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섬진강 하구역의 동물플랑크톤 군집구조와 요각류 생산력 연구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Copepod Produc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16 no.4 = no.43, 2010년, pp.369 - 379  

윤석현 (국립수산과학원 수산해양종합정보과) ,  오광석 (국립수산과학원 수산해양종합정보과) ,  정미희 (국립수산과학원 수산해양종합정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성전강 하구역의 계절별 동풍플랑크톤 분포 특성과 주요 요각류 우점종의 생산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9년 5월부터 2010년 2월까지 계절별로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경사를 고려한 10개 정점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군집은 총 31개 분류군으로 구성되었으며, 계절별 평균 출현 개체수는 $4,151\;ind.{\cdot}m^{-3}$이다. 평수기 조사수역의 동물플랑크톤은 연안성 동물플랑크톤이 주로 출현하였으나, 풍수기에는 기수성 동물플랑크톤의 출현이 하구역 중 상류에서 집중되었다. 현장실험을 통해 얻어진 Acartia spp.와 Paracalanus parvus s.l.의 성장률은 수온과 염분 변화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점 요각류를 대상으로 계산된 섬진강 하구역의 연간 요각류 생산력은 $3.49\;g\;C{\cdot}m^{-2}{\cdot}yr^{-1}$로 비교적 높은 생산력을 보였으며, 이처럼 섬진강 하구역의 동물플랑크톤 생산력이 높은 것은 높은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바탕으로 다양한 염분 범위에 따른 연안종과 기수종의 다량 출현 때문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copepod production in Seomjin River estuary were investigated at 10 stations along the salinity gradients from May 2009 to February 2010. Total zooplankton taxa were identified to be 31 in the study area and seasonal average abundance of zooplankton was $4,15...

주제어

참고문헌 (27)

  1. 강영실, 박주석, 이삼석, 김학균, 이필용(1996), 진해만 수질 환경과 동물플랑크톤 군집 및 요각류 분포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제29권, 제4호, pp. 415-430. 

  2. 권기영, 이평강, 박철, 문창호, 박미옥(2001).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경사에 따른 동.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및 종조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제6권, pp. 93-102. 

  3. 김광수, 이종빈, 이관식, 강장원, 유형빈(2000), 섬진강 하류계의 요각류 군집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제33권, pp. 176-186. 

  4. 박철, 이평강, 양성렬(2002), 계절과 염분변화에 따른 섬진강 하구역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제7권, pp. 51-59. 

  5. 서해림, 서호영, 차성식 (1991), 만경 동진강 하구계의 동물플랑크톤 분포와 염분, 한국해양학회지, 제26권, pp. 181-192. 

  6. 서호영, 이인태, 윤양호, 최상덕, 이삼노(2002), 가막만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계절별 출현 양상, 한국환경생물학회지, 제22권, 제2호, pp. 118-129. 

  7. 한동훈, 홍성윤, 마채우(1995), 득량만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제28권, 제5호, pp. 517-532. 

  8. Clarke, G. L.(1946), Dynamics of production in a marine area, Ecol. Monagr., Vol. 16, pp. 321-335. 

  9. Huntley, M. E. and M. D. G. Lopez(1992), Temperature-dependent production of marine copepods : a global synthesis, Am. Nat., Vol. 140, pp. 201-242. 

  10. Kang, H. K., Y. J. Kang and C. Park(2007), Production of Acartia omorii (Copepoda: Calanoida) in Ilkwang Bay, Southeastern coast of Korea, J. Mar. Sci., Vol. 67, pp. 236-244. 

  11. Kim, S., M. S. Han, K. I. Yoo, K. Lee and Y.K. Choi(2002), Zooplankton and phytoplankton dynamics with the construction of river mouth dam in Kum River estuary, Korea. Korean J. Limnol., Vol. 35, pp. 1411-144. 

  12. Kimmerer, W. J. and A. D. Mckinnon(1987), Growth, mortality and secondary production of the copepod Acartia tranteri in Westernport Bay, Australia, Limnol. Oceanogr., Vol. 32, pp. 14-28. 

  13. Liang, D and S. Uye(1996a), Population dynamics and production of the planktonic copepods in a eutrophic inlet of the Inland Sea of Japan. II. Acartia omorii, Mar. Biol., Vol. 125, pp. 109-117. 

  14. Liang, D. and S. Uye(1996b), Population dynamics and production of the planktonic copepods in a eutrophic inlet of the Inland Sea of Japan. III. Paracalanus sp., Mar. Biol., Vol. 127, pp. 219-227. 

  15. Liang, D and S. Uye(1997), Seasonal reproduction of the egg-laying calanoid copepod Pseudodiaptomua marinus in a eutrophic inlet of the Inland Sea of Japan, Mar. Biol., Vol. 128, pp. 409-414. 

  16. Nielsen, T. G. and M. Sabatini(1996), Role of cyclopoid copcpods Oithona spp. in North Sea plankton communities, Mar. Ecol. Prog. Ser., Vol. 139, pp. 79-93. 

  17. Riley, G. A. (1967), The plankton of estuary, edited by Lauff, G.R., The Hom-Shafer Company, pp. 316-326. 

  18. Shim, J. H and K H Yun(1990), Seasonal variation and production of zooplankton in Chonsu Bay, Korea, J. Korean Soc. Oceanogr., Vol. 25, pp. 229-239. 

  19. Shin, K. S.(1997), Natural ingestion rate and grazing impact of calanoid copepod for phytoplankton in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Inha Univ., Ms. Thesis, p. 142. 

  20. UNESCO(1976), Zooplankton fixation and preservation, UNESCO Press, p. 350. 

  21. Uye, S. and K. Sano(1998), Seasonal variations in biomass, growth rate and production rate of the small cyclopoid copepod Oithona davisae in a temperate eutrophic inlet, Mar. Ecol. Prog. Ser., Vol. 163, pp. 37-44. 

  22. Yoo, K.I., R. J. Lim and C. I. Choi(1987), Ecological studies on zooplankton community in lake Yongsan, Korea, Korean J. Limnol., Vol. 20 pp. 61-72. 

  23. Yoo, K. I. and B. J. