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척추질환 환자의 삶의 질과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Determinants of the Quality of Life and Pain of Back Pain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예방의학회지, v.43 no.6, 2010년, pp.505 - 512  

이진규 (안세병원) ,  진기남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Because of the changing life style of Koreans, we have witnessed an increase of patients with back pain. The development of medical knowledge and technology has resulted in more numerous and better treatment methods. However, the outcomes of diverse treatments have been examined by us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술여부에 따른 결과 차이를 분석한 연구는 기존에 있었고, 본 연구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수술방법간의 차이를 분석한 연구는 국내외에 드물었기에, 이 연구에서는 이 주제를 탐색적으로 다루었다. 분석 결과, 수술방법간에 통증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삶의 질에서 차이가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척추질환 환자의 치료결과 척도로 협의의 척도인 통증과 광의의 척도인 삶의 질, 이 두 가지를 고려하여, 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일관된 지를 밝히고자 한다. Bentsen 등 [19]도 결과를 협의와 광의의 척도로 나누어 둘의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 이 연구는 척추질환 환자의 삶의 질과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에 대해 고찰하겠다.
  • 이 연구는 척추질환 환자의 삶의 질과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에 대해 고찰하겠다.
  • 이 결과의 주요 시사점을 논의하겠다. 이 연구의 주요 초점은 치료방법의 효과를 다양한 척도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수술여부에 따른 결과 차이를 분석한 연구는 기존에 있었고, 본 연구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 이러한 시도를 한 연구가 드물기에, 이에 대한 탐색적 시도도 필요하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서 척추질환 환자 치료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기초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척추질환이란? 척추질환이란 등과 허리의 뼈 혹은 신경 및 조직들의 이상이나 손상으로 인하여 요통과 하지 방사통 혹은 마비를 나타내는 질환을 의미한다. 주로 퇴행성으로 오는 경우가 척추질환의 50-70%를 차지하고, 외상이나 종양에 의한 경우가 각각 10-20%정도를 차지한다 [1].
척추질환 발병 증상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척추질환이란 등과 허리의 뼈 혹은 신경 및 조직들의 이상이나 손상으로 인하여 요통과 하지 방사통 혹은 마비를 나타내는 질환을 의미한다. 주로 퇴행성으로 오는 경우가 척추질환의 50-70%를 차지하고, 외상이나 종양에 의한 경우가 각각 10-20%정도를 차지한다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cited 2010 May 20]. Available from: http://www.spine.or.kr. (Korean) 

  2. Kang IO, Seo SR. Back pain surgery trend. Health Insur Forum 2006; 5(2): 116-139. (Korean) 

  3. Kang SY. Rehabilitation of low back pain. J Korean Med Assoc 1992; 35(8): 968-975. (Korean) 

  4. Jin GW. A Study on the Pain,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of the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08. (Korean) 

  5. Park KS, Ryoo EN, Choi MH. The effect of balance taping therapy on pain of the lower back pain patient. J Korean Acad Adult Nurs 2005; 17(1): 77-87. (Korean) 

  6. Kim YS. The Study of Correlational Relationship among the Chronic Low Back Pain Which the Patients Can Perceive, the Support of the Family and the Quality of Life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3. (Korean) 

  7. Park HS, Son JT.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depression in chronic low-back pain pati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01; 10(2): 125-136. (Korean) 

  8. Oh HJ.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 level and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musculoskeletal patients with chronic pain. Korean J Rehabil Nurs 1998; 1(1): 93-109. (Korean) 

  9. Kumari AK, Krishnamoorthy K, Harichandrakumar K, Das 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 appropriate indicator to assess the impact of morbidity management and disability prevention activities towards elimination of lymphatic filariasis. Filaria J 2007; 6: 8. 

  10. Engel GL. The biopsychosocial model and the educ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Ann N Y Acad Sci 1978; 310: 169-187. 

  11. Bentsen SB, Wahl AK, Strand LI, Hanestad BR. Relationships between demographic, clinical and pain variabl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treated with instrumented fusion. Scand J Caring Sci 2007; 21(1): 134-143. 

  12. Rabini A, Aprile I, Padua L, Piazzini DB, Maggi L, Ferrara PE, et al. Assessment and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patterns, disabil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Eura Medicophys 2007; 43(1): 49-54. 

