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절교체 유방모형을 이용한 인지.행동 통합 유방암 예방교육 효과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Effects on Nursing Students of Cognition-Behavior Integrated Breast Cancer Prevention Education Using an Interchangeable Nodule Model 원문보기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6 no.2, 2010년, pp.166 - 176  

박소미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유전체 코호트 연구소) ,  김보환 (예수대학교 간호학부) ,  박미정 (대원대학 간호과) ,  안양희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  정재원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on-behavior integrated breast cancer prevention education, in which a breast model with interchangeable nodules was utilized, on the self-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in performing breast cancer education.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결절교체 유방모형을 이용한 인지·행동 통합 유방암 예방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유방암 예방과 조기검진에 대한 통합적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 간호사의 실무 현장이 병원이든 지역사회이든 대상자에게 전문적 건강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중요 역할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 숙련된 기술, 사례관리 기술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예비교육자인 간호학생들에게서 새로운 교육중재의 효과를 검정하였을 뿐 아니라 전문가적 자질을 갖춘 교육자로서 간호사의 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하겠다.
  • 의료기관이나 지역사회에서 여성건강관리의 일선을 담당하고 있는 간호사 스스로가 건강관리를 규칙적으로 잘 수행할 때 대상자에게도 확신을 갖고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간호사인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결절교체 유방모형을 이용하여 지식과 기술이 통합될 수 있는 유방암 교육을 적용하는 실험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유방암에 대한 정보제공과 결절교체 모형을 통해 다양한 상황을 제시하여 이상몽우리를 찾아내는 기술습득을 통합한 유방암 교육은 지식과 위험인식, 그리고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 예방 및 조기발견에 필요한 인지적 전략과 함께 결절교체용 모형을 이용하여 유방자가 검진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행동적 전략을 통합하여 이를 간호학생에게 적용하여 유방암 예방 및 조기발견을 위한 교육의 효과를 검정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결절교체 유방모형을 이용한 인지·행동 통합 유방암 예방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전통 강의식 유방암 예방교육을 받은 대조군 보다 유방암 위험인식이 높을 것이다.
  • 결절교체 유방모형을 이용한 인지·행동 통합 유방암 예방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전통 강의식 유방암 예방교육을 받은 대조군 보다 유방암 지식 습득이 높을 것이다.
  • 결절교체 유방모형을 이용한 인지·행동 통합 유방암 예방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전통 강의식 유방암 예방교육을 받은 대조군 보다 유방암 지식수준이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의 조기발견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유방암의 조기발견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유방자가검진을 하면서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가에 의한 유방검진을 받고 유방촬영술을 받는 것이지만 현재 국내 여성들의 전문의 검진율은 32.8%로 낮은 편이다(Han & Chung, 2006).
유방암과 다른 암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 2006). 그러나 유방암은 다른 암에 비해 조기진단이 가능할 뿐 아니라 초기에 발견할 경우 다양한 치료방법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성과가 높고 여성들의 생존기간을 더욱 연장할 수 있다. 최근 한국의 유방암 5년 생존율을 살펴보면 1996~2000년의 83.
유방자가검진 이행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은 무엇이 있는가? 지금까지 유방암 조기발견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유방자가검진 이행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어 왔다.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홍보 및 교육, 유방모형을이용한 중재(Suh, 2003; Thomas, Stamler, Lafreniere, & Dela- hunt, 2002) 뿐 아니라 최근에는 대상자들의 건강행위의 특성 단계를 고려한 중재(Hur et al., 2009)와 배우자들까지 부인의 유방암 건강에 관심을 유도하는 중재를 시행함으로써 (Park, Song, Hur, & Kim, 2009) 유방암 예방교육의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것이며, 일반인들을 교육해야 하는 보건의료인 또는 예비 보건의료인들이 유방암 예방과 조기검진에 대해 얼마나 전문적인 지식과 숙련된 기술을 갖추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고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gars, J., & McMurray, A. (1993). An evaluation of comparative strategies for teaching breast self examin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8(10), 1595-1603. 

  2.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 Bech, M., Sorensen, J., & Lauridsen, J. (2005). Eliciting women's preferences for a training program in breast self-examination: A conjoint ranking experiment. Value Health, 8(4), 479-487. 

  4. Choi, K. O. (1996). Effectiveness of teaching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 program types for the breast self-examin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5. Han, M. Y., & Chung, C. W. (2006). Breast cancer screening behaviors in working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4), 363-370. 

