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성 북천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Buk Stream of Goseong,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2 no.4, 2010년, pp.238 - 248  

이완옥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고명훈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백재민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김대희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전형주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김경환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원도 고성군 북천의 어류 분포 및 군집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9년 3월부터 9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에서 확인된 어종은 모두 12과 31종이었으며, 개체수에서 우점종은 Z. koreanus (30.0%), 아우점종은 P. kaibarae (9.4%), R. steindachneri (9.3%)로 나타났으며, 생체량에서 우점종은 T. hakonensis (35.5%), 아우점종은 Z. koreanus (22.5%), C. pacifica (7.5%)였다. 출현종 중 환경부지정 멸종 위기종 II급인 P. kaibarae와 P. sinensis가, 한국 고유종은 8종이 출현하였다. 회유성 어종 중 소하성 어종은 T. hakonensis, O. masou masou, O. keta, G. aculeatus가 서식하고 있었으며, 양측회유성 어류인 P. altivelis altivelis, G. urotaenia가 출현하였다. 고성 북천에 분포하지 않았던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에 분포하던 종 중에 본 조사에서 서식이 확인된 Z. koreanus, Z. platypus, S. microdorsalis, L. andersoni, C. herzi는 1980년대 이입되었고, P. herzi, P. parva, S. multimaculatus, M. mizolepis, K. rotundicaudata, S. asotus, O. interrupta 등은 1990년대 이후에 이입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erformed field investigations at six stations in Buk Stream of Goseong-gun, Gangwon-do, Korea, from May to September 2009 to understand the stream's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the survey, 31 species belonging to 20 families were collected. Dominant species by number was Zacoo korean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남한에 있는 동북한아지역의 대표적인 하천이지만, 북천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적어서 최와 전(1968)에 의해 영동지방에 서식하는 담수어류 분포의 일환으로 일부 어류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진 바 있고, 휴전선 이남의 전국 담수어류 분포에 대한 조사에서 간성 지역의 어류에 대한 조사(최, 1973)와 환경부에서 실시하는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북천의 일부 조사수역이 포함 되었지만(변과 배, 1998), 대부분이 단편적인 1회성 조사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해 북부에 위치하고 우리나라의 어류분포구계에서 동북한아지역을 대표하는 중요한 하천인 북천에 대한 어류분포에 대한 정밀 조사를 실시하여 정확한 어류상과 어류군집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전 조사결과들과 비교하여 최근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추후 우리나라 담수어류 분포구계에 대한 혼란이 우려되는 국내 수계별 이입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새롭게 이입된 종들의 분포에 따른 북천의 담수어류 군집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고, 특히 동해로 흐르는 하천에서 중요한 생태적 지위를 차지하는 회유성 어류들의 분포 현황에 대하여서도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천의 발원지는 어디인가? 강원도 최북단에 위치한 북천은 유로길이 26 km, 유역면적 148.6 km2이며 설악산 줄기인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진부리의 칠전봉에서 발원하여 향로봉을 따라 흐르다가 동해로 유입하는 하천으로 동해의 북부지역에서는 비교적 큰 하천이다. 남한에 있는 동북한아지역의 대표적인 하천이지만, 북천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적어서 최와 전(1968)에 의해 영동지방에 서식하는 담수어류 분포의 일환으로 일부 어류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진 바 있고, 휴전선 이남의 전국 담수어류 분포에 대한 조사에서 간성 지역의 어류에 대한 조사(최, 1973)와 환경부에서 실시하는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북천의 일부 조사수역이 포함 되었지만(변과 배, 1998), 대부분이 단편적인 1회성 조사에 그치고 있다.
동해로 흐르는 하천의 수생태계가 잘 보존되어 온 이유는 무엇인가? 동해로 흐르는 하천은 태백산맥이 동으로 급경사를 이루고 있어 대부분이 유로가 짧고, 유속은 빠르며 하천이 주로 산악지대를 지나고 있어서 하천주변에 오염원이 적어 수생태계가 잘 보존되어 왔다. 하천의 길이가 길고 유속이 느린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강에 비하여 출현하는 종과 개체수는 적지만, 이들 수역과 다른 서식환경을 보이고 있어서 독특한 어류상이 알려져 있다(최와 전, 1968; 최, 1973; 전, 1982; 최 등, 1995; 김과 박, 2002; 김 등, 2006; 한국수자원공사, 2007).
동북한아구역에 분포하는 고유종과 공통분포종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특히 동해로 흐르는 하천 중에서 북부지역은 동한아구역(최, 1973; 전, 1980, 1983, 1984) 또는 동북한아구역(김, 1997)으로 구분하여, 남해와 서해로 흐르는 하천들이 서한아구역과 남한아구역으로 분류되는 것과 어류의 분포상이 매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고황하 수계인 서한아구역과 남한아구역과는 다른 고아므르강의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동북한아지역은 버들가지, 북방종개, 두만강자그사니 등의 고유종과 버들개와 종개 등의 시베리아와 일본 북부지방과 공통으로 분포하는 종들이 분포하고 있는 중요한 하천이다(김과 박, 2002). 그러나 최근이 지역에서도 하천 상류에서부터 관광지가 개발되고, 2002년과 2003년에 연속적으로 태풍 “루사”와 “매미”로 인한 대규모 홍수가 발생하여 대부분의 하상이 붕괴되었고, 이에 따른 하천복구공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하천의 모든 생태계가 크게 교란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강수경.양 현.이채성.최승호. 2007. 남대천 연어 (Oncorhynchus keta)의 치어의 먹이생물. 한국해양학회지, 12: 86-93. 

