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판 노인 신체활동 측정도구(Korean version of 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 K-PASE)의 평가
Evalu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 (K-PASE) 원문보기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6 no.1, 2010년, pp.47 - 59  

최명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김증임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  전미양 (극동정보대학 간호과) ,  채영란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 (K-PASE) from PASE and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PASE. This scale was originally developed by Washburn et al. (1993). A valid and reliable physical activity scale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의 신체활동을 측정하는 여러 도구 중 우리 나라 노인에게 적합하다고 판단된 PASE를 번역 및 역 번역 과정을 거쳐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한국판 노인 신체활동 척도(K-PASE)를 개발하는 과정을 기술한 것이다.
  • 본 연구는 번안된 한국판 노인신체활동 측정도구를 평가 하기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토하고 국내노인의 신체활동 정도를 분석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신체활동을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한국판 노인 신체활동 척도(K-PASE)를 개발하였다. 이 도구는 Washburn 등(1993)이 영어로 개발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도구의 번역과정에서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하도록 일부 활동의 예시를 추가하여 수정·보완하여 문화적 융통성을 높였다.
  • 이 도구는 Washburn 등(1993)이 영어로 개발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노인의 신체활동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예비 조사를 통해 한국 노인의 신체활동 특성 및 신체활동 정도를 고려하여 문항을 추가하거나 예시를 변경하였다. 3개 복지관과 2개 보건소에서 노인 295명을 대상으로 한국 노인의 신체활동을 측정한 후에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원 저자에게 한국판 노인신체활동 척도(K-PASE)로 승인 받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Washburn 등(1993)이 개발한 노인 신체활동 측정도구(PASE)를 수정·보완하여 한국판 노인신체활동측정도구(K-PASE)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국내 노인의 신체활동 정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실질적인 신체활동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PASE를 한국어로 번역-역 번역 및 수정·보완과정을 통해 한국판 노인신체활동 측정도구 (K-PASE)를 개발함과 동시에 노인의 신체활동의 측정을 통해 도구를 평가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체활동은 무엇으로 구분할 수 있는가? 신체활동이란 에너지 소비를 필요로 하면서 점진적인 건강편익을 만들어내는 골격근에 의해 생성된 모든 형태의 신체적 움직임으로 신체활동은 중등도 신체활동, 고강도 신체 활동, 무의식적인 신체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중등도 신체활동이라 함은 심장이 평소보다 빠르게 뛰고 짧은 숨은 쉬지만 힘들이지 않고 편안하게 옆 사람과 대화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신체활동을 말하고, 고강도 신체활동은 심장이 훨씬 빠르게 뛰고 짧고 가쁜 숨을 자주 몰아쉬어야 하기 때문에 옆 사람과 대화하기가 어려울 정도의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신체활동을 말한다.
노인의 신체활동 측정도구 중 PASE는 어떠한 활동으로 구분되어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노인의 신체활동 측정도구 중 노인의 다양한 신체활동까지 평가할 수 있는 적합한 도구로 PASE를 선택하였다. 이 도구는 좌식생활 (sedentary life), 여가시간활동, 가사활동 및 일과 관련된 활동으로 구분되어 있고 문항수도 적어 노인들이 답하기 쉽고, 활동별 가중치를 적용한 신체활동 정도를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실질적인 신체활동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PASE를 한국어로 번역-역 번역 및 수정·보완과정을 통해 한국판 노인신체활동 측정도구 (K-PASE)를 개발함과 동시에 노인의 신체활동의 측정을 통해 도구를 평가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신체활동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신체활동이란 에너지 소비를 필요로 하면서 점진적인 건강편익을 만들어내는 골격근에 의해 생성된 모든 형태의 신체적 움직임으로 신체활동은 중등도 신체활동, 고강도 신체 활동, 무의식적인 신체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중등도 신체활동이라 함은 심장이 평소보다 빠르게 뛰고 짧은 숨은 쉬지만 힘들이지 않고 편안하게 옆 사람과 대화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신체활동을 말하고, 고강도 신체활동은 심장이 훨씬 빠르게 뛰고 짧고 가쁜 숨을 자주 몰아쉬어야 하기 때문에 옆 사람과 대화하기가 어려울 정도의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신체활동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cree, L. S., Longfors, J., Fjeldstad, A. S., Fjeldstad, C., Schank, B., Nickel, K. J., et al. (2006). Physical activity i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Health Quality of Life Outcomes, 4 , 37. 

  2.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06).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7th ed.). Chapter 10.(pp. 246-251). Philadelphia, PA; Lippincott-Williams & Wilkins. 

  3. Caspersen, C. J., Bloemberg, B. P., Saris, W. H., Merritt, R. K., & Kromhout, D. (1991). The prevalence of selected physical activities and their relation with coronary heart disease risk factors in elderly men: The Zutphen study, 1985.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33(11), 1078-92. 

  4. Choi-Kwon, S., Kim, E. K., & Jeon, M. Y. (1998). Lifestyles effects on stroke risk in different region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 (3), 729-738. 

  5. Cyarto, E. V., Marshall, A. L., Dickinson, R. K., & Brown, W. J. (2006). Measurement properties of the CHAMPS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n a sample of older Australians. Journal of Science and Medicine in Sport, 9(4), 319-326. 

  6. Glasgow, R. E., Ory, M. G., Klesges, L. M., Fernald, D. H., & Green, L. A. (2005). Practical and relevant self-report measures of patient health behaviors for primary care research. Annals of Family Medicine, 3(1), 73-81. 

  7. Haight, T., Tager, I., Satariano, W., & van der Laan, M. (2005). Effects of body composition an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on transitions in physical functioning in the elderl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62(7), 621-622. 

  8. Koyano, W., & Shibata, H. (1992). Cross-validation of the TMIG index of competence: Invariability of factor structure and predictive validity. Ronen Syakai Kagaku, 14, 35-42. 

  9. Koyano, W., Shibata, H., & Nakazato, K. (1991). Measurement of competenc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MIG index of competence.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13, 103-116. 

  10. Mayer, C. J., Steinman, L., Williams, B., Topolski, T. D., & LoGerfo, J. (2008). Developing a telephone assessment of physical activity (TAPA) questionnaire for older adults. Preventing Chronic Disease, 5(1), 1-7. 

  11.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 4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5p, 313p, 325p 

  12. Oh, J. Y., Kim, B. S., & Kim, J. H. (2007). Validity &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IPAQ) short for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8(7), 532-541. 

  13. Polit, D. F., & Hungler, B. P. (1987). Nursing research: Principles and methods. Lippincott; Philadelphia. 220p 

  14. Stewart, A. L., Mills, K. M., Sepsis, P. G., King, A. C., McLellan, B. Y., Roitz, K., et al. (1997). Evaluation of CHAMPS, a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 for older adults.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19(4), 353-361. 

  15. The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The reference guide of physical activity programs for older adults: A resource for planning interventions. Retrieved from http://www.cdc.gov/diabetes/pubs/refguide_physactivity.htm 

  16. Topolski, T. D., LoGerfo, J., Patrick, D. L., Williams, B., Walwick, J., & Patrick, M. B. (2008). The rapid assessment of physical activity (RAPA) among older adults. Preventing Chronic Disease, 3(4), 1-8. 

  17. Voorrips, L. E., Ravelli, A. C., Dongelmans, P. C., Deurenberg, P., & Van Staveren, W. A. (1991). A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for the elderly.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3(8), 974-979. 

  18. Washburn, R. A., Smith, K. W., Jette, A. M., & Janney, C. A. (1993). The 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 (PASE): development and evaluation.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46(2), 153-162. 

  19. Yun, S. N., Jeon, T. W., & Lee, H. J. (2002). Survey of physical activities and exercise programs of the public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16(1), 148-1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