1995). Prosocial development: A multifaceted model. In Kurtines, W. & Gewirtz, J.(Eds.). Moral Development. Boston: Allyn and Bacon. 

  44. Emde, R. N., Biringen, Z., Clyman, R. B., & Oppenheim, D. (1991). The moral self of infancy: Affective and procedural knowledge. Developmental Review, 11, 251-270. 

  45. Hamachek, D. E. (1977). Human dynamics in psychology and education. Boston: Allyn and Bacon. 

  46. Henry, R. M. (1980).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of "reasoning" in the socialization of young children. Human Development, 23, 105-125. 

  47. Hoffman, M. L. (1963a). Child rearing practices and moral development: Generalizations from empirical research. Child Development, 34, 295-318. 

  48. Hoffman, M. L. (1963b). Parent discipline and the child's consideration for others. Child Development, 34(3), 573-588. 

  49. Hoffman, M. L. (1970). Conscience, personality and socialization techniques. Human Development, 13, 90-126. 

  50. Hoffman, M. L. (1975). Moral internalization, parental power, and the nature of parent-child intera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11(2), 228-239. 

  51. Hoffman, M. L. (1984). Empathy, its limitations, and its role in a comprehensive moral theory. In Kurtines, W. M. & Gewirtz, J. L.(Eds.). Morality, moral behavior, and moral development. New York: Wiley. 

  52. Hoffman, M. L., (1988). Moral development. In Bornstein, M. H. & Lamb, M.(Eds.). Developmental psychology: An advanced textbook(497-548). Hillsdale, NJ: Erlbaum. 

  53. Hoffman, M. L., & Saltzstein, H. D. (1967). Parent discipline and the child's moral develop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 45-57. 

  54. Houck, G. M., & LeCuyer-Maus, E. A. (2004). Maternal limit setting during toddlerhood, delay of gratification, and behavior problems at age five.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5, 28-46. 

  55. Kagan, J. (1989a). Temperamental contributions to social behavior. American Psychologist, 44, 668-674. 

  56. Kagan, J. (1989b). The concept of behavioral inhibition to the unfamiliar. In Reznick, J. S.(Ed). Perspectives on behavioral inhibition(1-23).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7. Kochanska, G. (1990). Maternal beliefs as long term predictors of mother-child interaction and report. Child Development, 51, 1934-1943. 

  58. Kochanska, G. (1991). Socialization and temperament in the development of guilt and conscience. Child Development, 62, 1379-1392. 

  59. Kochanska, G. (1993). Toward a synthesis of parental socialization and child temperament in early development of conscience. Child Development, 64, 325-347. 

  60. Kochanska, G. (1995). Children's temperament, mothers' discipline, and security of attachment: Multiple pathways to emerging internalization. Child Development, 66, 597-615. 

  61. Kochanska, G. (1997). Multiple pathways to conscience for children with different temperaments: From toddlerhood to age 5. Developmental Psychology, 33(2), 228-240. 

  62. Kochanska, G. (2002). Committed compliance, moral self, and internalization: A mediational model. Developmental Psychology, 38, 339-351. 

  63. Kochanska, G., Aksan, N., Knaack, A., & Rhines, H. (2004). Maternal parenting and children's conscience: Early security as moderator. Child Development, 75, 1229-1242. 

  64. Kochanska, G., Goldman., M., Devet, K., Murray, K., & Putnam, S. P. (1994). Maternal reports of conscience development and temperament in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5, 852-868. 

  65. Kochanska, G., Padavich, D. L., & Koening, A. L. (1996). Children's narratives about hypothetical moral dilemmas and objective measures of their conscience: Mutual relations and socialization antecedents. Child Development, 67, 1420-1436. 

  66. Kohlberg, L. (1969). Stage and sequence: The cognitive development approach to socialization. In Goslin, D. A.(Ed). Handbook of Socialization theory and research(347-480). Chicago: Rand McNally. 

  67. Laible, D. J. (2004). Mother-child discourse surrounding a child's past behavior at 30 months: Links to emotional understanding and early conscience development at 36 months. Merril-Palmer Quarterly, 50(20), 979-992. 

  68. Lamb, S. (1991). First moral sense: Aspects of and contributors to beginning morality in the second year of life. In Kurtines, W. M. & Gewirtz, J. L.(Eds.). Handbook of moral behavior and development: Vol. 2. Research (171-189). Hillsdale, NJ: Erlbaum. 

  69. May, L. T., & Jane, A. R. (1999). The influence of children's literature on gender role perceptions: A reexamin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Journal, 26(3), 155-159. 

  70. Mussen, P. H . (1980), The roots prosocial behavior in children. In Nucci, P. H., Olson, S. L., Bates, J. E., & Bayles, K.(1990). Early antecedents of childhood impulsivity:The role of parent-child interaction, cognitive competence,and temperament.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8, 317-334. 

  71. Olson, S. L., Bates, J. E., & Bayles, K. (1990). Early antecedents of childhood impulsivity: The role of parent-child interaction, cognitive competence, and temperament.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8, 317-334. 

  72. Peterson, C. C., Peterson, J. L., & Seeto, D. (1983). Developmental Changes in ideas about lying. Child Development, 54, 1529-1535. 

  73. Piaget, J. (1932). The moral judgement of the child. N.Y.: Free press. 

  74. Power, S. I. (1988). Moral judgement development within the family. Journal of Moral Education, 17, 209-219. 

  75. Reznick, J. S. (1989) Perspectives on behavioral inhibition.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6. Rothbart, M.K., Ahadi, S. A., & Hershey, K. L. (1994). Temperament and social behavior in childhood. Merrill-Palmer Quarterly, 40, 21-39. 

  77. Rubin, K., Hastings, P., Stewart, S., Henderson, H., & Chen, X. (1997). The consistency and concomitants of inhibition: Some of the children, all of the time. Child Development, 68, 467-483. 

  78. Sears, R. R., Maccoby, E. E., & Levin, H. (1957). Patterns of child-rearing. Evanston, IL: Row Peterson. 

  79. Silverman, I., & Ragusa, D. M. (1990). Child and maternal correlates on impulse control in 24month-old children: Correction, genetics. Social &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5, 435-473. 

  80. Thomas, A., & Chess, S. (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New York: Brunner/Mazel. 

  81. Wachs, T., & Gandour, M. (1983). Temperament, environment, and six-month cognitive-intellectual development: A test of organismic specificity hypothesi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6, 135-152. 

  82. Walker, L. J., & Taylor, J. H. (1991). Family interactions and the development of moral reasoning. Child Development, 62, 264-283. 

  83. Zahn-Waxler, C., Cole, P. M., Richardson, D. T., Friedman, R. J. Michel, M. K., & Belouad, F. (1994). Social problem solving in disruptive preschool children: Reactions to hypothetical situations of conflict and distress. Merrill-Palmer Qrarterly, 40, 98-119. 

  84. Zahn-Waxler, C., & Kochanska, G. (1990). The origins of guilt. In Thompson, R. A.(Ed). The 36th annual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Socioemotional development(183-257). Dienstbier, R. A.(Series Ed).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85. Zahn-Waxler, C., Radke-Yarrow, M., & King, R. A. (1979). Child rearing and children's prosocial initiations toward victims of distress. Child Development, 50, 319-330. 

  86. Zahn-Waxler, C., Radke-Yarrow, M., Wagner, E., & Chapman, M. (1992). Development of concern for others. Developmental Psychology, 28, 126-13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