  13. Zhu K, Devine A, Dick IM, Prince RL. Association of back pain frequency with mortality, coronary heart events, mo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Spine (Phila Pa 1976) 2007; 32(18): 2012-2018. 

  14. Kothe R, Kohlmann T, Klink T, Ruther W, Klinger R. Impact of low back pain on functional limitations, depressed mood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Pain 2007; 127(1-2): 103-108. 

  15. Horng YS, Hwang YH, Wu HC, Liang HW, Mhe YJ, Twu FC, et al. Predi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Spine (Phila Pa 1976) 2005; 30(5): 551-555. 

  16. Ernst ME, Iyer SS, Doucette WR. Drug-related problems and quality of life in arthritis and low back pain sufferers. Value Health 2003; 6(1): 51-58. 

  17. Keeley P, Creed F, Tomenson B, Todd C, Borglin G, Dickens C. Psychosocial predi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health service utilisation in people with chronic low back pain. Pain 2008; 135(1-2): 142-150. 

  18. Koleck M, Mazaux JM, Rascle N, Bruchon-Schweitzer M. Psycho-social factors and coping strategies as predictors of chronic evolu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 prospective study. Eur J Pain 2006; 10(1): 1-11. 

  19. Bentsen SB, Hanestad BR, Rustoen T, Wahl AK. Quality of life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treated with instrumented fusion. J Clin Nurs 2008; 17(15): 2061-2069. 

  20. Nickel R, Egle UT, Eysel P, Rompe JD, Zollner J, Hoffmann S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somatization in patients with long-term low back pain; a prospective study with 109 patients. Spine (Phila Pa 1976) 2001; 26(20): 2271-2277. 

  21. Manniche C, Asmussen K, Lauritsen B, Vinterberg H, Karbo H, Abildstrup S, et al. Intensive dynamic back exercise with or without hyperextension in chronic back pain after surgery for lumbar disc protrusion. A clinical trial. Spine(Phila Pa 1976) 1993; 18(5): 560-567. 

  22. Lee SJ. The Effect of Exercise after Surgery on Self- Efficac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Spine Surgery Patients [dissertation].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4. (Korean) 

  23. Tavafian SS, Jamshidi A, Mohammad K, Montazeri A. Low back pain education and short term quality of life: a randomized trial. BMC Musculoskelet Disord 2007; 8: 21. 

  24. Jin KN, Song HJ, Sin MJ.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efinitions and sub-domains. Korean J Health Sci 2001; 11: 64-78. (Korean) 

  25. Calin A, Edmunds L, Kennedy LG. Fatique in ankylosing spondylitis-Why is it ignored? J Rheumatol 1993; 20(6): 991-995. 

  26. Deyo RA, Battie M, Beurskens AJ, Bombardier C, Croft P, Koes B, et al. Outcome measures for low back pain research. A proposal for standardized use. Spine (Phila Pa 1976) 1998; 23(18): 2003-2013. 

  27. Song JS, Park WS, Choi HS, Seo JC, Kwak YH, Kim SA et al. Pesticide exposure of alpine agricultural workers in Gangwon-do and the measurement of their health status measured by SF-12. Korean J Pestic Sci 2005; 9(4): 287-291. (Korean) 

  28. Son DK. Determinants of Health in Rural Area in Korea. [dissertation]. Wonju: Yonsei University; 2007. (Korean) 

  29. Luo X, Lynn George M, Kakouras I, Edwards CL, Pietrobon R, Richardson W, et al. Reliability,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the short form 12-item survey (SF-12) in patients with back pain. Spine (Phila Pa 1976) 2003; 28(15): 1739-1745. 

  30. Sharp K, Ross CE, Cockerham WC. Symptoms, beliefs, and the use of physician services among the disadvantaged. J Health Soc Behav 1983; 24(3): 255-263. 

  31. Wright JD, Joyner LM. Health behavior among the homeless and the poor. In: Gochman DS, editor. Handbook of Health Behavior Research. 1st ed. New York: Springer; 1997. p.199-227. 

  32. Cho BH. Sociology of Disease and Medicine. Seoul: Jipmoondang Co.; 2006, p. 80-88. (Korean) 

  33. Robert SA, House JS.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integrating individuals, community-, and societallevel theory and research. In: Albrecht GL, Fitzpatrick R, Scrimshaw SC, editors. The Handbook of Social Studies in Health and Medicine. London: Sage Publications Ltd; 2000. p.115-1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