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모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고위험 임부의 건강관리 요구: 혼합적 연구방법 적용
Health-care Needs of High-risk Pregnant Women Hospitalized in Maternal-Fetal Intensive Care Units: A Mixed-methods Desig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4 no.2, 2018년, pp.196 - 208  

김현진 (삼성서울병원) ,  박호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health-care needs of high-risk pregnant women in maternal-fetal intensive care units (MFICU). Methods: A mixed-methods design was adopted. Data were collected from 78 high-risk pregnant women admitted to the MFICU. Qualitative data included ten participa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위험 임부란 무엇인가? 고위험 임부는 임부와 태아가 정상적인 경우보다 사망 또는 질병에 이환 될 확률이 높거나 분만 전후 합병증이 정상 임신보다 더 많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임부와 태아의 건강과 생명에 위험이 초래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1,2]. 고위험 임부는 임신 중에 겪는 문제의 위험을 줄이고 조기에 발견하기 위하여 전문적이면서 집중치료가 가능한 시설에서 입원 치료가 필요하다[1].
산전 교육의 유무에 따른 임부들의 특징은 무엇인가? 그러나 입원한 고위험 임부들은 침상안정으로 인해 활동에 제한을 받고, 입원으로 인해 출산 전 임부 교육에 참여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산전 교육을 받은 임부들은 자율적으로 의사결정하고, 산전 교육을 받지 못한 임부는 정보의 부족으로 의존적이 되며, 자율성이 부족하다[5]. 고위험 임부에게 산전 교육의 부재는 임신 유지 및 분만, 출산에 대해 두려움 및 불확실성, 불안을 나타나게 한다[6,7].
고위험 임부 대상 연구 활동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따라서 고위험 임부의 임신, 출산과 관련된 건강관리 요구조사의 필요성이 제시되며, 이를 위해서는 고위험 임부를 먼저 이해하고 그들의 요구를 파악해야 한다[10]. 입원 중인 고위험 임부는 연구대상자 중 취약 대상으로 접근이 쉽지 않고, 불안 및 불확실성 등의 다양한 감정의 변화로 소극적이고 폐쇄적인 성향이 있다. 그로 인해 고위험 임부 대상 연구 활동이 활발하지 못하며 의학적인 접근 및 신체적 간호에 연구가 머물러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im HY, Moon CS. Integrated care center for high risk pregnancy and neonate. An analysi s of process and problems in obstetrics.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2014;25(3):140-152. https://doi.org/https://doi.org/10.14734/kjp.2014.25.3.140 

  2. Bayrampour H, Heaman M, Duncan KA, Tough S. Advanced maternal age and risk perception: A qualitative study. BMC Pregnancy Childbirth. 2012;12:100. https://doi.org/10.1186/1471-2393-12-100 

  3. Hwang JY. Comprehensive care of high-risk pregnancy for reducing maternal mortality - a proposal to establish a Korean pregnancy and birth regi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5;19(2):163-171. https://doi.org/10.21896/jksmch.2015.19.2.163 

  4. Jeffers DF. Outreach childbirth education classes for low-income families: A strategy for program development. AWHO NN's Clinic Issues Perinatal and Women's Health Nursing. 1993;4(1):95-101. 

  5. Oliveira1 DdC, Mandu ENT. Women with high-risk pregnancy: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needs and care. Escola Anna Nery. 2015;19(1):93-101. https://doi.org/10.5935/1414-8145.20150013 

  6. Janighorban M, Allahdadian M, Mohamadi F, Dadkhah A, Eslami A. Need for consultation a nd training during bed rest in women with high risk pregnancy experience: a qualita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s. 2016;4(5):1705-1714. https://doi.org/10.22038/ijp.2016.6700 

  7. Maloni JA, Kutil RM. Antepartum support group for women hospitalized on bed rest.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2000;25(4):204-210. https://doi.org/10.1097/00005721-200007000-00008 

  8. Korean Academy of Nursing. The great encyclopedia of nursing science. Seoul: Korea Dictionary Researcher; 1995. 1051 p. 

  9. Hwang NM. Factors related to the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3;33(3):161-187. https://doi.org/10.15709/hswr.2013.33.3.161 

  10. Richter MS, Parkes C, Chaw-Kant J. Listening to the voices of hospitalized high-risk antepartum patient.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07;36(4):313-318. https://doi.org/10.1111/j.1552-6909.2007.00159.x 

  11. Kim SH, Chung HI. Stress, coping style and nursing needs for hospitalized pregnant women due to preterm labo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5;21(2):83-92. https://doi.org/10.4069/kjwhn.2015.21.2.83 

  12. Min HY, Jung GH. Advanced aged women's needs for pregnancy and childbirth car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5;21(4):332-341. https://doi.org/10.4069/kjwhn.2015.21.4.332 

  13. Maloni JA, Kane JH, Suen LJ, Wang KK. Dysphoria among high-risk pregnant hospitalized women on bed rest: a longitudinal study. Nursing Research. 2002;51(2):92-99. https://doi.org/10.1097/00006199-200203000-00005 

  14. Mercer RT, Ferketich S, May KS, DeJoseph I, Solid D. Further exploration of maternal and paternal fetal attachment.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988;11:83-95. https://doi.org/10.1002/nur.4770110204 

  15. Choi MS, Park YJ. The effects of relaxation therapy on anxiety and stress of pregnant women with preterm labo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0;16(4):336-347. https://doi.org/https://doi.org/10.4069/kjwhn.2010.16.4.336 

  16. Cochran WG. Sampling Techniques. 3rd ed.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1977. 448 p. 

  17. Waltz C, Strickland O, Lenz E. Measurement in nursing research. 2nd ed. Philadelphia: F. A. Davis Co; 1991. 540 p. 

  18. Guba EG, Lincoln YS.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3rd ed. San Francisco: Jossey-Bass; 1992. p. 27-33. 

  19. Hee BS, Won JG, Won KK. A survey on health care needs during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bearing of Vietnamese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ontent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s. 2013;7(11):303-311. https://doi.org/10.4156/jdcta.vol7.issue11.38 

  20. Harrison MJ, Kushner KE, Benzies K, Rempel G, Kimak C. Women's satisfaction with their involvement in health care decisions during a high-risk pregnancy. Birth. 2003;30(2):109-115. https://doi.org/10.1046/j.1523-536x.2003.00229.x 

  21. Brandon AR, Trivedi MH, Hynan LS, Miltenberger PD, Labat DB, Rifkin JB, et al. Prenata l depression in women hospitalized for obstetric risk.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08;69 (4):635-643. https://doi.org/10.4088/jcp.v69n0417 

  22. Kim SO. Postpartum depression and maternal identity of the high risk women [master's thesis]. Gangneung: Kwandong University;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