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eeman-Sheldon Syndrome(FSS)은 드물게 발생하는 선천성 유전 질환으로 휘파람을 부는 듯한 특징적인 안모로 인해 'Whistling face syndrome'으로 불리워진다. 또한 편평한 안모, 긴 인중(philtrum), 낮은 비연골이 나타나 두드러진 안면이상을 보이고, 내반족(club foot, 內反足), 손가락의 관절구축(joint contracture)으로 인한 풍차 모양의 손을 가지며, 지능은 보통 정상이다. 본원에 내원한 환아는 이 질환의 특징적 양상인 구강 주위 근육의 수축으로 소구증 및 개구제한, 높은 구개 및 부정교합, 치열의 심한 총생을 보여 구강위생이 매우 불량하였고 치과치료에 비협조적이었다. 소아치과적 행동조절 및 구강위생관리, 섭식장애의 상담으로 치과적 문제는 다소 개선되었으나, 안과 및 정형외과, 신경정신과, 교정과, 마취과적 문제로 인해 다양한 협진이 필요하며 계속적인 관찰 및 치료가 요구되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eeman-Sheldon Syndrome (FSS, also known as "Whistling Face Syndrome") is a rare genetic condition which characteristically includes a small "whistling" mouth, a flat mask-like face, club feet, joint contractures usually involving the fingers and hands, and under-development of the cartilage of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원에 내원한 증례의 환아는 선천적 근육 이상(congenital muscle contracture)을 보이는 Freeman-Sheldon Syndrome 으로 진단되어, 휘파람을 부는 듯한 특징적인 안모와 풍차 모양의 손, 내반족, 검열축소 등의 다양한 기형을 나타냈다. 작은 입과 좁은 구강, 개구 제한으로 인해 다발성 치아우식 및 치주질환을 가지고 있었고, 칫솔을 잡기 힘든 손의 기형 및 구강 주위 근육의 수축, 안모의 기형으로 위축된 심리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구강 위생 관리 및 정기적 검진, 타과와의 긴밀한 협진을 시행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원에 내원한 증례의 환아는 선천적 근육 이상(congenital muscle contracture)을 보이는 Freeman-Sheldon Syndrome 으로 진단되어, 휘파람을 부는 듯한 특징적인 안모와 풍차 모양의 손, 내반족, 검열축소 등의 다양한 기형을 나타냈다. 작은 입과 좁은 구강, 개구 제한으로 인해 다발성 치아우식 및 치주질환을 가지고 있었고, 칫솔을 잡기 힘든 손의 기형 및 구강 주위 근육의 수축, 안모의 기형으로 위축된 심리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구강 위생 관리 및 정기적 검진, 타과와의 긴밀한 협진을 시행하였다.
  • 본원에 내원한 환아는 원심 관절만곡증을 특징으로 하는 FSS로 진단되어 선천적인 근육병변(congenital myopathy)으로 인해 다양한 신체 장애 및 구강 기형과 관련된 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치과적으로 입술 주위 근육의 수축 및 이로 인한 개구장애, 소구증은 구강위생 관리 및 치료를 어렵게 하였고, 그로 인해 다발성 치아 우식 및 치주 질환을 야기하였다12,13).
  • 본원에 내원한 환아는 질환의 다양한 특징들을 출생 직후부터 모두 가지고 있었고 FSS 로 진단되어 정형외과, 소아과에서 치료를 받던 중, 치과적 문제로 소아치과로 의뢰되었다.
  • 증례의 환아는 초기에 치과에 대한 부정적 인식 및 비협조도로 일반 치과에서 치료를 기피하였고, 소아과의 의뢰로 본원 소아치과로 내원하였다. 기본적인 심리적 행동조절 하에 구강 검사 및 위생교육이 정기적으로 진행되었고 환아의 협조도는 긍정적으로 개선되었으나, 좁은 구강 및 개구 제한으로 다발성 치아 우식의 치료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 환아는 11세 9개월의 남아로 섭식장애 및 구강위생 불량으로 소아과로부터 의뢰되었다. 의뢰 당시 환아는 심각한 다발성 우식으로 인한 동통 및 치태로 인한 치은염, 개구제한으로 인한 섭식장애를 보이고 있었다.
  • 환아는 역시 FSS의 특징 중 하나인 내반족(club feet)과 풍차 모양의 손(Windmill vane hand), 척추측만증 및 성장지연을 보였다(Fig. 7). 발이 내측으로 휘어져 있어 보행에 어려움을 주어 특수한 신발을 신고도 자주 넘어져 잦은 외상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고, 정형외과에서 내반족과 척추측만에 대한 치료를 병행하고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SS는 증상의 정도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FSS는 원심부 관절만곡증(distal arthrogryposis)을 보이는데, 증상의 정도에 따라 DA1(distal arthrogryposis type 1)과 DA2A(distal arthrogryposis type 2A), DA2B((distal arthrogryposis type 2B)로 분류하기도 한다6-8). 대개 DA1 이 증상이 가장 적으며, 다음으로 DA2B 가 치료가 어려운 추가적인 증상들을 가진다.
FSS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치과적 질환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본원에 내원한 환아는 원심 관절만곡증을 특징으로 하는 FSS로 진단되어 선천적인 근육병변(congenital myopathy)으로 인해 다양한 신체 장애 및 구강 기형과 관련된 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치과적으로 입술 주위 근육의 수축 및 이로 인한 개구장애, 소구증은 구강위생 관리 및 치료를 어렵게 하였고, 그로 인해 다발성 치아 우식 및 치주 질환을 야기하였다12,13).
Freeman-Sheldon Syndrome의 특징은 무엇인가? Freeman-Sheldon Syndrome(FSS)은 드물게 발생하는 선천적 질환으로 상염색체(11p15.5) 결함으로 인해 휘파람을 부는 듯한 특징적인 안모를 보여‘Whistling face syndrome’, 또는‘원심 관절만곡증 2A’(DA2A, Distal arthrogryposis type 2A), 머리손목발목 형성이상(craniocarpotarsal dysplasia), ‘풍차 바람개비 손 증후군(Windmill-Vane-Hand syndrome)’이라고 불리워진다1-5). Freeman과 Sheldon에 의해 1938년 처음 보고되었으며1), 근육의 비정상적 수축과 관련된 다양한 증상들을 보인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Freeman, E. A. and J. H. Sheldon. : Cranio-carpotarsal dystrophy. Arch Dis Child 13(75):277-283, 1938. 

