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뽕잎분말 첨가가 빵반죽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lberry Leaf Powder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6 = no.214, 2010년, pp.705 - 713  

김영호 (혜전대학 호텔제과제빵과) ,  조남지 (혜전대학 호텔제과제빵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뽕잎분말 첨가량을 달리하여 뽕잎가루 첨가빵 제조시 반죽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뽕잎분말의 조단백질은 21.25${\pm}$0.19%로 밀가루의 12.46${\pm}$0.06%보다 높았으며, 조섬유는 18.23${\pm}$0.1%로 밀가루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고, 반죽의 초미세구조는 뽕잎분말 첨가량 증가 시 글루텐의 망상구조가 불연속적이고 파열된 상태로 불안정하였으며 반죽 혼합 시 글루텐 형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죽의 물리적 특성인 파리노그램의 반죽도달시간은 뽕잎분말 증가 시 대조구에 비해 시간이 다소 연장되었으며 반죽형성시간은 길어졌고, 안정도는 뽕잎분말 2.0% 이상 첨가구부터 낮았으며 약화도는 증가하였다. 아밀로그램 특성의 호화개시온도는 뽕잎분말 증가 시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최고점도온도는 뽕잎분말 첨가구와 대조구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최고점도는 뽕잎분말 증가 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익스텐소그램 특성은 뽕잎분말 첨가량 증가시 반죽의 저항도는 크게 감소하였고 신장도의 값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였다. 신장도와 저항도 값의 비율인 R/E값의 변화는 뽕잎분말 증가에 따라 시간 경과 시 R/E값은 감소하였으며, 뽕잎분말을 첨가하는 경우는 반죽의 가스 보유력과 발효 내구력이 밀가루만 사용할 경우보다는 구조가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나 제빵시 반죽의 점탄성을 보완하는 산화제, 제빵개량제 등 새로운 원료를 첨가하는 배합비 수정 및 공정의 변화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with added mulberry leaf powder. The crude protein, fiber and ash contents of the mulberry leaf powder were 21.25%, 7.70% and 9.27% respectively. The mulberry leaf-mixed powder showed low lightness and redness v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뽕잎가루 첨가빵 제조 시 뽕잎가루 첨가로 인하여 흡수율, 혼합성, 탄력성, 발효내구력 등 반죽의 이화학적 물성 특성변화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원료 첨가, 배합비 조정, 제조공정 변화 등 제빵 시 필요한 자료를 분석하여 뽕잎가루 첨가빵의 제조방법을 정립하고 품질 특성과 식미가 우수한 뽕잎가루 첨가빵을 제조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Different letters(a-b) within a same row differ significantly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뽕잎에 함유되어 있는 flavonoid 중 rutin은 어떤 효과가 있는가? )는 민간에게 이용되어져 왔으며 뽕잎은 동양의 전통생약으로 발산작용이 있고, 풍열을 없애고, 간장을 맑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당뇨병을 예방·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뽕잎에는 flavones, steroid, triterpenes, 아미노산, 비타민과 다량의 무기질과 DNJ, GABA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뽕잎에 함유되어 있는 flavonoid 중 rutin은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해주어 고혈압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1). 뽕잎의 성분에는 혈당강하가 입증되어 당뇨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2) 뽕잎을 혐기적으로 처리함으로써 혈당강하 성분으로 알려진 1-deoxynojirimycin의 양을 증가시켜 혈당강하 효과가 증가됨이 확인되었다 (3).
제빵에 여러 가지 기능성 재료를 첨가한 연구 중 복합분의 경우 어떤 연구가 수행되어 왔는가? 빵의 품질과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빵에 여러 가지 기능성 재료를 첨가한 연구가 있다. 복합분의 경우는 보리, 옥수수, 감자, 고구마 및 탈지겨 등(6,7)과 콩 복합분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8). Sidwell과 Hammerle(9)과 Stillings 등(10)은 단백질의 영양 강화를 위해 물고기의 농축단백질과 lysine을 첨가한 반죽의 특성과 빵의 품질 변화를 조사하여 영양적 효과가 우수함을 보고하였다.
뽕잎에는 어떤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가? )는 민간에게 이용되어져 왔으며 뽕잎은 동양의 전통생약으로 발산작용이 있고, 풍열을 없애고, 간장을 맑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당뇨병을 예방·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뽕잎에는 flavones, steroid, triterpenes, 아미노산, 비타민과 다량의 무기질과 DNJ, GABA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뽕잎에 함유되어 있는 flavonoid 중 rutin은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해주어 고혈압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1). 뽕잎의 성분에는 혈당강하가 입증되어 당뇨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2) 뽕잎을 혐기적으로 처리함으로써 혈당강하 성분으로 알려진 1-deoxynojirimycin의 양을 증가시켜 혈당강하 효과가 증가됨이 확인되었다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Kim JS, Kang SS, Lee MW, Kim OK. Isolation of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Arakia continentails. Korean J. Pharmacogn. 26: 239-243 (1995) 

