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을 이용한 미계측 중소유역의 유량 추정
Discharge Estimation at Ungauged Catchment Using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3 no.4, 2010년, pp.353 - 365  

최윤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김경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심명필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천의 유량 측정은 대부분 홍수 예보지역, 댐 상류지역, 대하천 및 유역내 주요 지점을 위주로 수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중소하천과 소유역에 대한 유량 산정에 어려움이 있다.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에서는 유역의 지형학적 매개 변수를 기반으로 강우-유출 현상을 해석하고 있으며, 특정 지점에 대해서 최적화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유역 내 모든 지점에 대한 유량을 모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인 GRM(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을 이용하여 유출구 지점에 대해서 모형을 보정하고, 이를 통해서 상류의 하천지점에 대한 유량을 추정함으로써 동일 수계에서 유량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중소하천의 소유역에 대한 모형의 지역화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유역은 낙동강의 위천 유역과 유등천의 복수 유역을 선정하였으며, 무성과 복수 수위관측소에 대해서 추정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미성 및 신대 수위관측소의 유량을 모의하였다. 연구결과 미성 및 신대 수위관측소의 모의결과는 첨두유량 및 첨두시간에 대해서 관측 수문곡선을 잘 재현하였으며, 총유출량과 첨두유량 및 첨두시간에 대해서 관측값과 선형의 높은 상관성을 일관되게 보이고 있다. 따라서 동일 수계에 있는 상류 미계측 중소유역의 유량 추정시 GRM은 충분히 적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nerally, river discharge is measured at flood forecasting points, upstream dam points, large rivers, and important points over a basin, and it is hard to estimate discharge of medium or small stream and small catchment. Physically based rainfall-runoff model with geographical parameters can simu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모형의 보정을 위한 복수 및 무성 수위관측소 지점의 격자와 각 격자의 상류에 있는 연구대상 격자인 신대 및 미성 수위관측소 지점의 격자를 ‘Watch point’로 지정하고, 이에 대한 모의결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인 GRM (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 (최윤석 등, 2008)을 이용하여 유역의 임의 지점에 대해서 모형을 보정한 후 유출모의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서 상류의 하천지점에 대한 유량을 추정함으로써 유량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중소 하천의 소유역에 대한 유량 추정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유량 관측자료가 있는 유역내 임의 지점에 대해서 보정된 모형의 단일 매개변수군을 이용하여 이지점의 상류에 있는 또 다른 계측 지점의 유량을 모의하고, 그 결과를 관측 수문곡선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의 지역화를 통한 미계측 지점에서의 유량 추정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서 중소 규모의 자연유역의 특성을 가지는 유역인 유등천의 복수 유역과 낙동강의 위천 유역에 대해서 물리적 분포형 모형인 GRM을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계측된 유량 정보가 있는 지점에 대해서 기저유출을 분리하지 않은 실측 수문곡선을 이용하여 모형을 보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류에 있는 계측 지점의 유량을 추정한 후 이를 관측 수문곡선과 비교 검토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때 기저유출을 분리하지 않은 관측 수문곡선을 이용하여 모형을 보정하는 것은 상류의 미계측 지점에서의 기저유출이 미지의 성분인 경우를 모의하기 위함이며, 따라서 기저유출 성분을 모의하지 않는 GRM 모형의 적용결과 분석에서는 첨두유량과 첨두시간의 재현을 위주로 검토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미계측 유역의 유량 추정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연구의 대상 유역의 선정 기준은? 1) 하천정비 및 도시화 등의 원인에 의해서 자연유역의 특징이 크게 상쇄되지 않은 유역 2) 댐, 저수지 혹은 인공적인 유량의 변경 등에 의해서 하천에서의 자연유량이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하류에서 배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유역 3) 모형의 보정을 위한 수위관측소와 이 수위관측소의 상류에 연구결과를 검증할 수 있는 수위관측소가 하나 이상 있는 유역
분포형 수문모형의 가장 큰 장점은? 분포형 수문모형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집중형 모형 (lumped model)에서와 같은 소유역 분할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유역내 임의 지점에 대한 유출을 모의할 수 있다는 것이며 (Ajami et al., 2004), 집중형 모형을 적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공간적 스케일 문제에서 발생되는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Young, 2006).
GRM 모형이란? GRM 모형은 단기간의 강우-유출 사상을 모의하기 위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으로 강우에 의한 지표면 유출, 하도 유출, 침투, 지표하 유출을 모의하고 있으며, 유역에서의 저수지 효과, 댐 운영에 의한 유량 조절 및 직접유출량의 추가 혹은 배제 등을 모의할 수 있다 (최윤석 등, 2009). GRM 모형은 격자 기반의 분포형 모형으로, 그리드 형식의 지형공간 자료를 이용하여 유역을 모형화하고, 유역의 평균강우 혹은 격자 형태의 분포형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유출모의를 수행한다 (박정술 등, 2009a; 박정술 등, 2009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건설부 (1994).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연구보고서. 

  2. 건설교통부 (2005). 하천설계기준.해설, pp. 262-265. 