  2. Krakowiak, P. A., O'Quinn, J. R., Bohnsack, J. F, et al. : A variant of Freeman-Sheldon syndrome maps to 11p15.5-pter. Am J Hum Genet 60(2):426-432, 1997. 

  3. Agritmis, A., Unlusoy, O., Karaca, S. : Anesthetic management of a patient with Freeman-Sheldon syndrome. Paediatr Anaesth 14(10):874-877, 2004. 

  4. Ferrari, D., Bettuzzi, C., Donzelli, O. : Freeman- Sheldon syndrome.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Chir Organi Mov 92(2):127-131, 2008. 

  5. Toydemir, R. M. and M. J. Bamshad : Sheldon-Hall syndrome. Orphanet J Rare Dis 4:11, 2009. 

  6. Stevenson, D. A., Carey, J. C., Palumbos, J., et al. :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natural history of Freeman-Sheldon syndrome. Pediatrics 117(3):754-762, 2006. 

  7. Neumann, A. and P. F. Coetzee : Freeman-Sheldon syndrome: a functional and cosmetic correction of microstomia. J Plast Reconstr Aesthet Surg 62(5):e123-124, 2009. 

  8. Bamshad, M., Jorde, L. B., Carey, J. C. : A revised and extended classification of the distal arthrogryposes. Am J Med Genet 65(4):277-281, 1996. 

  9. Laishley, R. S. and W. L. Roy : Freeman-Sheldon syndrome: report of three cases and the anaesthetic implications. Can Anaesth Soc J 33(3 Pt 1):388- 393, 1986. 

  10. Munro, H. M., Butler, P. J., Washington, E. J. : Freeman-Sheldon (whistling face) syndrome. Anaesthetic and airway management. Paediatr Anaesth 7(4):345-348, 1997. 

  11. Robinson, P. J. : Freeman Sheldon syndrome: severe upper airway obstruction requiring neonatal tracheostomy. Pediatr Pulmonol 23(6):457-459, 1997. 

  12. Roberts, T., Stephen, L., Naidoo, T., et al. : Freeman-Sheldon syndrome: dental and orthodontic implications. J Clin Pediatr Dent 29(3):267-271, 2005. 

  13. Corrigan, L. A., Duncan, C. A., Gregg, T. A. : Freeman-Sheldon syndrome: a case report. Int J Paediatr Dent 16(6):440-443, 2006. 

  14. Benierakis, C. E. : The function of the multidisciplinary team in child psychiatry-clinical and educational aspects. Can J Psychiatry 40(6):348-353, 1995. 

  15. Doherty, W. J., McDaniel, S. H., Hepworth, J. : [Medical family therapy in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Prax Kinderpsychol Kinderpsychiatr 47(1):1-18, 1998. 

  16. Ohyama, K., Susami, T., Kato, Y., et al. : Freeman- Sheldon syndrome: case management from age 6 to 16 years. Cleft Palate Craniofac J 34(2):151-153, 1997. 

  17. Cruickshanks, G. F., Brown, S., Chitayat, D. : Anesthesia for Freeman-Sheldon syndrome using a laryngeal mask airway. Can J Anaesth 46(8):783-787, 1999. 

  18. Richa, F. C. and P. H. Yazbeck : Anaesthetic management of a child with Freeman-sheldon syndrome undergoing spinal surgery. Anaesth Intensive Care 36(2):249-253, 2008. 

  19. Malkawi, H. and M. Tarawneh : The whistling face syndrome, or craniocarpotarsal dysplasia. Report of two cases in a father and son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Pediatr Orthop 3(3):364-369, 19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