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래내원 여성의 적극적 유방암 조기검진행위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Active Early Detection Behaviors of Breast Cancer in Outpatients 원문보기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6 no.2, 2010년, pp.126 - 136  

이창현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김현주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김영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factors affecting active early detection behaviors of breast cancer and performance rate of breast self examination (BSE), physical examination and mammograph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64 women from an outpatient breast clinic of a university hospi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방암자가검진, 의사검진, 유방촬영술 등의 이행정도와 적극적 유방암 조기검진행위 이행정도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유방암의 조기검진을 위해 유방자가검진 이행률은 58.
  • 본 연구는 유방클리닉 외래내원 여성에 대한 적극적 유방암조기검진행위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유방클리닉을 방문한 여성의 적극적 유방암조기검진행위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한편 Kim 등(2004)은 일 대학병원 유방클리닉 내원여성을 대상으로 유방암조기검진 행위에 관한 연구를 실시한 바 있어 시점을 달리하여 유방암조기검진 행위의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동일지역의 유방클리닉 내원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인구사회적 특성, 건강행위특성, 여성건강관련특성 및 자기효능과 건강신념을 포함한 심리적 특성 등 여러 관련요인들이 적극적 유방암 조기검진행위 이행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유방암조기검진행위 실천율을 제고하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이상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유방자가검진, 의사검진, 유방촬영술의 세 가지 조기검진행위에 대해 각각 또는 상호연관성을 가지고 유방암조기검진행위와 관련된 요인을 밝히고 이를 통해 예방행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으려 하고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유방암조기검진행위로써 의사 검진에 대한 관심은 낮았으며, 이들 세 가지 조기검진행위의 적극적 이행에 대한 심층 분석은 실시되지 않았다.
  • 암예방에 대한 표준검진권고안은 유방암조기검진행위의 중요한 지침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성의 유방조기검진행위의 요인으로 설명되고 있는 유방자가검진, 의사검진, 그리고 유방촬영술의 단일 이행 및 복합 이행정도를 알아보고, 유방암 자가검진, 의사검진과 유방촬영술을 모두 시행한 적극적 유방촬영술 이행에 영향미치는 요인을 찾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유방에 관한 의사검진이 이루어지고 있는 일 대학병원의 유방클리닉에 내원한 여성을 대상으로 유방자가검진, 유방촬영술 및 의사검진의 유방암조기검진 행위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한편 Kim 등(2004)은 일 대학병원 유방클리닉 내원여성을 대상으로 유방암조기검진 행위에 관한 연구를 실시한 바 있어 시점을 달리하여 유방암조기검진 행위의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동일지역의 유방클리닉 내원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의 사망률을 크게 낮출수 있는 방법은? 빠르게 증가하는 유방암은 다행이도 조기발견과 신속한 치료를 통해 사망률을 크게 낮출 수 있는 암이다. 유방암으로 인한 생존율은 최초의 종양크기와 조기발견으로 인해 사망률을 19%까지 감소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고(Huguley & Brown,1981), 유방암 수술환자의 5년 생존율은 0기는 99%, 2기는 89%, 3기는 59%, 4기는 28%로(The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08) 병기가 오래될수록 생존율이 떨어져 초기발견의 중요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의 사망 중 암으로 인한 사망률의 추세는? 우리나라 국민의 사망 중 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지속적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1999년 101,032건이던 사망자는 2005년에 142,610건으로 매년 2.55%의 증가율을 보여 하루 평균 185명이 암으로 사망하고 있다(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09). 그런데 전체 암사망자 중 여성의 암으로 인한 사망은 37%를 차지하며,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은 여성 암으로 인한 사망률 중 5위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미국의 암협회와 우리나라 암센타에서 권고하는 세 가지 주요 유방암조기검진행위는? 미국의 암협회와 우리나라 암센타에서는 유방암의 조기 발견을 위해 유방자가검진, 유방촬영술, 의사의 유방검진을 모두 실시할 것을 권하고 있다. 국립암센타와 한국유방암학회에서는 여성의 유방암예방을 위한 조기검진으로 30세이후에는 매월 유방자가검진을 하고, 35세 이상 여성은 2년 간격으로 의사검진을 받고, 40세 이상은 1~2년 간격으로 유방촬영술과 유방임상진찰을 이행할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05), 미국에서는 40세이상 여성의 경우 매년 유방촬영술 이행을 권장하고 있다(Smit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oi, J. S., Park, J. Y., & Han, C. H. (2001). The behavioral and educational factors affecting the breast self-examination and breast cancer screen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8(1), 61-78. 

