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수에서 분리한 장염비브리오의 항생제 내성 및 암피실린 내성 유전자의 동정
Antibiotic-Resistance Profiles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Ampicillin-Resistance Gene of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Seawater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3 no.6, 2010년, pp.637 - 641  

이근우 (군산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박권삼 (군산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biotics-resistance profiles of 28 strains of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seawater were investigated. All of the strains studied were resistant to ampicillin (100%), but susceptible to 12 other antibiotics.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V. parahaemolyticus to ampici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암피실린 분해유전자를 동정하기 위하여 다른 세균에서 보고되어 있는 암피실린 분해유전자인 β-lactamase와 상동성이 있는 VPA0477 유전자 결손균주를 작성하여 암피실린에 대한 내성변화를 검토하였다.
  • piscicida및 Aliivibrio salmonicida LFI1238의 β-lactamase 유전자와 75%, 67%, 66% 및 64%의 상동성이 있으나 아직 연구결과 보고는 없다. 이 유전자가 ampicillin을 분해하는 유전자의 가능성이 있어 이 유전자의 결손균주는 재료 및 방법에 제시한 방법에 의하여 작성하였다. 유전자 결손여부는 PCR과 Southern hybridization으로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염비브리오는 무엇인가? 장염비브리오 (Vibrio parahaemolyticus)는 해수 및 기수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저도호염성 해양세균으로 이 균에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불충분하게 가열 처리된 수산물을 섭취함으로서 위장염 증상을 나타내는 식중독 원인 세균으로 알려져 있다 (Sakazaki et al., 1968; Honda and Iida,1993).
장염비브리오가 생산하는 대표적인 병원성 독소는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전체 세균성 식중독 사고의 약 20% 전후가 장염비브리오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균이 생산하는 대표적인 병원성 독소는 내열성용혈독(thermostable direct hemolysin, TDH), 내열성용혈독 관련용혈독 (TDH-related hemolysin, TRH), serine protease 및 type III secretion systems (TTSS1과 2)를 통해 분비되는 각종 effector 단백질 등이 보고되어 있으나 정확한 병원성 기작에 관한 설명은 아직도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Honda and Iida, 1993;Lee et al., 2002; Makino et al.
세균이 항생제 내성을 갖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2010). 세균이 항생제 내성을 갖게 되는 이유는 분해효소에 의한 항생제의 불활성화, 표적 항생물질의 변화, 세포막의 항생제 투과성의 변화 및 세포 밖으로 항생제의 유출 등의 방법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메커니즘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세균은 항생제에 내성을 갖게 된다. 획득내성은 세균 염색체의 유전자변이, 플라스미드 또는 트랜스포존 (transposon)에 매개되는 내성유전자의 획득에 의해 생기며, 내성 유전자는 염색체 또는 플라스미드 DNA에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car JF and Goldstein FW. 1991. Disk susceptibility test. In: Antibiotics in Laboratory Medicine, Lorian V, ed. Williams & Wilkins, Baltimore, U.S.A., 17-52. 

  2. Baker-Austin C, McArthur JV, Tuckfield RC, Najarro M, Lindell AH, Gooch J and Stepanauskas R. 2008. Antibiotic resistance in the shellfish pathogen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the coastal water and sediment of Georgia and South Carilina, USA. J Food Prot 71, 2552-2558. 

  3. Ceccarelli D, Salvia AM, Sami J and Cappuccinelli P. 2006. New cluster pf plasmid-located class I integrons in Vibrio cholerae 01 and a dfrA15 cassettecontaining integron in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in Angola. Antimicrob Agents Chemother 50, 2493-2499. 

  4. Ferrini AM, Mannoni V, Suffredini E, Cozzi L and Croci L. 2008. Evaluation of antibacterial resistance in Vibrio strains isolated from imported seafood and ltalian aquaculture settings. Food Anal Methods 1, 164-170. 

  5. Honda T and Iida T. 1993. The pathogenicity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d the role of the thermostable direct haemolysin and related haemolysins. Rev Med Microbiol 4, 106-113. 

