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라마즈 출산교육 참여자의 분만경험
Childbirth Experience of Participants in Lamaze Childbirth Education 원문보기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6 no.3, 2010년, pp.215 - 223  

여정희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the essential structure and the meanings of childbirth experiences among Korean women participated in Lamaze childbirth education. Methods: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to analyze data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six primiparous wo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라마즈 출산교육을 받은 정상분만 산모를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만경험의 의미를 탐색하여 긍정적 분만경험을 위한 구체적 간호전략을 마련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Giorgi 현상학적 방법을 통하여 라마즈 출산교육에 참여한 6명의 분만경험의 의미를 밝혀 긍정적 분만경험을 위한 구체적 간호전략을 마련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라마즈 출산교육 참여자가 경험한 분만현상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연구참여자의 살아있는 경험을 있는 그대로 파악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한 서술적 연구이다.
  • 후)분만 통증을">분만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무엇인가를 하려고 노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떤 결과들이 분만경험을 다양한 각도에서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대상자별 긍정적 분만경험을 위한 구체적 간호전략을 마련하는데 근거로 제시가 되었는가? 외국의 경우 긍정적 분만경험을 궁극적 목적으로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다양한 대상자로부터 분만경험을 이해하려 하고 있다(Dahlen, Barclay, & Homer, 2010; Hardin & Bucker, 2004; Yang, Peden-McAlpine, & Chen, 2007). Hardin과 Bucker (2004)는 의학적 처치를 받지 않은 산모를 대상으로 긍정적 분만경험의 의미를 탐색하였고, Dahlen등(2010)은 분만장소에 따른 초산모의 분만경험을 파악하였으며, Yang 등(2007)은 35세 이상된 초산모의 분만경험에 대한 구조를 파악하였다. 이 결과들은 분만경험을 다양한 각도에서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대상자별 긍정적 분만경험을 위한 구체적 간호전략을 마련하는데 근거로 제시되고 있다.
출산교육은 어떻게 출현되었는가? 출산교육은 미국에서 분만장소가 가정에서 병원으로 옮겨지면서 가족이나 친지들로부터의 부족한 지지를 보완하기 위해 출현되었고, 교육의 형태를 갖춘 시기는 1960년대이다(Walker, Visger, & Rossie, 2009). 초창기 출산교육의 목적은 자연분만, 분만통증완화에 대한 교육에 초점을 두었고, 오늘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출산교육의 모델들이 나타났다(Walker et al.
초창기 출산교육의 목적은 어디에 초점을 두었는가? 출산교육은 미국에서 분만장소가 가정에서 병원으로 옮겨지면서 가족이나 친지들로부터의 부족한 지지를 보완하기 위해 출현되었고, 교육의 형태를 갖춘 시기는 1960년대이다(Walker, Visger, & Rossie, 2009). 초창기 출산교육의 목적은 자연분만, 분만통증완화에 대한 교육에 초점을 두었고, 오늘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출산교육의 모델들이 나타났다(Walker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eech, B. A. L., & Phipps, B. (2008). Normal birth: Women's stories. In S. Downe & R. E. Davis-Floyd (Eds.) Normal Childbirth: Evidence and Debate (pp. 67-80).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2. Dahlen, H. G., Barclay, L. M., & Homer, C. S. E. (2010). The novice birthing: Theorising first-time mothers' experiences of birth at home and in hospital in Australia. Midwifery, 26 (1), 53-63. 

  3. Drummond, J., & Rickwood, D. (1997). Childbirth confidence: Validating the Childbirth Self-Efficacy Inventory(CBSEI) in an Australian sampl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6 (3), 613-622. 

  4. Giorgi, A. (2000). Concerning the application of phenomenology to caring research. Scandinavia Journal of Caring Science, 14 (1), 11-15. 

  5. Green, J. M., & Baston, H. A. (2003). Feeling in control during labour: Concepts, correlates and consequences. Birth, 30 (4), 235-247. 