  2. Chen F, Nakashima N, Kimura I, Kimura M. Hypoglycemic activity and mechanisms of extracts from mulberry leaves (folium mori) and cortex mori radicis in streotozotocin induced diabetic mice. Akugaku Zasshi 115: 476-482 (1995) 

  3. Kimura M, Chen F, Nakashima N, Kimura I, Asano N, Koya S. Antihyperglycemic effects of N-containing sugars deried from mulberry leaves in STZ-induced diabetic mice. J. Trad. Med. 12: 214-219 (1995) 

  4. Chae JY, Lee JY, Hong IS, Whangbo D, Choi PW, Lee WC, Kim JW, Kim SY, Rhee SJ. Analysis of functional components of leaves of different mulberry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Nutr. 32: 15-21 (2003) 

  5. Asano N, Oseki K, Tomioka E, Kizu H, Matsui K. N-containingsugar from the Morus alba and their gly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Carbohyd. Res. Jpn. 259: 243-255 (1994) 

  6. Kim HS, Kim YH, Woo CH, Lee SR. Development of composite flours and their products utilizing domestic raw materials. Breadmaking test with composite flours in Kor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5: 16-24 (1973) 

  7. Kim SY, Ryu CH. Effect of certain additives on bread making quality of wheat purple sweet potato flours. Korean J. Soc. Food Sci. 13: 492-499 (1997) 

  8. Sathe SK, Ponte JG, Rangnekar PD, Salunkhe DK. Effects of addition of great northern bean flour and protein concentrates of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nd baking quality of bread. Cereal Chem. 58: 97-100 (1981) 

  9. Sidwell VD, Hammerle OA. Changes in physical and characteristics of doughs and bread containing various amounts fish protein concentrate and lysine. Cereal Chem. 47: 739-745 (1970) 

  10. Stillings BR, Sidwell VD, Hammerle OA. Nutritive quality of wheat flour and bread supplemented with either fish protein concentrate or lysine. Cereal Chem. 48: 292-301 (1971) 

  11. Kim YS, Ha TY, Lee SH, Lee HY. Effect of rice bran dietary fiber on flour rheology and quality of wet nood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0-95 (1997) 

  12. Kim EJ, Kim SM.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pine needle according to preparation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542-547 (1998) 

  13. Matinez-Anaya PB, Bayarri P, Benedito BC. Microflora of the sour doughs of wheat flour bread. Cereal Chem. 67: 85-91 (1990) 

  14. Chamberlain N, Collins TH, McDermott EE. $\alpha-Amylase $ and bread properties. J. Food Technol. 16: 127-152 (1981) 

  15. Hwang JK, Kim JT, Cho SJ, Kim CJ. Characteristics of water soluble fractions of wheat bran treated with various thermal process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34-938 (1995) 

  16. Wang WM, Klop CF, Ponte JG. Effects of twin-screw extrusion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 and other components of whole wheat and wheat bran and on the baking quality of the wheat bran. Cereal Chem. 70: 707-711 (1993) 