  3. 국토해양부 (2007). 한국수문조사연보. 

  4. 김경탁 (1998). GIS 적용에 따른 유출응답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pp. 94-98. 

  5. 농업기술연구소(1992). 증보 한국토양총설. 토양조사자료 13, 농춘진흥청, pp. 283-290. 

  6. 박정술, 김경탁, 최윤석 (2009a). “레이더 강우와 GRM을 이용한 임진강 유역의 홍수 유출모의.” 2009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047-1051. 

  7. 박정술, 최윤석, 김경탁, 이승기 (2009b). “기상레이더와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한 내린천 유역의 강우-유출 분석.” 2009년 대한원격탐사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대한원격탐사학회, pp. 291-295. 

  8. 심순보, 안보훈 (1976). “미계측 중소유역의 설계홍수량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9권, 제2호, pp. 101-114. 

  9. 오경두 (2009). “분포형 모형 $Vflo^{TM}$ 에 의한 수문해석.” 제20회 수공학 웍샵 교재, 한국수자원학회, pp. 32-41. 

  10. 이효상, 문영일 (2007). “미계측 지역의 강우 유출 모델의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489-498. 

  11. 최윤석 (2010).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물리적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 개발 및 평가.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pp. 21-212. 

  12. 최윤석, 김경탁, 이진희 (2008). “유한체적법을 이용한 격자기반의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9호, pp. 895-905. 

  13. 최윤석, 김경탁, 심명필 (2009). “댐 하류 지점에 대한 분포형 모형의 적용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9호, pp. 703-713. 

  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7). HyGIS 개발, 과학기술부. 

  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지오매니아, (주)로커스솔루션 (2009). HyGIS Tutorial-제5.6회 HyGIS Workshop 실습, pp. 184-194. 

  16. 행정자치부 (1998). 위성자료를 이용한 미계측 특정지역의 하천재해 분석을 위한 기초연구, NIDP-97-07, pp. 105-292. 

  17. Abbott, M.B., Bathurst, J.C, Cunge, J.A., O'Connell, P.E., and Rasmussen, J. (1986). “An introduction to the European Hydrological System-Systeme Hydrologique Europeen, “SHE”, 1: History and philosophy of a physically-based, distributed modelling system.” Journal of Hydrology, Vol. 87, pp. 45-59. 

  18. Andersen, J., Refsgaard, J.C., and Jensen, K.H. (2001).“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ling of the SenegalRiver Basin-model construction and validation.”Journal of Hydrology, Vol. 247, pp. 200-214. 

  19. Ajami, N.K., Gupta, H., Wagener, T., and Sorooshian,S. (2004). “Calibration of a semi-distributed hydrologicmodel for streamflow estimation along a riversystem.” Journal of Hydrology, Vol. 298, pp.112-135. 

  20. Aron, G. and Miller, A. (1978). “Adaptation of floodpeaks and design hydrographs from gaged to nearbyungaged watershed.” Water Resources Bulletin, Vol.14, No. 2, pp. 313-321. 

  21. Bandaragoda, C., Tarboton, D.G., and Woods, R.(2004).“Application of TOPNET in the distributed modelintercomparison project.” Journal of Hydrology, Vol.298, pp. 178-201. 

  22. Bloschl, G. and Sivapalan, M. (1995). “Scale issues inhydrological modelling: a review.” HydrologicalProcesses, Vol. 9, pp. 251-290. 

  23. Chaudhry, M.H. (1993). Open-channel Flow. Prentice-Hall, pp. 82-86. 

  24. Chow, V.T. (1959). Open-channel hydraulics. McGraw-Hill, pp. 101-123. 

  25. Chow, V.T., Maidment, D.R., and Mays, L.W. (1988). Applied hydrology. McGraw-Hill, pp. 110-147. 

  26. Dawson, C.W., Abrahart, R.J., Shamseldin, A.Y., andWilby, R.L. (2006). “Flood estimation at ungaugedsite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Journal ofHydrology, Vol. 319, pp. 391-409. 

  27. Gotzinger, J., and Bardossy, A. (2007). “Comparison offour regionalisation methods for a distributedhydrological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333,pp. 374-384. 

  28. Merz, R., and Bloschl, G. (2004). “Regionalisation ofcatchment model parameters.” Journal of Hydrology,Vol. 287, pp. 95-123. 

  29. Nash, J.E., and Sutcliffe, J.V. (1970). “Flow forecasting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 - a discussion of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Vol. 10, pp. 282-290. 

  30. Pilgrim, D.H. (1983). “Some problems in transferringhydrological relationships between small and largedrainage basins and between regions.” Journal ofHydrology, Vol. 65, pp. 49-72. 

  31. Refsgaard, J.C. (1997). “Parameterisation, calibrationand validation of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s.”Journal of Hydrology, Vol. 198, pp. 69-97. 

  32. Young, A. (2006). “Stream flow simulation within UKUngauged catchments using a daily rainfall-runoff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320, pp. 155-172. 

  33. http://www.geumriver.go.kr/ 

  34. http://www.nakdongriver.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