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죽여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및 관련 단백질 동향 분석
Inhibitory Melanogenesis of Bambusae caulis in Taeniam and Profiling of Related Proteins 원문보기

KSBB Journal, v.25 no.5, 2010년, pp.478 - 482  

이정현 (아주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공학과 화장품과학) ,  김상범 (한국화장품 기술개발연구소) ,  변상요 (아주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공학과 화장품과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죽여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용매와 추출방법을 달리한 6가지의 추출물을 얻어 tyrosinase 활성 억제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 메탄올로 추출한 죽여 추출물에서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 하였다. 세포 수준에서 죽여 추출물의 melanin 생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B16 melanoma 세포를 이용하여 MTT assay를 실시하였고, 50 ppm의 농도 까지는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죽여 추출물에 의한 세포 내 melanin 합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melanin contents assay를 하였고, 10 ppm 추출물을 처리한 extra cellular에서는 control 대비 68%, intra cellular에서는 74% 수준으로 melanin 합성이 저해됨을 확인하였다. 이차원전기영동을 이용하여 B16 melanoma 세포의 proteome을 분석 해 본 결과, 죽여 추출물 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171개, 추출물을 투여한 것에서는 282개의 spot을 확인하였고, 120개의 spot matching 을 확인하였다. 이 중 미백에 관련된 12개의 단백질 동향분석을 통하여, 죽여 추출물이 melanin 합성 전이나 합성 중에 관련된 메커니즘에 관련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hibitory melanogenesis by Bambusae caulis in Teaniam (Phyllostaachys nigra var. henonis Stapf) was studie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were evaluated with six different extracts. Among them the extract with methanol showed the highest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MTT assay with B16 melan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담양에서 채취하여 얻은 죽여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추출한 후 in vitro 미백활성을 평가하여 피부에 안전하고 효과가 뛰어난 천연추출물의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더 나아가 proteome profiling 기술을 응용하여, 죽여추출물 투여에 따른 멜라닌 합성 저해 및 이와 관련된 protein들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화장품 산업에서 미백제품의 비중은 점점 커져가고 있으며, 미백 원료의 개발 역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담양에서 채취하여 얻은 죽여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추출한 후 in vitro 미백활성을 평가하여 피부에 안전하고 효과가 뛰어난 천연추출물의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더 나아가 proteome profiling 기술을 응용하여, 죽여추출물 투여에 따른 멜라닌 합성 저해 및 이와 관련된 protein들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세포 내에 있는 melanin과 세포 밖 배지에 존재하는 melanin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B16 melanoma cell을 96 well plate에 1.
  • 세포 수준에서 죽여 추출물의 melanin 생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B16 melanoma 세포를 이용하였다. 우선 죽여 추출물이 세포에 대한 독성을 확인하였다. B16 melanoma 세포에 죽여 추출물의 농도를 높여 투여하면서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죽여는 동의보감에서 무슨 효능이 있다고 하였는가? 질은 가볍고 탄력성이 있고 섬유성이다. 동의보감에는 구토 및 해열, 불면증, 거담 등의 증상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죽여란? 우리나라에는 약 70종의 대나무 종류가 자생 또는 재배 되고 있다. 죽여 (BambusaecaulisinTaeniam)는 대를 꺽어 외피를 제거하고 중간층을 말린 것으로, 성상은 엷은 막편 또는 불규칙한 실모양으로 너비와 두께가 고르지 않으나 두께 1-11 mm의 조각인 것도 있다. 바깥면은 엷은 녹색-황록색 또는 회백색이며 가루로 된 것도 있다.
멜라닌의 생성과정은? 멜라닌은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노내의 tyrosine이 tyrosinase라고 하는 enzyme에 의해 산화되어 생성되는데 여기에는 tyrosinase의 합성 및 전달에 관여하는 세포내 조절인자, tyrosinase, dopachrom tautomerase, peroxidase, catalase, glutathione reductase 등의 효소와 구리, 아연, 철 등의 금속이온 및 인터페론 (IFN), 프로스타그란딘 (PG), Cyclooxygenase (COX)등과 같은 mediator가 관여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3]. 뿐만 아니라, 멜라닌이 생성되어 피부까지 발현되는 과정은 다른 세포와 여러 단백질 간의 긴밀한 관계로 이루어 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Maeda, K. and M. Fukuda (1996) Arbutin: mechanism of its depigmenting action in human melanocyte culture. J. Phamacol. Exp. Ther. 276: 765-769. 

  2. Saruno, R., F. Kato, and T. Ikeno (1979) Kojic acid, a tyrosinase inhibitor from Aspergillus albus. Agric. Biol. Chem. 43: 1337-1338. 

  3. Park, J. H., Y. G. Shin, U. K. Shin, S. K. Baek, S. K. Lee, M. H. Chung, and Y. I. Park (1997)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some herbal drug. Yakhak Hoiji. 41: 518-523. 

  4. Wilkins, M. R., J. C. Sanchez, A. A. Gooley, R. D. Appel, I. Humphery-Smith, D. F. Hochstrasser, and K. L. Williams (1996) Progress with proteome project: why all proteins expressed by a genome should be identified and how to do it. biotechnol. Genet. Eng. Rev. 12: 19-50. 

  5. Sieuwerts, A. M., J. G. Klijn, H. A. Peters, and J. A. Foekens (1995) The MTT tetrazolium salt assay scrutinized: How to use this assay reliably to measure metabolic activity of cell cultures in vitro for the assessment of growth characteristics, IC50 values and cell survival. Eur. J. Clin. Chem. Clin. Biochem. 33: 813-823. 

  6. Jimbow, M., H. Kanoh, and K. Jimbow (1982) Characterization of biochemical properties of melanosomes for structual and functional differentiation: Analysis of the compositions of lipids and proteins in melanosomes and their subfractions. J. Invest. Dermatol. 79: 97-102. 

  7. Sulaimon, S. S. and B. E .Kitchell (2003) The biology of melanocytes., Veterinary Dermatology 14: 57-65. 

  8. Bjellqvist, B., R. Westermeier, and W. Postel (1982) Isoelectric focusing in immobilized pH gradients: principle, methodology and some applications. J. Biochem. Biophy. Meth. 6: 317-339. 

  9. Mortz, E., T. N. Krogh, H. Vorum, and A. Gorg (2001) Improved silver staining protocols for high sensitivity protein identification using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time of flight analysis. PROTEOMICS. 1: 1359-1363. 

  10. Ken-ichi, Y., V. Julio, M. Jacqueline, D. V. Wilfred, W. Hidenori, S. Jeffrey, J. H. Vincent, F. H. Donald, and A. Ettore (2002) Proteomic Analysis of Early Melanosomes: dentification of Novel Melanosomal Poteins. J. Proteome research. 2: 69-79. 

  11. Prota, G. (1980) Recent advances in the chemistry of melanogenesis in mammals. J. Invest. Dermal. 75: 122-126. 

  12. Sober, A. J. and T. B. Fitzpatrick (1974) Pathophysiology of melanin pigmentation in man. Prog. Chem. Org. Natural Products. 31: 521-582. 

  13. Hosoi, J., E. Abe, T. Suda, and T. Kuroki (1985) Regulation of melanin synthesis of B16 mouse melanoma cells by 1-alpha 25-dihydroxyvitamin D3 and retinoic acid. Cancer Res. 45: 1474-1478. 

  14. Mario, M. B.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ytical Biochemistry 72: 248-2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