  6. Hur, H. K., Kim, G. Y., Kim, C. H., Park, J. K., Ko, S. B., & Park, S. M. (2009). Effects of an integrated breast health program according to stages of breast cancer risk appraisa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1), 15-26. 

  7. Hur, H. K., & Park, S. M. (2004). Difference of decisional balance and confidence in the stage of adoption for breast self exam in marri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6(3), 493-501. 

  8. Jemal, A., Siegel, R., Ward, E., Murray, T., Xu, J., Smigal, C., & Thun, M. J. (2006). Cancer statistics 2006.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56(2), 106-130. 

  9. Kang, S. H., & Jeon, H, J. (2007). Prognosis of breast cancer occurring in patients below the age of 35 years compared with groups above the age of 36 years. Journal of the Korean Surgical Society, 72(2), 101-106. 

  10. Kim, E. G. (2003). Factors influencing on the compliance of breast self-examination among women and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1. Klein, D. A., Burr, L., & Stone, W. J. (2005). Making physical activity stick: What can we learn from regular exercisers? ACSM's Health & Fitness Journal, 9(4), 19-25. 

  12. Krutli, D. (1991). Preventive health. The Queensland Nurse, 10(3), 9-11. 

  13. Kyrkjebo, J . M., & Hage, I. (2005). What we know and what they do: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f improvement knowledge in clinical practice. Nurse Education Today, 25(3), 167-175. 

  14. Lee, C. Y., Kim, H. S., Ko, I. S., & Ham, O. K. (2003). Evaluation of a community based program for breast self examination offered by the community health nurse practition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8), 1119-1126. 

  15. Lee, E. H., Kim, J. S., & Song, M. S. (2002).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Champion's Health Belief Model Scale with Korean women. Cancer Nursing, 25(5), 391-395. 

  16. Lee, T. (2007).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the early breast cancer examin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17. Lee, Y. W., Lee, E. H., Shin, K. B., & Song, M. S. (2004).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Korean-American women in their health beliefs related to breast cancer and the performance of breast self-examin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2), 307-314. 

  18. Ludwick, R. (1988). Breast examination in the older adult. Cancer Nursing, 11(2), 99-102. 

  19. McAllister, M., Moyle, W., & Iselin, G. (2006). Solution focused nursing: An evaluation of current practice. Nurse Education Today, 26(5), 439-437. 

  20. Muramoto, M. L., Campbell, J ., & Salazar, Z. (2003). Provider training and education in disease management: Current and innovative technology. Disease Management & Health Outcomes, 11(10), 633-645. 

  2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08). Korean Cancer Statistics. Retrieved August 30, 2009, from http://www.cancer.go.kr/cms/index.html. 

  22.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09). What is the national cancer early screening? Retrieved April 9, 2009, from https://ncs.ncc.re.kr/ncsapps/ncs_info/ncs_info.jsp. 

  23. Park, S. M., Hur, H. K., Park, M. J., & Song, H. Y. (2007). Effects of action oriented breast self-examination (BSE) education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1), 47-52. 

  24. Park, S. M., Song, H. Y., Hur, H. K., & Kim, G. (2009). Effects of a cognition-oriented breast self examination intervention for Korean women and their spouses. Public Health Nursing, 26(3), 259-268. 

  25. Shapiro, T. J., & Clark, P. M. (1995). Breast cancer: What the primary care provider needs to know. The Nurse Practitioner, 20(3), 36, 39-40, 42. 

  26. Skinner, C. S., Arfken, C. L., & Sykes, R. K. (1998). Knowledge, perceptions, and mammography stage of adoption among older urban women.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4(1), 54-63. 

  27. Suh, Y. O. (2003). The difference of women'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education after education for breast self-examin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5(1), 5-13. 

  28. Soyer, M. T., Ciceklioglu, M., & Ceber, E. (2007). Breast cancer awareness and practice of breast self examination among primary health care nurses: Influencing factors and effects of an in-service educatio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6(4), 707-715. 

  29. Thomas, B., Stamler, L., Lafreniere, K. D., & Delahunt, T. D. (2002). Breast health educational interventions: Changes in beliefs and practices of working women. AAOHN Journal: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50(10), 460-467. 

  30. Yang, N. Y., & Moon, S. Y. (2009). Knowledge, self-efficacy and compliance on breast self examination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1), 27-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