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자원봉사 표준매뉴얼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 Manual for Volunteer Activity of Public Libraries 원문보기

정보관리연구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41 no.1, 2010년, pp.23 - 42  

조찬식 (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오지은 (광진정보도서관) ,  조미아 (성균관대학교 정보관리연구소) ,  오수진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정효 (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공공도서관 자원봉사가 활성화되고 효과적인 운영과 관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공공도서관 자원 봉사에 관한 표준매뉴얼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에 대한 개념 및 운영체계 그리고 표준매뉴얼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 후, 문헌조사를 통한 국내외 사례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자원봉사를 기획부문, 자원봉사자 관리부문, 행정부문 등 3개 부문, 12개 영역, 6개 세부내용으로 나누어 조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자원봉사 표준매뉴얼을 개발함으로써 도서관 자원봉사의 운영 및 관리에 일조함에 그 목적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promote the volunteer activity management of public libraries, the need on the standard manual for volunteer activity of public libraries has become inevitably urge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builds a theoretical background on the volunteer activity of public libraries, on its manag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 자원봉사의 구조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도서관 자원봉사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서관의 사서 또는 자원봉사관리자, 자원봉사 프로그램, 자원봉사자를 구성요소로 하며, 그 영역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도서관의 모든 업무에 해당된다. 이와 같은 공공도서관 자원봉사는 미 국, 영국, 일본 등 많은 나라에서 수행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사회활동으로 자리잡고 있다 (김영석 2005; 김인식, 오동근 2005; 오동근 2008; 김혜주 외 2009; 정독도서관 2008; 한국도서관협회 2001).
공공도서관이란? 공공도서관은 사회⋅문화적 기관으로 자원 봉사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곳이며, 공공도서관 자원봉사는 도서관이나 자원봉사자, 나아가 지역사회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갈 가능성이 많은 영역이다. 그것은 공공도서관의 본질적 기능과 자원봉사의 특성이 모두 지역사회의 기능과 발전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이며,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의 의미가 각별해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바람직한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에 요구사항은 무엇이 있는가? 첫째,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자는 공공도서관과 자원봉사의 의미를 잘 숙지해야 하고, 해당 업무에 대한 이해 및 교육과 훈련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리고 사서 등의 도서관 구성원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이 제대로 정립되었을 때에야 비로소 효과적인 공공도서관 자원봉사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공공도서관 자원봉사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비록 공공도서관이 사회적 기구이고 자원봉사가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이라 할지라도 공공도서관의 자원봉사가 주먹구구식으로 이루어져서는 그 의미를 제대로 살릴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공공도서관 자원봉사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의 요구를 바탕으로 도서관의 업무와 자원봉사자의 자격 및 능력에 따라 구성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공공도서관 자원봉사 프로그램은 적절성, 경제성, 효과성 등의 기준에 맞게 기획되고 운영되어야 하며, 프로그램의 결과와 평가에 따라 계속 수정⋅보완되어야 한다. 셋째, 공공도서관 자원봉사가 의미 있고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운영과 관리를 책임질 공공도서관의 사서 또는 자원봉사관리자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공공도서관의 복합적인 업무와 자원봉사의 다양한 참여는 이에 대한 적절한 관리체계를 필요로 하며, 구체적으로 볼 때도 공공도서관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기획 및 운영 그리고 관리에 사서나 자원봉사 관리자가 보다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책임지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자원봉사 책임자가 없는 공공도서관의 자원봉사는 오히려 많은 어려움과 혼란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에 대한 사 서나 책임자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곽철완, 안인자, 김호연, 박미영. 2009.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모형 및 운영메뉴얼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1): 197-208. 

  2. 김범수 외. 2009. 자원봉사론. 서울: 학지사. 

  3. 김영석. 2005. 도서관 친구에 관한 고찰: 도서관도 이제 친구가 필요하다.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1): 277-294. 

  4. 김인식, 오동근. 2005. 대구지역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자의 행동요인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2(2): 185-204. 

  5. 김혜주, 안인자, 박미영, 김호연. 2009. 국내 도서관 자원봉사자 활동 현황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1): 181-195. 

  6. 남기철. 2007. 자원봉사론. 서울: 나남. 

  7. 문화체육관광부. 2008a. 도서관 자원봉사자 현황 분석.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8. 문화체육관광부. 2008b.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모형 및 운영매뉴얼에 관한 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9. 문화체육관광부. 2008c.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운영매뉴얼.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10. 서울시자원봉사센터. 2007. 자원봉사관리업무 매뉴얼. 서울: 서울시자원봉사센터. 

  11. 설문원. 2002. 공공도서관의 자원봉사 활용 실태 및 관리모델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1): 233-258. 

  12. 안인자, 곽철완, 김혜주, 박미영. 2009. 국내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자원봉사자 활동 현황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2): 197-208. 

  13. 오동근. 2008. 공공도서관의 외부 인적 자원 활용에 관한 연구: 특히 미국 LA 및 인근 지역 공공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73-97. 

  14. 오동근, 김인식. 2004.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자의 행동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1(1): 147-154. 

  15. 오세나, 김기영. 2009.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6(1): 181-186. 

  16. 이성록. 2005. 자원봉사활동 체계화를 위한 자원봉사센터 표준 운영 모형. 서울: 행정자치부. 

  17. 전국경제인연합회. 2004. 재난시 자원봉사 매뉴얼. 서울: 전국경제인연합회. 

  18. 정독도서관. 2008. 서울시 공공도서관 중.장기 발전계획 연구. 서울: 정독도서관. 

  19. 조휘일. 2002. 자원봉사 프로그램 관리: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0. 한국도서관협회. 2009. 도서관편람.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1. 한국도서관협회. 2001. 도서관 자원봉사 실태 조사 및 봉사 표준 모델 개발 연구.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2. 행정안전부. 2008a. 자원봉사활동 관리 표준매뉴얼 개발 연구. 서울: 행정안전부. 

  23. 행정안전부. 2008b. 자원봉사센터 운영컨설팅 사업. 서울: 행정안전부. 

  24. 한국자원봉사연합회. 2007. 사회복지관 자원 봉사 관리 매뉴얼. 서울: 한국자원봉사연합회. 

  25. Hands on Action Center. 2007. Standard of Success(SOS). US: The Center. 

  26. Karp, Rashelle S. 1993. Volunteers in Libraries.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7. McGown, Sue W. 2007. "Volunteer Labor Supply." Library Media Connection, 26(2): 10-13. 

  28. McHenry, Cheryl. 1988. "The Public Library Service and Young People in Volunteer." School Library Journal, 34(9): 44-47. 

  29. Voluntary Sector National Training Organization. 2003. 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NOS) for Managing Volunteers. UK: The Organization. 

  30. Volunteering Australia. 2001. National Standard Implementation Guide for Not-for-profit Organizations. Australia: The Cente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