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폐성장애 아동 어머니의 삶의 전환 과정
Life Transition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6, 2010년, pp.808 - 819  

이애란 (원광보건대학 간호과) ,  홍선우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  김지수 (가천의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주세진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hile there are a number of studies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life transition of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autism. Methods: From June 2007 to May 2009, the rese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폐성장애를 가진 아동이 어머니와 애착 형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자폐성장애를 가진 아동은 발달 초기부터 눈 맞춤이나 사회적 미소가 없고 안아주어도 반응이 없으므로 어머니와의 애착 형성에 문제가 발생하며, 모아 애착의 결여는 어머니에게 스트레스를 발생시키며 어머니로서의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Im, 1997). 게다가 이러한 스트레스와 갈등은 특정 시점에 국한되지 않고 성장하는 아동과의 상호 작용 속에서 일생동안 지속되기 때문에 단순히 적응이나 극복의 개념으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Presti & Walker, 1997).
자폐성장애 아동을 돌보는 어머니들이 경험하는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가 다른 장애 아동 어머니에 비해 매우 심각한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일상생활에서 통제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하고, 다른 가족도 돌보아야 하므로 만성적인 피로와 수면 장애, 통증에 시달리는 등 신체적, 정서적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Glidden, Billings, & Jobe, 2006; Montes & Halterman, 2007; Murphy, Christian, Caplin,& Young, 2006). 특히 자폐성장애 아동은 뇌성마비나 정신지체에서 보이는 행동, 지각, 정서. 지능 장애뿐 아니라 언어 및 의사소통 장애를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으므로 부모나 다른 사람들과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행동 통제가 어렵기 때문에 자폐성장애 아동을 돌보는 어머니들이 경험하는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는 다른 장애 아동 어머니에 비해 매우 심각하다(Duarte, Bordin, Yazigi, & Mooney, 2005; King et al., 2006; Lim, 2004).
자폐성장애를 가진 아동의 어머니는 모아 애착의 결여로 스트레스와 갈등을 경험하는데, 이를 단순히 적응이나 극복의 개념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자폐성장애를 가진 아동은 발달 초기부터 눈 맞춤이나 사회적 미소가 없고 안아주어도 반응이 없으므로 어머니와의 애착 형성에 문제가 발생하며, 모아 애착의 결여는 어머니에게 스트레스를 발생시키며 어머니로서의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Im, 1997). 게다가 이러한 스트레스와 갈등은 특정 시점에 국한되지 않고 성장하는 아동과의 상호 작용 속에서 일생동안 지속되기 때문에 단순히 적응이나 극복의 개념으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Presti & Walker,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orbin, J., & Strauss, A. (200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 Duarte, C. S., Bordin, I. A., Yazigi, L., & Mooney, J. (2005). Factors associated with 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Autism, 9, 416-427. 

  3. Glidden, L. M., Billings, F. J., & Jobe, B. M. (2006). Personality, coping style and well-being of parents rear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50, 949-962. 

  4. Green, S. E. (2007). "We're tired, not sad": Benefits and burdens of mothering a child with disability. Social Science & Medicine, 64, 150-163. 

  5. Hassall, R., Rose, J., & McDonald, J. (2005).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The effects of parental cognitions in relation to child characteristics and family support.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49, 405-418. 

  6. Im, S. B. (1997). Effects of a mother-child attachment promo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7. Johnson, B. S. (2000). Mothers' perceptions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25, 127-132. 

  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09, June). Registered disabled persons data. Retrieved July 17, 2010, from http://kosis.kr/nsportal/themes/themes_03List.jsp 

  9. King, G. A., Zwaigenbaum, L., King, S., Baxter, D., Rosenbaum, P., & Bate, A. (2006).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changes in the belief system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autism or Down syndrome. Child: Care, Health &Development, 32, 353-369. 

  10. Landsman, G. (2003). Emplotting children's lives: Developmental delay vs. disability. Social Science &Medicine, 56, 1947-1960. 

  11. Lee, A. R. (2009). A structural model of caring behavior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613-622. 

  12. Lee, K. H. (1994). An analysis on the pathway between family stress and adaptation in families with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4, 666-677. 

  13. Lee. M. H., Choi, K. C., Lee, W. R., Kim, M. K., & Choi, S. A. (2004). The emotional problems of family hav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daily lif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43(1), 137-158. 

  14. Lim, Y. S. (2004). The lived experience of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Unpublished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 McKeever, P., & Miller, K-L. (2004). Mothering children who have disabilities: A Bourdieusian interpretation of maternal practices. Social Science &Medicine, 59, 1177-1191. 

  16. Meleis, A. I., Sawyer, L. M., Im, E. O., Hilfinger, M., DeAnne, K., & Schumacher, K. (2000). Experiencing transitions: An emerging middle-range theory. Advanced Nursing science, 23, 12-18. 

  17. Mercer, T. R. (2004). Becoming a mother versus maternal role attainment.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6, 226-233. 

  18. Montes, G., & Halterman, J. S. (2007). Psychological functioning and coping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A population-based study. Peditrics, 119, 1040-e1046. 

  19. Mu, P. F. (2006). Transition experience of parents caring of children with epilepsy: A phenomenologic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155, 1-9. 

  20. Murphy, N. A., Christian, B., Caplin, D. A., & Young, P. C. (2006). The health of caregiver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regiver perspectives. Child: Care, Health & Development, 32, 180-187. 

  21. Nelson, A. M. (2002). A Metasynthesis: Mothering other-than-normal children.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2, 515-530. 

  22. Oh, W. O., & Park, E. S. (2007). Parenting experienc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ADHD: Approaching the norm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91-104. 

  23. Preski, S., & Walker, L. O. (1997). Contribution of maternal identity and lifestyle to young children's adjustment.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 107-117. 

  24. Sawyer, L. M. (1999). Engaged mothering: The transition to motherhood for a group of African American women.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1, 14-21. 

  25. Shin, H. J. (2004). Maternal transition in mothers with high risk newbor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243-251. 

  26. Trapolini, T., McMahon, C. A., & Ungerer, J. A. (2007). The effect of maternal depression and marital adjustment on young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Child: Care, Health & Development, 33, 794-803. 

  27. Woolfson, L. (2004). Family well-being and disabled children: A psychosocial model of disability-related child behaviour problems.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9, 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