  17.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Method 925.10.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90) 

  18.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Method 923.03.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90) 

  19.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Method 960.52A.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90) 

  20.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Method 920.85.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90) 

  21. Prosky L, Asp NG, Furda I, Devreis JW, Scjweozer TF, Harland BA. Determination of total dietary fiber in foods and food products. J. Assoc. Off. Anal. Chem. 68: 677-684 (1987) 

  22. Bidlingmeyer BA, Cohen SA, Taruin TL, Frost B. A new rapid high sensitivity analysis of amino acid in food type samples. J. Assoc. Off. Anal. Chem. 70: 241-253 (1987) 

  23. AACC. Official Approved Method of AACC. Secs. 54-21.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1985) 

  24. AACC. Official Approved Method of AACC. Secs. 22-10.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1985) 

  25. AACC. Official Approved Method of AACC. Secs. 54-10.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1985) 

  26. Lee KH, Park HC, Her ES. Statistics and Date Analysis Method. Hyoil Press, Seoul, Korea. pp. 253-296 (1998) 

  27. Magoffin CD, Hoseney RC. A review of fermentation. Baker's Digest 48: 22-29 (1974) 

  28. CIGI. Grains & Oilseeds Handling, Marketing, Processing. Canadian International Grains Institute, Canada. pp. 534-536 (1982) 

  29. Bae SH, Rhee C. Effect of soybean protein isolate on the baking qualities of bread.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295-1300 (1998) 

  30. Kwon HR, Ahn MS. Study on rheological and general baking properties of breads and their rusks prepared of various flours. Korean J. Food Cookery Sci. 11: 479-486 (1995) 

  31. Parades-Lopez O, Bushuk W. Development and undevelopment of wheat dough by mixing microscopic structure and its relations to bread-making quality. Cereal Chem. 60: 24-27 (1982) 

  32. Bernardin JE, Kasarada DD. The microstructure of wheat protein fibrils. Cereal Chem. 50: 735-739 (1973) 

  33. Boycioglu MH, D'Appolonea BL. Charaterization and utilization of durum wheat for breadmaking. I Comparison of chemical, rheological, and baking properities between bread wheat flours and durum wheat flours. Cereal Chem. 71: 21-28 (1994) 

  34. Seyam AM. Starches of non-wheat origin. The Bakers Digest April, 25-31 (1975) 

  35. Thompson LU, Baker LM. Influence of succinylated whey protein concentrate on farinograph characteristics and bread quality. Cereal Chem. 60: 71-73 (1982) 

  36. Knuckles BE, Hudson CA, Chiu MM, Sayre RN. Effect of $\beta-glucan$ barley fractions in high-fiber bread and pasta. Cereal Food World 42: 94-99 (1997) 

  37. Sych J, Castaigne F, Lacroix C. Effects of initial moisture and storage relative humidity on textural changes of layer cakes during storage. J. Food Sci. 52: 1604-1607 (1987) 

  38. Schropp P, Belitz HD, Seilmeier W, Wieser H. Reoxid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subunit of glutenin. Cereal Chem. 72: 406-410 (1995) 

  39. Lindborg KM, Tragardh C, Eliasson AC, Dejmek P. Time resolved shear viscosity of wheat flour doughs-Effect of mixing, shear rate and resting on the viscosity of doughs of different flours. Cereal Chem. 74: 49-55 (1997) 

  40. Kim SK, Cheigh HS, Kwon HW, Marston PE. Rheological and baking studies of composite flour wheat and naked barly. Korean J. Food Sci. Technol. 10: 247-251 (1978) 

  41. Blocksma AH. Thiol and disulfide groups in dough rheology. Cereal Sci. Today 17: 380-386 (1975) 

  42. Hoseney RC, Hsu KH, Junge RC. A simple spread test to measure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fermenting dough. Cereal Chem. 56: 141-152 (19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