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사열전달 수치해석을 통한 지표화 방화선 구축 폭 산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Mathematical Method of Radiation Heat Transfer for Estimating Width of Firebreak in Surface Fire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10 no.6, 2010년, pp.59 - 64  

김동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초록

산불 지표화의 방화선 구축작업은 낙엽 및 관목류 등 지표 연료층을 제거함으로써 화염전파를 차단하는 대표적인 간접진화방법이다. 화재역학적인 의미의 방화선 구축은 화염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전달에너지에 미연소 연료가 착화되지 않도록 열전달 차단 구간을 설정하는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 낙엽층에 대해 복사열전달 점열원 모델을 이용하여 풍속, 경사별로 지표화 화염을 방지할 수 있는 방화선 구축 폭 산정 방법을 제시하였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방화선 구축 폭은 소나무 낙엽 착화 임계 복사열유속인 $4.9\;kW/m^2$가 미치는 거리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풍속 0~5 m/s, 경사 $0{\sim}50^{\circ}$ 조건에서의 방화선 구축 폭은 평균 화염 기준의 경우, 0.35~0.65 m, 최대 화염높이 기준의 경우, 0.75~1.05m로 산정되었다. 따라서 안전율을 고려한 적정 방화선 구축 폭은 최대 화염 높이를 적용한 1.05 m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실험 및 현장사례조사를 통하여 지표층 연료별 적정 방화선 구축 폭에 대한 비교분석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uilding a firebreak against surface forest fire is a typical indirect suppression method that stops spread of flame by removing surface fuel, such as fallen leaves and bushes. In the sense of fire dynamic, building a firebreak is to set a section which will block thermal energy from igniting on v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표 침엽수인 소나무 지표층 연료를 대상으로 복사열전달 수치해석을 통해 효과적인 방화선 구축 폭 산정에 대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불 지표화의 방화선 구축작업이란? 산불 지표화의 방화선 구축작업은 낙엽 및 관목류 등 지표 연료층을 제거함으로써 화염전파를 차단하는 대표적인 간접진화방법이다. 화재역학적인 의미의 방화선 구축은 화염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전달에너지에 미연소 연료가 착화되지 않도록 열전달 차단 구간을 설정하는 작업이다.
화재역학적인 의미의 방화선 구축이란? 산불 지표화의 방화선 구축작업은 낙엽 및 관목류 등 지표 연료층을 제거함으로써 화염전파를 차단하는 대표적인 간접진화방법이다. 화재역학적인 의미의 방화선 구축은 화염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전달에너지에 미연소 연료가 착화되지 않도록 열전달 차단 구간을 설정하는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 낙엽층에 대해 복사열전달 점열원 모델을 이용하여 풍속, 경사별로 지표화 화염을 방지할 수 있는 방화선 구축 폭 산정 방법을 제시하였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소나무 낙엽 착화 임계 복사열유속인 $4.9\;kW/m^2$가 미치는 거리를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는? 9\;kW/m^2$가 미치는 거리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풍속 0~5 m/s, 경사 $0{\sim}50^{\circ}$ 조건에서의 방화선 구축 폭은 평균 화염 기준의 경우, 0.35~0.65 m, 최대 화염높이 기준의 경우, 0.75~1.05m로 산정되었다. 따라서 안전율을 고려한 적정 방화선 구축 폭은 최대 화염 높이를 적용한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산림청 산림인력개발원 (2005) 산불진화대원 진화지침 p. 36. 

  2. 김동현 (2009a) 경사에 따른 화염각 변화와 지표 화염 확산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9권, 제5호, pp. 57-62. 

  3. 김동현 (2009b) 낙엽층 화염높이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한국화재소방학회, 제23권, 제6호, pp. 365-371. 

  4. 김동현 (2009c) 산불 지표화에서의 바람에 의한 화염각 변화 산정식 도출에 관한 준-수치해석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한국화재소방학회, 제 23권 5호, pp. 379-384. 

  5. Albini, F.A. (1981) A model for the wind-blown flame from a line fire. Combust. Flame, 43, pp. 155-174. 

  6. Albini F.A (1985) A model for fire spread in wildland fuels by radiation. Combustion Sci. Technology. 42, pp. 229-58. 

  7. Andrew A.G. Wilson (1988), Width of firebreak that is necessary to stop grass fires: some field experiments. Can. J. For. Res. 18(6): pp. 682-687. 

  8. McCaffrey B. (1995), The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2nd ed. Society of Fire Protection Engineers and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Quincy, MA. 

  9. Kim D.H (2010) A study for surface fire behavior and flame spread model in forest fire. Ph.D Dissertation, Kyoto University. 

  10. Morandini F. Santono P.A. Balbi J.H. (2001) The contribution of radiant heat transfer to laboratory-scale fire spread under the influences of wind and slope. Fire Safety Journal 36. pp. 519- 543. 

  11. Guy R. McPherson, G. Allen Rasmussen, Henry A. Wright, Carltonm M. Britton (1986) Management notes "Getting Started in Prescribed Burning". Texas Tech University. pp. 1-6. 

  12. NWCG (2004) Fireline Handbook, A publication of the National Wildfire Coordinating Group PMS 410-1 NFES 0065. pp. 437. 

  13. Santoni P.A. Balbi J.H. (1998), Modelling of two-dimensional flame spread across a sloping fuel bed. Fire Safety Journal 31. pp. 201-225. 

  14. Mees R, Strauss D. and Chase R. (1993), Modeling Wildland Fire Containment With Uncertain Flame Length and Fireline Width.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3(3) pp. 179-185. 

  15. Clark T.L. Jenkins M.A, Coen J.L, Packham D.R. (1996), A Coupled Atmosphere-Fire Model: Role of the Convective Froude Number and Dynamic Fingering at the Fireline.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Vol. 6 No. 4, pp. 177-190.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