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위험 임부 배우자의 스트레스와 대처양상
Stress and Coping Style of High-risk Pregnant Women's Spouses 원문보기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6 no.3, 2010년, pp.234 - 244  

이주영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최의순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determined the level of stress and type of coping style of spouses with high-risk pregnant women. Methods: Subjects were 102 spouses with high-risk pregnant women at 6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January to August, 2009. The tools for this study were stress sc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위험 임부 배우자의 스트레스 정도와 대처 양상을 파악하여 배우자가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중재방안을 마련함으로써 고위험 임부 간호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고위험 임부 배우자의 스트레스와 대처양상을 파악함으로써 배우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효율적인 대처방법을 사용하도록 돕는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고위험 임부의 배우자가 지각하는 스트레스와 대처양상 및 이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부들은 임신 시부터 분만하는 순간까지 스트레스를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임부들은 임신 시부터 분만하는 순간까지 조산의 가능성, 신체적 증상, 진통과 분만, 체중증가, 건강하지 못한 아이의 분만 등에 대한 불안으로 스트레스를 겪게 된다(Yali & Lobel, 1999). 특히 고위험 임신으로 진단받은 임부들은 정상적인 임부들보다 훨씬 더 많은 불안, 우울, 자존감 저하, 가족기능의 저하와 함께(Hu, 2006; Maloni & Kutil, 2000) 불확실한 상황에 대해 스트레스를 받으며 이는 심리적 안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Giurgescu, Penckofer, Maurer, & Bryant, 2006).
고위험 임신은 어떠한 경우를 의미하는가? 고위험 임신은 조기진통, 자궁경부무력증, 조기양막파수, 임신성 고혈압과 감염, 출혈 등 임부와 태아의 건강과 생명에 위험이 초래되어 집중적인 입원치료가 필요한 경우이다(Queenan, Spong, & Lockwood, 2007). 최근 여성들의 활발한 경제활동 참여로 결혼연령이 늦어짐에 따른 고연령 임신은 고위험 임신 증가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Hanyang University & Management Center for Health Promotion, 2005).
고위험 임부들은 정상적인 임부들보다 어떠한 문제점에 노출되는가? 임부들은 임신 시부터 분만하는 순간까지 조산의 가능성, 신체적 증상, 진통과 분만, 체중증가, 건강하지 못한 아이의 분만 등에 대한 불안으로 스트레스를 겪게 된다(Yali & Lobel, 1999). 특히 고위험 임신으로 진단받은 임부들은 정상적인 임부들보다 훨씬 더 많은 불안, 우울, 자존감 저하, 가족기능의 저하와 함께(Hu, 2006; Maloni & Kutil, 2000) 불확실한 상황에 대해 스트레스를 받으며 이는 심리적 안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Giurgescu, Penckofer, Maurer, & Bryant,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uist, A., Morse, C. A., & Durkin, S. (2003). Men's adjustment to fatherhood: Implications for obstetric health care.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2, 172- 180. 

  2. Choi, M. K., & Cho, Y. R. (2005). The effects of life stress, perceived anxiety control, and coping style on anxiety symptoms i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4, 281-298. 

  3.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behavioral science. New York, NY: Academic press. 

  4. Giurgescu, C., Penckofer, S., Maurer, M. C., & Bryant, F. B. (2006). Impact of uncertainty, social support, and prenatal coping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risk pregnant women. Nursing Research, 55, 356-365. 

  5. Goh, J. I. (2008). Relationship with physical discomforts, emotional status, and nursing needs of the pregnant women with preterm lab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 Ang University, Seoul. 

  6. Hanyang University, & Management Center for Health Promotion (2005). A study on efficient management of high risk pregnant women in Korea. Seoul: Hanyang University. 

  7. Hu, Y. L. (2006). Study of stress and coping behaviors in families of hospitalized pregnant woman undergoing tocolysis. Hu Li Za Zhi, 53 (6), 45-52. 

  8. Kim, H. K. (2003). Stress and coping style of women with preterm lab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9. Kim, J. H. (1987). Relations of perceived stress, cognitive set, and coping behaviors to depression: A focus on freshmen's stress experienc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0. Kim, S. H. (2003). The stress and adaptation in spouses of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1. Lazarus, R.,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NY: Springer. 

  12. Lazarus, R. S. (1990). Theory-based stress measurement. Psychological Inquiry, 1, 3-13. 

  13.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 382-385. 

  14. Maloni, J. A., Brezinski-Tomasi, J. E., & Johnson, L. A. (2001). Antepartum bed rest: Effect upon the family.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0, 165- 173. 

  15. Maloni, J. A., & Kutil, R. M. (2000). Antepartum support group for women hospitalized on bed rest.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25, 204-210. 

  16. Maloni, J. A., & Ponder, M. B. (1997). Fathers' experience of their partners' antepartum bed rest. Image, 29, 183-188. 

  17. May, K. A. (1994). Impact of maternal activity restriction for preterm labor on the expectant father.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3, 246-251. 

  18. Moon, D. H. (2006). The comparative study with fatigue, anxiety and stress between full-term and preterm pregna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9. Moon, Y. S. (2007). Study on the stress and coping effort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 Journal of Korean Parent-Child Health, 10 , 147-157. 

  20. Myers, J. K., Lindenthal, J. J., & Peper, M. P. (1975). Life events, social integration and psychiatric symptomatolog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6, 421-427. 

  21. Park, A. S., & Lee, Y. H. (1992). Influence of the sex role characteristics and stress perception of married women on the coping style for stres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4, 69-80. 

  22. Park, H. S. (1993). A study on the degree of stress and coping for the family of psychopathic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University, Gwangju. 

  23. Park, G. H. (2007). The stress and coping skills of hospitalized family of alcohol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4. Ptacek, J. T., Smith, R. E., & Dodge, K. L. (1994). Gender differences in coping with stress: When stressor and appraisals do not differ.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0, 421-430. 

  25. Queenan, J., Spong, C., & Lockwood, C. (2007). Management of high-risk pregnancy: An evidence-based approach. Malden, MA: Blackwell Pub. 

  26. Sittner, B. J., DeFrain, J., & Hudson, D. B. (2005). Effects of high-risk pregnancies on families.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30, 121-126. 

  27. Teixeira, C., Figueiredo, B., Conde, A., Pacheco, A., & Costa, R. (2009). Anxiety and depression during pregnancy in women and me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19, 142- 148. 

  28. Thorman, K. E., & McLean, A. (2006). While you are waiting: A family-focused antepartum support program. The Journal of Perinatal and Neonatal Nursing, 20, 220-226. 

  29. Wineman, N. M., Durand, E. J., & McCulloch, B. J. (1994). Examination of the factor structure of the ways of coping questionnaire with clinical populations. Nursing Research, 43, 268-273. 

  30. Yali, A. M., & Lobel, M. (1999). Coping and distress in pregnancy: An investigation of medically high risk women. J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rics and Gynaecology, 20, 39-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