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포용 PU/MWNT 복합필름의 제조와 특성분석
Manufacturing and Characteristics Analysis of PU/MWNT Composite Film for Forming 원문보기

韓國染色加工學會誌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v.22 no.4, 2010년, pp.362 - 372  

박준형 (영남대학교 섬유패션학부) ,  김정현 (영남대학교 섬유패션학부) ,  김승진 (영남대학교 섬유패션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survey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ultiwall carbon nanotube (MWNT) and polyurethane composite film for improv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The modification of MWNT was carried out by acid treatment with nitric and sulphuric acid mixed solution, an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보26,27)에서 최근 CNT의 물리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에 관심을 갖고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MWNT를 조사하여 특성을 파악하고, PU와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산처리와 열처리에 의한 MWNT의 표면에 -C=O, -COOH, -OH와 같은 기능기를 도입하여 분산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고 또한 국내의 MWNT 중 PU와의 분산성이 용이하고 가장 뛰어난 분산성과 전기적 물성을 지닌 PU/MWNT 복합 필름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MWNT와 폴리우레탄과의 복합을 통하여 역학적 물성의 향상과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PU/MWNT 복합발포체를 제조하는 것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PU/MWNT 복합발포체의 제조에 앞서 복합발포체 그라운드로 쓰이는 PU/MWNT 필름의 제조시 폴리우레탄 내에서의 MWNT 함유량과 분산시간에 따른 분산성을 가시광선/근적외선/분광광도계(UV/VIS/NIR Spectrometer)와 비디오광학현미경(SV-550 Video microscope system)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MWNT 함유량과 분산시간에 따른 PU/MWNT 필름의 인장특성 및 전자부품간지로서의 적용가능성 확인을 위해 전기전도성을 측정하고 이에 따른 결과를 고찰함으로서 PU/MWNT복합발포체의 베이스 필름제조에 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에서 최근 CNT의 물리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에 관심을 갖고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MWNT를 조사하여 특성을 파악하고, PU와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산처리와 열처리에 의한 MWNT의 표면에 -C=O, -COOH, -OH와 같은 기능기를 도입하여 분산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고 또한 국내의 MWNT 중 PU와의 분산성이 용이하고 가장 뛰어난 분산성과 전기적 물성을 지닌 PU/MWNT 복합 필름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MWNT와 폴리우레탄과의 복합을 통하여 역학적 물성의 향상과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PU/MWNT 복합발포체를 제조하는 것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NT와 고분자 복합체의 응용을 위한 연구는 어떤 고분자들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현재 CNT와 고분자 복합체의 응용을 위한 연 구는 폴리비닐리덴(Polyvinylidene), 에폭시(epoxy),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 다양한 고분자들과 이루어지고 있으며, 응용 하는 고분자의 특성에 따라 인장강도, 탄성계수 등에서 다른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2,15-17). 또한 전기적 특성의 응용을 위한 복합체 제조의 경우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등 수많은 다양한 고분자를 이용하여 전기전도성 복합체를 제조해 정전기 방지제품 및 정전도장 (electrostatic painting, 靜電塗裝), 초고용량 캐패시터(supercapacitor) 분야에 응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8-21).
전기적 특성의 응용을 위한 복합체 제조를 위해서는 어떤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현재 CNT와 고분자 복합체의 응용을 위한 연 구는 폴리비닐리덴(Polyvinylidene), 에폭시(epoxy),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 다양한 고분자들과 이루어지고 있으며, 응용 하는 고분자의 특성에 따라 인장강도, 탄성계수 등에서 다른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2,15-17). 또한 전기적 특성의 응용을 위한 복합체 제조의 경우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등 수많은 다양한 고분자를 이용하여 전기전도성 복합체를 제조해 정전기 방지제품 및 정전도장 (electrostatic painting, 靜電塗裝), 초고용량 캐패시터(supercapacitor) 분야에 응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8-21).
PU/MWNT 발포용 필름 제조에 대한 연구에서, 흡광도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분산조건은 어떠했는가? 1. PU/MWNT 필름의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MWNT 의 함유량 대비 흡광도를 보았을 때 함유량 2wt%, 분산시간 2시간일 때 흡광도 값은 2∼ 2.5이고 24시간일 때는 3∼3.2의 흡광도 값을 보였다. 그러나 MWNT의 분산시간의 효율적인 면을 보았을 때 함유량 2wt%, 분산시간 2시간 일 때 가장 효율적인 분산조건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M. J. O'Connell, "Carbon Nanotube Properties and Applications", New York, U.S.A., pp.3-25, 2006. 

