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미의 볶음 처리 유무와 첨가량이 선식의 영양적 관능적 특성 및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Roasted or Non-roasted Brown Rice Addition on the Nutri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and Oxidative Stability of Sunsik, Korean Heated Cereal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6 no.6, 2010년, pp.872 - 886  

이병용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오진환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현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기효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재철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서정희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미의 기능성을 선식에 부가하기 위해, 현미의 볶음처리 유무와 첨가량을 달리하여 6종의 현미 강화 선식을 제조하고, 이들 조건에 따른 선식의 영양적, 관능적 특성 및 산화안정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의해 산출된 유의적 결과들은 크게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현미 첨가량이 선식의 품질 특성에 미친 영향 선식 재료의 배합에 있어, 현미의 첨가량을 증가시킬수록 선식의 식이섬유 함량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그 외의 일반성분, 8종의 개별 무기질 및 아미노산 조성은 현미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2) 현미의 볶음공정이 선식의 품질 특성에 미친 영향 현미를 볶아서 선식에 첨가한 경우, 볶지 않고 첨가한 선식과 비교할 때,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현상은 볶음(roasting) 공정 중 고온에 의한 현미 단백질의 열분해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한편, 현미의 볶음공정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은 선식의 산화안정성이었다. 즉, 현미를 볶지 않고 첨가한 경우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산화물이 비례적으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볶음공정을 처리하였을 때는 측정시간의 범위 안에서 산화물 생성의 유의적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현미 첨가량과 관계없이 볶음공정에 의해 산화안정성이 유의적으로 높아졌다는 사실은, 현미 자체에 내재하는 항산화물질에 의한 영향뿐 아니라, 볶음공정 중 진행되는 Maillard reaction 등의 화학반응에 의한 항산화물질의 생성이 현미강화선식의 산화안정성에 크게 기여할 것임을 시사하였다. 3) 현미 강화 선식의 관능적 특성 현미강화 선식의 관능적 특징 중, 후각과 미각에 의해 인지되는 특성인 구수한 맛과 향, 단맛의 특성은 종합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볶은 현미 30%를 첨가한 RBR30 선식이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곡물이 주원료인 선식의 경우는, 선식을 구성하는 원료들 사이의 상호작용(interaction)으로, 곡물의 첨가량 및 볶음공정에 따른 관능적 특성의 비례적 변화가 아닌, 최적의 관능적 특성을 부여하는 배합비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x kinds of sunsik containing different contents of brown rice(BR; 20, 30, and 50%) were prepared and subjected to various processing conditions(with or without roasting at $200^{\circ}C$ for 20 min e.g., designated as RBR50 or BR50) to assess their functionality as ready-to-eat foods. 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리, 현미, 검정콩 등의 곡류와 두 류로 만든 선식을 연구 대상 식품으로 선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i) 식사대용식, 편의식으로 소비가 증가되고 있고(Kim EM와 Kim HS 2002, Chung SS와 Han YS 2003), (ii) 곡물, 두류 등의 천연 식품소재를 주원료로 하여 자연식으로 인식되고 있으며(Kim EM와 Kim HS 2002), (iii) 주원료인 보리, 현미, 검정콩 등의 곡류와 두 류에서 항산화성과 발암 억제 효과 등 기능성이 보고됨에 따라(Flight I와 Clifton P 2006) 건강식으로도 인식되고 있는 선식을 연구 대상 식품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선식에 부가될 기능성 식품소재의 선정에 있어서도, 선식에 대한 소비자들의 이러한 인식도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편의식에 영양성 및 기능성을 부가 시킨 제품에 대한 연구는 어떤 식품에 적용되어 이루어지고 있나? 최근 현대인의 바쁜 일상생활로 편의식 위주의 식사가 늘어나고 있고, 더불어 소비자의 건강 지향적인 욕구도 함께 증가함에 따라, 편의식에 영양성 및 기능성을 부가 시킨 제품을 연구⋅개발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Kim EM와 Kim HS 2002, Bae JH 등 2003, Jeon JR 와 Kim J 2004, Yun S 등 2010). 이러한 움직임은 특히, 전통적 개념의 식사를 대신하고 있는 빵, 시리얼, 선식 등에 적용되어, 자연친화적이며 건강지향적인 식품 소재들이 부가된 다양한 제품 개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Kim EM와 Kim HS 2002, Kim MH와 Shin MS 2003, Kim JH 등 2004, Kim JH 등 2005).
편의식에 영양성 및 기능성을 부가 시킨 제품을 연구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현대인의 바쁜 일상생활로 편의식 위주의 식사가 늘어나고 있고, 더불어 소비자의 건강 지향적인 욕구도 함께 증가함에 따라, 편의식에 영양성 및 기능성을 부가 시킨 제품을 연구⋅개발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Kim EM와 Kim HS 2002, Bae JH 등 2003, Jeon JR 와 Kim J 2004, Yun S 등 2010). 이러한 움직임은 특히, 전통적 개념의 식사를 대신하고 있는 빵, 시리얼, 선식 등에 적용되어, 자연친화적이며 건강지향적인 식품 소재들이 부가된 다양한 제품 개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Kim EM와 Kim HS 2002, Kim MH와 Shin MS 2003, Kim JH 등 2004, Kim JH 등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조무호, 김석중. 2005. 현미와 발아현미의 항산화 효과. 대구카톨릭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3(1):87-92 

  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p 777-784 

  3. Bae JH, Woo HS, Choi HJ, Choi C. 200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nion powder added wheat flour dough. Korean J Food Sci Technol 35(3):436-441 

  4. Bai Q, Chai M, Gu Z, Cao X, Li Y, Liu K. 2009. Effects of components in culture medium on glutamate decarboxylase activity and $\gamma$ -aminobutyric acid accumation in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during germination. Food Chem 116(1): 152-157 

  5. BeMiller JN, Huber KC. 2008. Carbohydrates. pp 84-154. In: Food Chemistry. Damodaran S, Parkin KL, Fennema OR (ed). CRC Press, Boca Raton, FL. U.S.A. 