  2. 강수경.이채성.이철호.허영희.성기백. 2005. 우리나라 연어 치어생산 방류 역사 및 현황. 연어 자원증강을 위한 한.일 전문가 초청 워크숍, 55pp. 

  3. 김용억.명정구.한경호.공정락. 1996. 강릉 남대천의 어류상. 한국수산학회지, 29: 262-266. 

  4.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 (담수어류). 교육부, 629pp. 

  5. 김익수.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서울, 465pp. 

  6.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원색한 국어류대도감. 교학사, 서울, 615pp. 

  7. 김치홍.이완옥.홍관의.이철호.김종화. 2006a. 양양 남대천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한국어류학회지, 18: 112-118. 

  8. 김치홍.홍관의.김종화.김경환. 2006b. 강릉 연곡천의 어류상. 한국어류학회지, 18: 244-250. 

  9. 남명모.강영훈.채병수.양홍준. 2002. 동해로 유입되는 가곡천과 마읍천에 서식하는 담수어의 지리적 분포. 한국어류학회지, 14: 269-277. 

  10. 변화근.배옥이. 1998.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고성.인제, 향로봉 일대의 담수어류. 환경부, pp. 1-18. 

  11. 변화근.변명수. 2004.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인제.양양, 방태산 일대의 담수어류. 환경부, pp. 173-204. 

  12. 변화근.최재석.최준길. 1998. 양양남대천의 어류상과 소하성 어류의 분포 특성. 한국육수학회지, 29: 159-166. 

  13. 이완옥.윤승운.김종화.김대희. 2008. 동해로 유입하는 하천과 섬진강에 서식하는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의 성장 및 산란 특징의 비교. 한국어류학회지, 20: 179-189. 

  14. 전상린. 1980. 한국산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0pp. 

  15. 전상린. 1982. 동해로 유입되는 소하천수계의 어류상에 관하여. 자연보존연구보고서, 4: 109-118. 

  16. 전상린. 1983. 한국산 미꾸리과 어류의 분포와 검색에 관하여. 상명여자대학 논문집, 11: 289-321. 

  17. 전상린. 1984. 한국산 동자개과 및 메기과 어류의 검색과 분포에 관하여. 상명여자대학 논문집, 14: 83-115. 

  18. 채병수. 2007. 국내 서식어종의 다른 하천 수계로의 도입. 국립수산과학원 중부내수면연구소- (사)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 MOU체결 기념 심포지엄, 청평, 9월 20일 2007, pp. 71-90. 

  19. 최기철. 1973. 휴전선이남에서의 담수어 지리적 분포에 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6: 29-36. 

  20. 최기철.전상린. 1968. 영동지방에 서식하는 담수어의 지리적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동물학회지, 11: 13-21. 

  21. 최재석.이광열.장영수.고명훈.권오길.김범철. 2003. 소양호의 어류군집 동태. 한국어류학회지, 15: 95-104. 

  22. 최재석.변화근.조규송. 1995. 오십천의 하천특성과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8: 263-270. 

  23. 한국수자원공사. 2007. 우리 길라잡이. 한국수자원공사 조사기획처, 588pp. 

  24. Cummins, K.W. 1962. An evolu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s. Amer. Midl. Nat'l., 67: 477-504. 

  25.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Fourth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Hoboken, New Jersey, pp. 397-398. 

  26.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 Theoret. Biol., 13: 131-144. 

  27. Sha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p. 177. 

  28.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29. 可兒朦古. 1944. 溪流性昆蟲の生態. 古川晴男編(昆蟲), 上, 硏究社, 東京, pp. 171-1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