  6. Kodama T, Hiyoshi H, Gotoh K, Akeda Y, Matsuda S, Park KS, Cantarelli VV, Iida T and Honda T. 2008. Identification of two translocon proteins of Vibrio parahaemolyticus type III secretion system 2. Infect Immun 76, 4282-4289. 

  7. Kodama T, Rokuda M, Park KS, Cantarelli VV, Matsuda S, Iida T and Honda T. 2007.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VopT, a novel ADPribosyltransferase effector protein secreted via the Vibrio parahaemolyticus type III secretion system 2. Cell Microbiol 9, 2598-2609. 

  8. Lee CY, Cheng MF, Yu MS and Pan MJ. 2002.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putative virulence factor, serine protease, from Vibrio parahaemolyticus. FEMS Microbiol Lett 19, 31-37. 

  9. Lee H, Oh YH, Park SG and Choi SM. 2007. Antibiotic susceptibility and distribu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the seafood. Kor J Env Hlth 33, 16-20. 

  10. Lee HW, Lim SK and Kim MN. 2009. Characteristics of ampicillin-resistant Vibrio spp. isolated from a west coastal area of Korea peninsula. J Kor Fish Soc 42, 20-25. 

  11. Makino K, Oshima K, Kurokawa K, et al., 2003. Genome sequence of Vibrio parahaemolyticus: a pathogenic mechanism distinct from that of V. cholerae. Lancet 361, 743-749. 

  12. Miller VL and Mekalanos JJ. 1988. A novel suicide vector and its use in construction of insertion mutations: osmoregulation of outer membrane proteins and virulence determinants in Vibrio cholerae requires toxr. J Bacteriol 170, 2575-2583. 

  13. NCCLS. 2004.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Twelfth Information Supplement. NCCLS. 2000; Document. M100-S12 (ISBN, 1-56238-456-4) NCCLS, 940 West Valley Road, Suite, 1400, Wayne, PA:19087-19098. U.S.A. 

  14. Oh EG, Yu HS, Shin SB, Son KT, Park KB, Kwon JY, Lee TS and Lee HJ. 2008. Trimethoprim resistance of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the fish farm. J Kor Fish Soc 41, 324-329. 

  15. Park KS, Arita M, Iida T and Honda T. 2005. vpaH, a gene encoding a novel histone-like nucleoid structure-like protein that was possibly horizontally acquired, regulates the biogenesis of lateral flagella in trh-positive Vibrio parahaemolyticus TH3996. Infect Immun 73, 5754-5761. 

  16. Park KS, Ono T, Rokuda M, Jang MH, Okada K, Iida T and Honda T. 2004.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two type III secretion systems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fect Immun 72, 6659-6665. 

  17. Rowe-Magnus DA and Mazel D. 2002. The role of integrons in antibiotic resistance gene capture. Int J Med Microbiol 292, 115-125. 

  18. Sakazaki R, Tamura K, Kato T, Obara Y and Yamai S. 1968. Studies on the enteropathogenic, facultatively halophilic bacterium, Vibrio parahaemolyticus. 3. Enteropathogenicity. Jpn J Med Sci Biol 21, 325-331. 

  19. Son JC, Park SW and Min KJ. 2003. Environmental and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Vibrio spp. isolated from fish, shellfish and brackish water samples in Gyeongbuk eastern coast. Kor J Env Hlth 29, 94-102. 

  20. Son KT, Oh EG, Lee TS, Lee HJ, Kim PH and Kim JH. 2005.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d Vibrio alginolyticus from farm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J Kor Fish Soc 38, 365-371. 

  21. Tanil GB, Radu S, Nishibuchi M, Rahim RA, Napis S, Maurice L and Gunsalam JW. 2005. Characteriza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coastal seawater in peninsular Malaysia. Southeast Asian J Trop Public Health 36, 940-945. 

  22. Yu HS, Park KB, Oh EG, Lee TS, Shin SB, Kwon JY, Kim JH and Son KT. 2010. Trimethoprim resistance by class I integron in Vibrio parahaemolyticus from a fish farm. Kor J Fish Aquat Sci 43, 125-1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