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측 자료를 이용한 국내하천의 조도계수 특성검토
Review of Roughness Coefficient Characteristics for River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4 no.9, 2011년, pp.695 - 710  

김주영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 환경기술그룹) ,  김한섭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이정규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주요 3대 하천인 한강, 낙동강, 금강에 대하여 하상재료의 입도분포를 이용하는 방법과 수치모형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조도계수를 연구하였고, 기존의 하천정비기본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조도계수와 비교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흐름을 해석할 때 수리학적 모형을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1차원 홍수위 계산을 위해 HEC-2, HEC-RAS, FLDWAV 모형 등을 이용하고 있다. 이들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정확한 홍수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지형자료와 상 하류 경계조건 그리고 해석하고자 하는 하천 구간에 대응하는 최적의 조도계수가 필요하다. 이들 중 지형자료와 상 하류 경계조건은 비교적 손쉽게 정확한 자료의 확보가 가능하나, 조도계수의 경우 실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값은 해석하고자 하는 위치와 유량에 관계없이 기존 문헌에 제시된 일정한 값을 적용하거나, 합리성이 결여된 방법으로 추정한 값을 사용하는 등 그 정확성 및 객관성에서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국내 3대 하천에 대하여 다양한 유량구간과 위치에 대응하는 최적화된 조도계수를 산정하고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결과는 수리학적 모형을 이용하여 홍수추적을 수행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ning's roughness coefficients for the Han River, the Nakdong River and the Geum River were determined by the hydraulic models using their field measurements. The roughness coefficients of present study were compared with the ones of the conventional references. The hydraulic models, such as HEC-2...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anning 조도계수에 영향을 주는 복합적인 하천특성인자는 무엇이 있는가? 자연 하천에서의 Manning 조도계수 n (이하 조도계수라고 부른다)은 주로 수위, 유량, 만곡, 하상재료, 하상경사, 수로바닥의 형상, 단면형상의 변화, 하상과 제방 비탈면에서의 식생 상태, 하천구조물의 영향 등, 상당히 복합 적인 하천특성인자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특히 공간 적으로 때로는 시간적으로 변하는 값이기 때문에 조도계수를 일반화하기는 매우 어렵다.
일본 하도계획 검토안내서는 어떤 이론에 기초해 조도계수를 산정했는가? Cowan (1956)과 Chow (1959)는 각각의 하천특성인자들이 조도계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계수를 정하고 이들 계수의 조합으로 조도계수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Barnes (1967)는 미국지역의 50개 하천에 대해서 사진과 설명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만제유량에 대해서 검증된 조도계수를 제시하였다. 일본 하도계획 검토안내서(국토기술연구센터, 1989) 에서는 세그먼트 이론에 기초하여 하도 특성별로 하상재료와 소규모 하상파의 형성을 고려하여 주수로의 조도계수를 산정하고 있다. 이 외에도 영국의 CES 방법과 뉴질랜드의 하천 조도 자료집을 참조하는 방법 등이 있다.
Manning 조도계수를 일반화하기 매우 어려운 이유는? 자연 하천에서의 Manning 조도계수 n (이하 조도계수라고 부른다)은 주로 수위, 유량, 만곡, 하상재료, 하상경사, 수로바닥의 형상, 단면형상의 변화, 하상과 제방 비탈면에서의 식생 상태, 하천구조물의 영향 등, 상당히 복합 적인 하천특성인자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특히 공간 적으로 때로는 시간적으로 변하는 값이기 때문에 조도계수를 일반화하기는 매우 어렵다. Cowan (1956)과 Chow (1959)는 각각의 하천특성인자들이 조도계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계수를 정하고 이들 계수의 조합으로 조도계수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Barnes (1967)는 미국지역의 50개 하천에 대해서 사진과 설명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만제유량에 대해서 검증된 조도계수를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건설교통부(1992a). 금강 하천정비기본계획(보완). 

  2. 건설교통부(1992b). 한강수계치수기본계획(남한강 하천정비기본계획). 

  3. 건설교통부(1993). 낙동강 하천정비기본계획(보완III). 

  4. 건설교통부(2002a). 한강 수계 하천정비기본계획(변경). 

  5. 건설교통부(2002b). 북한강 수계 하천정비기본계획(보완). 

  6. 국토기술연구센터(일본) (1989). 하도계획 검토 안내서. 

  7. 김지성, 이찬주, 김원(2007). "실측 수위에 의한 자갈하천의 조도계수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10호, pp. 755-768. 

  8. 이동섭, 우효섭, 권보애, 안홍규(2006). "식생 조도 계수산정을 위한 선별된 식생에 관한 실험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 학회, pp. 1291-1294. 

  9. 이상호(2001). "수위관측과 수리학적 하도추적에 의한 수위-유량 관계식 작성."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5호, pp. 551-560. 

  10. 이신재, 박상우(2006). "수위-유량자료가 부재한 자갈하천의 조도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12호, pp. 985-996. 

  11. 이정규, 이창현(2004). "수리학적 홍수추적 모형을 이용한 한강하류부의 조도계수 산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1B호, pp. 25-32. 

  12. 이코리버21연구단(2007). 홍수터 수목관리 기술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3. 한국수자원학회(2005). 하천설계기준 해설. 

  14. Barnes, H.H. (1967). Roughness characteristics of natural channel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Water-supply Paper 1849, USGS. 

  15. Chow, V.T. (1959). Open-Channel Hydraulics, McGraw- Hill Book Co., New York. 

  16. Cowan, W.L. (1956). "Estimating hydraulic roughness coefficients." Agricultural Engineering, Vol. 37, No. 7, pp. 473-475. 

  17. Fread, D.L., and Lewis, J.M. (1998). The NWS FLDWAV Model Quick Users Guide, NOAA, Silver Spring. 

  18. Garde, R.J., and Raju, K.G. (1978). Mechanics of Sediment Transportation and Alluvial Stream Problems, Wiley Eastern, New Delhi. 

  19. Henderson, F.M. (1966). Open Channel Flow. Macmillan, London. 

  20. Lane, E.W., and Carlson, E.J. (1953). "Some factors affecting the stability of cannais constructed in coarse granular materials." Proceedings, Minnesota International Hydraulics Convention, Minneapolis, MN, 1-4 September 1953, pp. 37-48. 

  21. Meyer-Peter, E., and Muller, R. (1948). "Formulas for bed-load transport." Proceedings of the 3rd Meeting of IAHR Stockholm, pp. 39-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