  6. Hallgren, A., Kihlgren, M., Norberg, A., & Forslin, L. (1995). Women's perceptions of childbirth and childbirth education before and after education and birth. Midwifery, 11 (3), 130-137. 

  7. Hauck, Y., Fenwick, J., Downie, J., & Butt, J. (2007). The influence of childbirth expectations on Western Australian women's perceptions of their birth experience. Midwifery, 23 (3), 235-247. 

  8. Hardin, A. M., & Bucker, E. B. (2004). Characteristic of a positive experience for women who have unmedicated childbirth. Journal of Perinatal Education, 13 (4), 10-16. 

  9. Jeon, M. H., & Yoo, E. K. (2004). A study on primiparous husband's state anxiety, perceived support and the perception of childbirth experien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0 (1), 51-58. 

  10. Kang, M. J. (1995). A study of the childbirth experience at maternity clinic. Journal of Jeju Halla College, 19 (1), 7-20. 

  11. Kim, H. K. (1994). A study on the childbirth experience in primiparas. Unpublished master 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12. Kim, S. H., Kim, H. J., Cho, S. S., & Kim, O. J. (2002). The effects of childbirth education on labor pain, anxiety and perception of childbirth experience of primiparas. Clinical Nursing Research, 8 (1), 129-145. 

  13. Lamaze International (2007). Position Paper-Lamaze for the 21st Century. Retrieved from August 20, 2007, from http://www.lamaze.org/About Lamaze/Position Statements and politics. 

  14. Larkin, P. L., Begley, C. M., & Devane, D. (2009). Women's experiences of labour and birth: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Midwifery, 25 (2), e49-e59. 

  15. Lavender, T., Walkinshaw, S. A., & Walton, I. (1999). A prospective study of women's views of factors contributing to a positive birth experience. Midwifery, 15 (1), 40-46. 

  16. Lee, E. L., Lee, H. J., Oh, J. H., & Kim, S. A. (1998). The effect of a Lamaze program on labor pain in primiparas. Clinical Nursing Research, 4 (1), 59-84. 

  17. Lee, S. H., Gi, Y. E., Song, E. J., Shin, Y. H., Lee, K. H., & Lee, H. J. (1999). A study of childbirth experience of primiparas. Journal of Ewha Nursing Science, 32 (1), 7-20. 

  18. Marut, J. S., & Mercer, R. T. (1979). Comparison of primiparas perception of vaginal & Cesarean section. Nursing Research, 28 (5), 260-266. 

  19. Matthews, R., & Callister, L. C. (2004). Childbearing women's perceptions of nursing care that promotes dignity.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al and Neonatal Nursing, 33 (4), 498-507. 

  20. Murphy-Lawless, J. (1998). Reading birth and death: A history of obstetric thinking. Cork: Cork University Press. 

  21. Oh, J. H., Lee, H. J., Kim, Y. K., Min, J., & Park, K. O. (2006). The effect of childbirth education and family participated delivery in a Labor-Delivery-Recovery Room on primiparas' anxiety, labor pain and perception of childbirth experience. Clinical Nursing Research, 12 (2), 145-156. 

  22. Sandelowski, M. (1986).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 (1), 27-37. 

  23. Seguin, L., Therrien, R., Champagne, F., & Larouch, D. (1989). The components of women's satisfaction with maternity care. Birth, 16 (3), 109-113. 

  24. Song, M. S. (1992). A meaning of vaginal delivery perceived by primiparas. Unpublished master 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5. Walker, D. S., Visger, J. M., & Rossie, D. (2009). Contemporary childbirth education models.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54 (6), 469-476. 

  26. Yang, Y-O., Peden-McAlpine, C., & Chen, C-H. (2007). A qualitative study of the experiences of Taiwanese women having their first baby after the age of 35 years. Midwifery, 23 (4), 343-349. 

  27. Yeo, J. H. (1987). A study of the effects of Lamaze s preparation for childbirth on labor pain. Unpublished master 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