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지역을 관통하는 홍수파의 특성에 관한 수치적 연구 (2) : 적용 및 분석
A Numeric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lood Wave Passing through Urban Areas (2) : Application and Analysis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10 no.1, 2010년, pp.65 - 72  

정우창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조용식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이진우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댐 붕괴로 인한 홍수파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지역의 효과에 대해 두 가지 수리모형실험에 근거하여 수치적으로 분석되었으며, 계산된 지점별 수심은 측정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첫 번째 수리모형실험에 대해 도시지역 전반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심영역과 흐름의 지체현상이 발생하였으며, 홍수파의 원활한 전파에 큰 장애요소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두번째 수리모형실험에 대해서는 유입량의 증가에 따라 도시지역의 전반부에서 후반부로 전파될 때 수심은 급격히 감소하는 구간과 느리게 감소하는 구간으로 구별되며, 도시지역 전반부에 도달하는 홍수파의 최초시간은 유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urban areas against flood waves due to a dam failure were numerically investigated based on the two laboratory experiments and the predicted water surface elevations at specific points showed good agreement with available measurements. In the first experiment, a relat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oce valley river 수리모형실험은 유럽연합이 주관한 IMPACT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댐 붕괴 시 도시지역으로 유입되는 홍수파의 전파특성을 파악하고, 기존에 개발된 다양한 수치모형들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Testa et al., 2007). 수리모형실험은 Toce valley river를 1:100으로축소시킨 길이 50 m의 콘크리트 모형에서 수행되었으며, 도시지역은 모서리 길이가 15 cm인 정육면체 블록들을 사각형 배열(aligned layout)과 지그재그형 배열(staggered layout) 로구성하여 구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정 등, 2009)에서 개발된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두 가지 서로 다른 수리모형실험에 대해 도시지역을 통과하는 홍수파의 전파특성을 수치적으로 분석하였다. 수리모형실험 Ie Soares Frazao와 Zech(2008)에 의해 수행된 평탄하상에서의 도시지역을 통과하는 홍수파에 대한 실내 수리 모_형실험으로 건물과 건물 사이로 전파되는 홍수파의 변화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정 등, 2009)에서 개발한 천수 방정식과 well-balanced HLLC 기법을 적용한 2차원 유한체적모형을 이용하여 도시지역 내를 관통하는 댐 붕괴로 인한 홍수 파의 전파특성에 대한 수치적 분석을 두 가지 서로 다른 수리모형실험 자료를 근거로 하여 수행하였다. 적용된 수치모형으로부터 계산된 지점별 수심은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측정된 수심과 비교적 잘 일치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적용된 모형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분석하였다. 수리모형실험 Ie Soares Frazao와 Zech(2008)에 의해 수행된 평탄하상에서의 도시지역을 통과하는 홍수파에 대한 실내 수리 모_형실험으로 건물과 건물 사이로 전파되는 홍수파의 변화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수리모형실험 Ⅱ는 가상의 도시지역을 포함하고 있는 자연하천에서 홍수파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유럽 연합이 주관한 IMPACT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행된 Toce valley river 수리모형실험이다(Testa et al.

가설 설정

  • 60 m이다. 수로의 좌측 경계로부터 6.75m에 위치한 댐의 폭은 0.80 m이며, 댐의 중앙에 폭 1.00 m의 수문이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였다. 도시지역은 댐으로부터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배용훈, 고덕구, 조용식 (2005) FLUMEN 모형을 이용한 홍수범람모의.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8권, 제5호, pp. 355-364. 

  2. 이종태, 한건연, 윤세의, 박재홍 (1995) 제내지에서의 범람홍수파 해석을 위한 수치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28권, 제5호, pp. 163-174. 

  3. 전민우, 한건연, 최규현 (2005) 낙동강 제방붕괴에 따른 홍수범람 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8권, 제4호, pp. 259-269. 

  4. 한건연, 박재홍 (1995) 도시하천에서의 홍수범람도 작성을 위한 2차원 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28권, 제6호, pp. 119-131. 

  5. 정우창, 조용식, 이진우 (2009) 도시지역을 관통하는 댐 붕괴파의 전파 특성에 관한 수치적 연구 (1): 수치모형의 개발 및 검.한국방재학회논문집, 인쇄 중. 

  6. Begnudelli, L. and Sanders, B.F. (2007) Simulation of the St. Francis Dam-Break Flood. Journal of Engineering Mechanics, ASCE, Vol. 133, No. 11, pp. 1200-1212. 

  7. Fukuoka, S. and Kawashim, M. (1999) Prediction of flood-induced flows in urban residential areas and damage reduction. Floodplain risk management, Edited by Fukuoka, S., The Committee of International Workshop on Floodplain Risk Management, A.A. Balkema, Rotterdam, the Netherlands, pp. 209-227. 

  8. Humberto, A. Gallegos, A. Jochen, E. Schubert, E. and Sanders B. F. (2009) Two-dimensional, high-resolution modeling of urban dam-break flooding; A case study of Baldwin Hills, California, Advances in Water Resources, in press. 

  9. Mignot, E., Paquier, A. and Riviere, N. (2004) How a 2-D code can simulate urban flood simulation. Proceedings of River Flow 2004 Conference, Naples, Italy, Vol. 2, pp. 1031-1040. 

  10. Mignot, E., Paquier, A. and Haider, S. (2006). Modeling floods in a dense urban area using 2D shallow water equations. Journal of Hydrology, Vol. 327, pp. 186-199. 

  11. Neal, J.C., Bates, P.D., Fewrell, T.J., Hunter, N.M., Wilson, M.D. and Horritt, M.S. (2009) Distributed whole city water level measurements from the Carlisle 2005 urban flood evenet and comparison with hydraulic model simulations. Journal of Hydrology, Vol. 368, pp. 42-55. 

  12. Shewchuk, J.R. (1996) Triangle: engineering a 2D quality mesh generator and Delaunay triangulator. Applied computational geometry: towards geometric engineering,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Edited by Lin, M.C. and Manocha, D., Vol. 1148, pp. 203-222. 

  13. Shigeda, S. and Akiyama, J. (2003) Numerical and Experimental Study on Two-Dimensional Flood Flows with and without Structure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29, No. 10, pp. 817-821. 

  14. Shigeda, S., Akiyama, J. and Ura, M. (2002) Numerical Simulation of Flood Propagation in a Floodplain with Structures. Journal of Hydroscience and Hydraulic Engineering, Vol. 20, No. 2, pp. 117-129. 

  15. Soares-Frazao, S., Noel, B. and Zech, Y. (2004) Experiments of dam-break flow in the presence of obstacles. Proceedings of River Flow 2004 Conference, Naples, Italy, Vol. 2, pp. 911-918. 

  16. Soares-Frazao, S. and Zech, Y. (2008) Dam-break flow through an idealised city.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46, No. 5, pp. 648-658. 

  17. Testa, G., Zuccala, D., Alcrudo, F., and Soares-Frazao, S. (2007) Flash flood flow experiment in a simplified urban district.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45, Extra Issue, pp. 37-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