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위성 및 현장관측을 이용한 동해남부 연안용승 발생 전후의 해양환경 특성
Characteristics of Ocean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Coastal Upwelling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Using an In-situ and Multi-Satellite Data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16 no.4 = no.43, 2010년, pp.345 - 352  

김상우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고우진 (국립수산과학원 연구기획과) ,  김성수 (해양환경관리공단 해양보전부) ,  정희동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야마다게이꼬 (계명대학교 환경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하계 냉수대 발생과 관련하여 2007년 6월과 8월의 현장 및 위성에서 관측한 NOAA 해양표면수온과 SeaWiFS 해색 영상 및 QuikScat 자료를 이용하여 동해 남부해역의 수온과 클로로필 a 농도의 단기 변동과 바람을 살펴보았다. 특히, 동한난류 해역의 수온과 Chl-a의 공간적인 분포에 주목하였다. 현장관측 자료의 분석 결과, 울산 부근의 연안용승이 발생 이전인 6월의 클로로필 a 농도의 피크는 전체 조사 정점에서 50m 층에 보였고, 8월의 그 피크는 육지에 근접한 정점 4와 5에서는 10m 그리고 그 외 정점은 30m 층에 나타났지만 정점 5를 제외하고 그 농도는 6월보다 낮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클로로필 a 농도의 피크는 농도 차이는 있지만 8월이 6월보다 20-40m 얕은 층에 형성되었고, 이것은 남풍계열의 바람에 의한 연안용승으로 하부층의 영양염 공급 등과 관계하는 것 같다. 위성관측 수온과 클로로필 a 농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냉수가 발생한 곳에서 클로로필 a 농도는 고농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남풍계열의 바람에 의한 영향과 동한난류의 이안은 연안에서 발생한 냉수와 Chl-a 등을 외해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short-term variability of water temperature and chlorophyll a (Chl-a) derived from in-situ and satellite data (NOAA, Sea WiFS and QuikScat) in the upwelling region of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in June and August, 2007. Particularly we f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른 수온 및 Chl-a의 공간적인 분포 양상을 잘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하계 연안용승 발생에 따른 해양표면 냉수대의 공간적인 분포 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NOAA SST 영상에서 추출한 북위 36.5°N 기준의 동경 129-132°E 선상의 수온을 분석하였다(Fig. 10).
  • 본 연구에서는 하계 냉수대 발생과 관련하여 2007년 6월과 8 월의 현장 및 위성에서 관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연안용승이 거의 매년 발생되는 곳인 울산주변 해역의 해양환경 특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하계 연안용승 발생 시기에 주목을 하여 동해 남부해역에서 수온과 클로로필 a 농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하계 연안용승 발생 시기에 주목을 하여 동해 남부해역에서 수온과 클로로필 a 농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 하계 냉수대의 시공간 분포를 보기위하여 수평분포 단면의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서 수온의 확장과 축소에 대한 차이는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SST 영상을 기준으로 대체로 36.5°N을 경계로 동서 확장을 잘 볼 수 있기 때문에 선택하여 살펴보았다. NOAA SST 영상에서 추출한 수온의 공간적 분포를 보면, 11T4일까지는 동경 13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 H. S.(1974), On the cold water mass around the southeast coast of Korean Peninsula. J. Oceanogr. Soc. Korea, Vol. 9, pp. 11-18. 

  2. Furuya, K, Takahashi, and Nemoto. T.(1986), Summer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growth in a regional upwelling area off Hachijo Island, Japan. J. Exp. Mar. Biol. Ecol., Vol. 96, pp. 43-55. 

  3. Ishizaka, J., H. Fukushima, M Kishino, T. Saino, and M. Takahashi(1992), Phytoplankton pigment distributions in regional upwelling around the Izu Peninsula detected by coastal zone color scanner on May 1982. J. Oceanogra, Vol. 48, pp. 305-327. 

  4. Katoh, O.(1994), Structure of the Tsushima Current in the southwestern Japan Sea. J. Oceanogra., Vol. 50, pp. 317-338. 

  5. Kawabe, M.(1982), Branching of the Tsushima current in the Japan Sea I. Data analysis. J. Oceanogra., Vol 38, pp. 95-107. 

  6. Kim, S. W. and Y. Isoda(1998), Interannual variations of the surface mixed layer in the Tsushima Current region. Umi to Sora. Soc., Vol 74, pp. 11-12. 

  7. Kim, S. W., Y. Isoda, and T. Aztunaya(2003), Season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in the East Sea using a surface mixed layer ecosystem model. J. Korean Fish. Soc., Vol 36, pp. 178-186. 

  8. Kim, S. W., S. Saitoh and D. S. Kim(2002), Spatial distribution of pigment concentration around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region derived from satellite data. J. Korean Fish. Soc., Vol. 35, pp. 265-272. 

  9. Kim, S. W., S. Saitoh, J. Ishizaka, Y. Isoda and M. Kishino(2000),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phytoplankton pigment concentrations in the Japan Sea derived from CZCS images. J. Oceanogr., Vol. 56, pp. 527-538. 

  10. Kim, T. R., J. J. Park and S. W. Kim(2010), Spatial distribution of pigment concentration around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region derived from satellite data. Korean J. Remote Sensing, Vol. 26, pp. 100-114. 

  11. Lee, C. R., C. Park and C. H. Moon(2004), Appearance of cold water and distribution of zooplankton off Ulsan-Gampo area, eastern coastal area of Korea. J. Korean Fish. Soc., Vol 9, pp. 51-63. 

  12. Lee, D. K., J. I. Kwon and S. B. Hahn(1998), The wind effect on the cold water formation near Gampo-Ulgi coast. J. Korean Fish. Soc., Vol. 31, pp. 359-371. 

  13. Lee, J. C. and J. Y. Na(1985), Structure of upwelling off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J. Oceanogr. Soc. Korea, Vol. 20, pp. 6-19. 

  14. Lee, J. C.(1983), Variation of sea level and sea surface temperature associated with wind-induced upwelling i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in summer. J. Oceanogr. Soc. Korea, Vol. 18, pp. 149-160. 

  15. Lee, J. C., D. H. Kim and J. C. Kim(2003), Chservations of coastal upwelling at Ulsan in summer 1997. J. Oceanogr. Soc. Korea, Vol. 38, pp. 122-134. 

  16. Lee, K. B.(1978), Study on the coastal cold water near Ulsan. J. Oceanol., Soc. Korea, Vol. 13, pp. 5-10. 

  17. Seung, Y. H.(1974), A dynamic consideration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east coast of Korea in August. J. Oceanogr. Soc. Korea, Vol. 9, pp. 52-58. 

  18. Suda, K. and K. Hidaka(1932), The results of simultaneous oceanographical investigation in the Japan Sea in summer, 1929, J. Oceanogra, Vol. 3, pp. 291-375. 

  19. Suh, Y. S., L. H. Jang and J. D. Hwang(2001),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the cold waters occurring in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summer season. J. Korean Fish. Soc., Vol 34, pp. 435-4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