  2. A. Chatterjee and B. L. Deopura, Carbon Nanotubes and Nanofibre: An Overview, Fibers and Polymers, 3(4), 134-139(2002). 

  3. M. Jung, and J. W. Cho, Mechanical, Therm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 Polyurethane Nanocomposites, Journal of Korean Fiber Society, 41(2), 73-79(2004). 

  4. J. I. Lee, and H. T. Jung, Technical Status of Carbon Nanotubes Composites, Korean Chem. Eng. Res., 46(1), 7-14(2008). 

  5. I. W. Chiang, B. E. Brinson, R. E. Smalley, J. L. Margrave, and R. H. Hauge,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J. Phys. Chem. B, 105, 1157-1161(2001). 

  6. C. Park, Z. Ounaies, K. A. Watson, R. E. Crooks, J. Smith Jr., S. E. Lowther, J. W. Connell, E. J. Siochi, J. S. Harrison, and T. L. St. Clair, Dispersion of Single Wall Carbon Nanotubes by In Situ Polymerization Under Sonication, Chemical Physics Letters, 364, 303-308(2002). 

  7. K. Mukhopadhyay, C. D. Dwivedi, and G. N. Mathur, Conversion of Carbon Nanotubes to Carbon Nanofibers by Sonication, Carbon, 40, 1369-1383(2002). 

  8. P. Potschke, A. R. Bhattacharyya, and A. Janke, Melt Mixing of Polycarbonate with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icroscopic Studies on the State of Dispersion, European Polymer Journal, 40, 137-148(2004). 

  9. X. L. Xie, Y. W. Mai, and X. P. Zhou, Dispersion and Alignment of Carbon Nanotubes in Polymer Matrix: A review,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R49, 89-112(2005). 

  10. E. T. Mickelson, C. B. Huffman, A. G. Rinzler, R. E. Smalley, R. H. Hauge, and J. L. Margrave, Fluorinat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Chemical Physics Letters, 296, 188-194(1998). 

  11. A. Hirsch, Functionalization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Chem. Int. Ed., 41, 1853-1859(2002). 

  12. M. Olek, M. Hilgendorff, and M. Giersig, A Simple Route for the Attachment of Colloidal Nanocrystals to Noncovalently Modifi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Colloid and Surfaces A: Physicochem. Eng. Aspects, 292, 83-85(2007). 

  13. H. Kitano, K. Tachimoto, and Y. Anraku, Functionalization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by Covalent Modification with Polymer Chains,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306, 28-33(2007). 

  14. A. G. Osorio, I. C. L. Silveira, V. L. Bueno, and C. P. Bergmann, $H_{2}SO_{4}/HNO_{3}/HCI-Functionalization$ and Its Effect on Dispersion of Carbon Nanotubes in Aqueous Media, Applied Surface Science, 255, 2485-2489(2008). 

  15. L. S. Schadler, S. C. Giannaris, and P. M. Ajayan, Load Transfer in Carbon Nanotube Epoxy Composites, Applied Physics Letters, 73, 3842-3844(1998). 

  16. Z. Jin, K. P. Pramoda, S. H. Goh, and G. Xu, Poly(vinylidene fluoride)-Assisted Melt-Blending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Poly(methylmethacrylate) Composites, Materials Research Bulletin, 37, 271-278(2002). 

