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위험 신생아 어머니의 모성전환 과정
Maternal Transition in Mothers with High Risk Newborn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4 no.2, 2004년, pp.243 - 251  

신현정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bout maternal transition in mothers with high risk newbor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ituational meaning. Method: A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that combin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was used. The situational mean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위험 신생아 어머니가 고위험 신생아 출산에 따른 전환적 상황에 부여하는 의미를 파악하고, 상황의미에 따른 모성 전환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고위험 신생아 어머니의 모성 전환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증가 시켜 궁극적으로는 상황에 부여하는 의미에 따른 고위험 신생아 어머니의 모성 전환 과정에 대한 체계적이고 개별화된 간호 중재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가설 설정

  • 면담 시기는 출산 직후, 아기의 퇴원 무렵 및 산후 3개월이었다. 면담 시기는 2차 면담의 경우 아기의 퇴원 무렵 어머니가 고위험 신생아 출산에 대한 의미탐색의 결과를 모두 통합하여 재구성하게 된다는 연구 결과 (Lim, 1997)에 근거하여 결정하였으며, 3차 면담의 경우 정상 신생아를 출산한 어머니의 경우 산후 5-8주경 모성전환의 안정기에 들어서게 된다는 연구 결과(Park, 1991)를 토대로 고위험 신생아 어머니는 아기의 입원으로 인하여 정상 신생아를 출산한 어머니보다 모성 전환이 지연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산후 3개월로 결정하였다. 따라서, 실제 대상자와의 1차시기 면담은 양적 자료 수집 후 3일 이내로 출산 직후 이루어졌고, 2차시기 면담은 아기가 신생아 중환자실을 퇴원하기 2일 전부터 퇴원 후 2일 이내에 시행하였으며, 3차시기 면담은 산후 10주에서 12주 사이에 이루어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ffonso, D. D., Hurst, I., Mayberry, L. S., Yost, K., & Lynch, M. E. (1992). Stressors reported by mothers of hospitalized premature infants. Neonatal Netw, 11(6), 63-70 

  2. Bialoskurski, M., Cox, C. L., & Hayes, J. A. (1999). The nature of attainment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 Perinat Neonatal Nurs, 13(1), 66-76 

  3. Cho, K. J. (1993). A comparison of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in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normal full-term infa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 Choi, E. J. (1999). A phenomenological study on mother's experience of premature inf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5. Gardner, S. L., & Hagedon, M. I. (1991). Physiologic sequelae of prematurity : The nurse ractitioner's role. J Pediatr Health Care, 5, 122-134 

  6. Hughes, M., McCollum, J., Sheftel, D., & Sanchez, G. (1994). How parents cope with the experience of neonatal intensive care. Child Health Care, 23(1), 1-14 

  7. Imle, M. A. (1990). Third trimester concerns of expectant parents in transition to parenthood. Holist Nurs Pract, 4(3), 25-36 

  8. Kim, S. J., & Jeong, G. H. (1995). Mothers' perception of their normal and high-risk newborn during the early postpartum period.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1(1), 5-15 

  9. Kwon, M. K., & Han, K. J. (1991). Astudy on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maternal identity in mother-infant dyads of premature and full-term infants. J Korean Acad Nurs, 21(1), 79-87 

  10. Ladden, M., & Damato, E. (1992). Parenting and supportive programs. NAACOGS Clin Issu Perinat Womens Health Nurs, 3(1), 174-187 

  11. Lim, J. Y. (1997). Effect of supportive care and infant care information on the perceived stress level and health status of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2. Mercer, R. T. (1981). A theoretical framework for studying the factors that impacts on the maternal role. Nurs Res, 30, 73-77 

  13. Miles, M. S., Funk, S. G., & Kasper, M. A. (1992). The stress response of mothers and fathers of preterm infants. Res Nurs Health, 15, 261-269 

  14. Moon, Y. I., & Koo, H. Y. (1999). Parental role stress and perception of the newborn in mothers of preterm babies. J Korean Acad Nurs, 29(1), 174-182 

  15. Park, Y. S. (1991). Transition to motherhood of primipara in postpartum peri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6. Patterson, 1. M., & Garwick, A. W. (1994). Level of meaning in family stress theory. Fam Process, 33, 287-304 

  17. Pridham, K. F., Lytton D., Chang, A. S., & Rutledge, D. (1991). Early postpartum transition : progress in maternal identity and role attainment. Res Nurs Health, 14,21-3l 

  18. Schumacher, K. L., & Meleis, A. I. (1994). Transitions : A central concept in nursing. Image J Nurs Sch, 26(2), 119-127 

  19. Tutty, L. M., Rothery, M., & Grinnell, R. M. (1996). Qualitative research for social workers. Allyn and Bacon, A division of Simon & Schuster, Inc. 

  20. Wong, D. L. (1991). Nursing Care of Infants and Children. 6th ed., Mosby Co. 

  21. Wrbsky, P. M. (2000). Family meaning attribution in the health-illness transition to preterm birt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