  6. Charalampopoulos D, Wang R, Pandiella SS, Webb C. 2002. Application of cereals and cereal components in functional foods: a review. Int J Food Microbiol 79(1-2):131-141 

  7. Choe JS, Ahn HH, Nam HJ. 2002.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in Korean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5):885-892 

  8. Choi HD, Park YK, Kim YS, Chung CH, Park YD. 2004. Effect of pretreament conditions on γ-aminobutyric acid content of brown rice and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5):761-764 

  9. Chung SS, Han YS. 2003. Consumer's recognition, nutrient composition, and safety evaluation of commercial sunsik and saengsik. Korean J Food Culture 18(3):235-243 

  10. Cortinas L, Galobart J, Barroeta AC, Baucells MD, Grashorn MA. 2003. Change in a-tocopherol contents, lipid oxidation and fatty acid profile in eggs enriched with linolenic acid or very long-chain w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fter different processing methods. J Sci Food Agric 83(8):820-829 

  11. Flight I, Clifton P. 2006. Cereal grains and legumes in the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stroke: a review of the literature. Eur J Clin Nutr 60(10):1145-1159 

  12. Han JG, Kim K, Kang KJ, Kim SK. 1996. Shelf-life prediction of brown rice in laminated pouch by n-hexanal and fatty acid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5):897-903 

  13. Jeon JR, Kim J. 2004. Properti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changes during storage added with extracts from Ulmus cortex. Korean J Food Cookery Sci 20(2):180- 186 

  14. Kim EM, Kim HS. 2002. Nutritional evaluation, stability of cereals and sanitation status of processing utensils and environments based on hygiene educati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7(6):833-843 

  15. Kim HW. 2000.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compounds of sesame oils with roasting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2):246-251 

  16. Kim JH, Park PS, Kim JK. 2005. Manufacture of nutritionally balanced sunsik for the moderns: its quality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Preserv 12(2):123-129 

  17. Kim JH, Park PS, Moon HK, Lee WY, Kim JK.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health sunsik for diabetes mellitus. Korean J Food Preserv 11(4):557-564 

  18. Kim M, Yang HR, Jeong Y. 2004. Mineral contents of brown and milled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2):443-446 

  19. Kim MH, Shin MS.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made with brown rice flours of different preparation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2):136-143 

  20. Kim SH, Kim IH, Kim JO, Lee GD. 2002. Comparison of components of sesame oils extracted from sesame flour and whole sesame. Korean J Food Preserv 9(1):67-73 

  21.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7. Report o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ietary intake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pp 387-447 

  22. Kornbrust DJ, Mavis RD. 1980. Relative susceptibility of microsomes from lung, heart, liver, brain and testes to lipid peroxidation: Correlation with vitamin E content. Lipids 15(5): 315-322 

  23. Lee JH, Oh SK, Cho KM, Seo WD, Choung MG. 2009. Variation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own rice(Oryza sativa L.) during storage. Food Sci Biotechnol 18(6):1398- 1403 

  24. Lee MH, Oh M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brown rice flour. Korean J Food Culture 21(6):685-694 

  25. Lepage G, Roy CC. 1986. Direct transesterification of all classes of lipids in a one-step reaction. J Lipid Res 27(1):114-120 

  26. Lindsay RC 2008. Flavors. In: Food Chemistry. Damodaran S, Parkin KL, Fennema OR (ed).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p 639-687 

  27. McClements DJ, Decker EA. 2008. Lipids. pp 155-216. In: Food Chemistry. Damodaran S, Parkin KL, Fennema OR (ed). CRC Press, Boca Raton, FL. U.S.A. 

  28. National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RDA. 2007. Food Composition Table II. Seoul, Korea. pp 98-404 

  29. Park J, Yang M, Jun HS, Lee JH, Bae HK, Park T. 2003. Effect of raw brown rice and Job's tear supplemented diet on serum and hepatic lipid concentrations, antioxidative system, and immune function of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2):197-206 

  30. Sikorski ZE, Pokorny J, Damodaran S. 2008. Physical and chemical interactions of components in food systems. pp 849-883. In: Food Chemistry. Damodaran S, Parkin KL, Fennema OR (ed). CRC Press, Boca Raton, FL. U.S.A. 

  31.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Korea. pp 15-311 

  32. Walstra P, van Vliet T. 2008. Dispersed systems: Basic consdierations. pp 783-847. In: Food Chemistry. Damodaran S, Parkin KL, Fennema OR (ed). CRC Press, Boca Raton, FL. U.S.A. 

  33. Xu Z, Hua Na, Godber JS.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tocopherols, tocotrienols, and $\gamma$ -oryzanol components from rive bran against cholesterol oxidation accelerated by 2,2'-azobis (2-methylpropionamidine). J Agric Food Chem 49(4):2077- 2081 

  34. Yun S, Jeong HR, Kim MH. 2010. A survey on the breakfast skipping rate of Korean adults relative to their lifestyle and breakfast skipping reasons and dietary behavior of breakfast skipper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5(2):191-2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