  17. D. Xu and Z. Wang, Role of Multi-Wall Carbon Nanotube Network in Composites to Crystallization of Isotactic Polypropylene Matrix, Polymer, 49, 330-338(2008). 

  18. K. Jurewicz, S. Delpeux, V. Bertagna, F. Beguin, and E. Frackowiak, Sopercapacitors from Nanotubes/ Polypyrrole Composites, Chemical Physics Letters, 347, 36-40(2001). 

  19. N. G. Sahoo, Y. C. Jung, H. J. Yoo, and J. W. Cho, Influence of Carbon Nanotubes and Polypyrrole on the Thermal, Mechanical and Electroactive Shape-Memory Properties of Polyurethane Nanocomposites, Composite Science and Technology, 67, 1920-1929(2007). 

  20. E. Kymakis, I. Alexandou, and G. A. J. Amaratunga,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Polymer Composites: Electrical, Optical and Structural Investigation, Synthetic Metals, 127, 59-62(2002). 

  21. A. Ilcham, A. Srisurichan, A. Soottitantawat, and T. Charinpanitkul, Dispersion of Multi- Walled Carbon Nanotubes in Poly(p-phenylene) thin Films and Their Electrical Characteristics, Particuology, 7, 403-407(2009). 

  22. Y. M. Tsai, T. L. Yu, and Y. H. Tseng, Physical Properties of Crosslinked Polyurethane, Polymer International, 47, 445-450(1998). 

  23. S. Y. Lee, Y. C. Jung, J. W. Cho, and B. C. Chun, Synthesis and Characteristics of Carbon Nanotube Nanocomposites Crosslinked with Polyurethane,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45(4), 247-253(2008). 

  24. H. G. Im, H. M. Kim, and J. H. Kim, Dispersity of CNT and GNF on Polyurethane Matrix: Effect of Polyurethane Chemical Structure, Polymer(Korea), 32(4), 340-346(2008). 

  25. J. W. Kim, Y. C. Jung, and J. W. Cho, Carbon Nanotube-Polyurethane Nanocomposites Having Characteristics of Electroactive Shape Recovery,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42(4), 270-276(2005). 

  26. K. S. Park, S. J. Kim, J. H. Kim, J. H. Park, and O. K. Kwon, Modification of Carbon Nanotube for the Improvement of Dispersion Property and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Carbon Nanotube Polyurethane,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22(1), 43-50(2010). 

  27. J. H. Kim, J. H. Park and S. J. Kim, The Physical Property of the MWNT/PU Composite Films,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22(3), 246-256(2010). 

  28. G. Y. Park, J. S. Kim and Y. J. Jeong, Comparison of Characteristic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Functionalized Using Various Methods,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45, 359-362(2008). 

  29. J. M. Park, D. S. Kim, S. J. Kim, P. G. Kim, D. J. Yoon, and K. L. Devries, Inherent Sensing and Interfacial Evaluation of Carbon Nanofiber and Nanotube/Epoxy Composites Using Electrical Resistance Measurement and Micromechanical Technique, Composites: Part B, 38, 847-861 (2007). 

  30. J. H. Ko, J. C. Kim, and J. H. Chang,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Hybrid Films with Functionalized-MWNT : Thermomechanical Properties, Morphology, Gas Permeability, and Optical Transparency, Polymer(Korea), 33(2), 97-103(2009). 

  31. P. C. Ma, B. Z. Tang, and J. K. Kim, Effect of CNT Decoration with Silver Nanoparticles on Electrical Conductivity of CNT-Polymer Composites, Carbon, 46, 1497-1505(2008). 

  32. J. H. Kook, K. U. Jeong, J. S. Yang, D. H. Park, J. H. Go, and C. W. Nah,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Poly(ethylene-co-ethyl acrylate)/Carbon Nanotube Nanocomposites, J. Korean Ind. Eng. Chem., 19(2), 161-167(2008). 

  33. Y. H. Lee, The Physical Property and Application of Carbon Nanotube, Sea Mulli(The Korean Physical Society), 51(2), 84-144(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