  2. Fredman, L., Sexton, M., Cui, Y., Althuis, M., Wehren, L., & Hornbeck, P. (1999). Cigarette smoking, alcohol consumption, and screening mammography among women aged 50 and older. Preventive Medicine, 28(4), 407-417. 

  3. Ham, O. K. (2004)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mammography screening behavior in Korean women.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8(1), 187-194. 

  4. Huguley, C. M., & Brown, R. L. (1981). The value of breast selfexamination. Cancer, 47, 989-995. 

  5. Hyman, R. B., Baker, S., Ephraim, R., Moadel, A., & Philip, J. (1994). Health Belief Model variables as predictors of screening mammography utilization.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17(4), 391-406. 

  6. In, H. K. (2005). Mammography compliance and influencing factors of low income women group. Unpublished docto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7. Janz, N. K., David, S., Kay, M. D., & Suzanne, M. S. (1997). A two step intervention to increase mammography among women 65 and older.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7(10), 1683-1686. 

  8. Kim, Y. B., Ro, W. O., Lee, W. C., Park, Y. M., & Meng, K. H. (2000). The influence factors on cervical and breast cancers screening behavior of women in a c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7(1), 1-16. 

  9. Kim, Y. I. (2003). The affecting factors on breast self-examination (BSE) of Korean.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4(3), 496-506. 

  10. Kim, Y. I., Lee, C. H., Yang, S. H., & Jung, H. S. (2004). Factors affecting early detection behaviors of breast cancer.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5(1), 155-164. 

  11. Kim, Y. I., & Lee, C. H. (2007). Factors related to regular mammography screening for out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8(3), 420-430. 

  1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5). 2004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Daejeon. 

  13. Korea Breast Cancer Foundation (2009). http://www.kbcf.or.kr 

  14.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09). http://www.kbcs.or.kr 

  15.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08). Nationwide Korean breast cancer data of 2002 The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Journal of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7, 72-83. 

  16.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06). Survival analysis of Korean breast cancer patients diagnosed between 1993 and 2002 in Korea- A nationwide study of the cancer registry. Journal of Breast Cancer, 9 (3), 214-229. 

  17. Korean Cancer Association (2007). Survey results for recognition of womens cancer and effort related to breast cancer prevention. Korea Cancer Association, Seoul. 

  18. Kwon, J. W., Keum, B. H., Kang, Y. J., Oh, M. K., Lee, H. R., & Youn, B. B. (1991). A survey of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n early detection of breast cancer. Family Physician, 12(11), 44-55. 

  19. Lee, C. H., Kim, Y. I., Jung, H. S., & Kim, J. Y. (2005).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occupational health nurses' early breast cancer screening.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6(1), 68-85. 

  20. Lietch, A., Dodd, G., Costnanza, M., Linver, M., Pressman, P., Mcginnis, L., et al. (1997). American Cancer Society guilelines for the early detection of breast cancer: Update 1997.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47, 150-153. 

  21. Maxwell, A. E., Bastani, R., & Warda, U. S. (1997). Breast cancer screening and related attitudes among Fillapino-American women. Cancer Epidemiology Biomakers & Prevention, 6(9), 719-726.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Welfares (2006).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5. Seoul.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Welfares (2002).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1. Seoul. 

  24.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05). http://www.ncre.re.kr. 

  25.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09). http://www.ncre.re.kr. 

  26. MOHW Cancer Control Team / Korea Cancer Registry (2007), Cancer cases by Cancer site, Sex and Age Group. 

  27. Smith, R. A., Saslow, D., Sawyer, K. A., Burke, W., Costanza, M. E., Evans, W. P., et al. (2003). American cancer society guidelines for breast cancer screening: update 2003. CA Cancer Journal for Clincian, 53,141-169. 

  28. Yi, Y. J. (2006), A case-control study on risk factors of breast cancer in Korean women. Journal of Breast Cancer June, 9(2), 145-1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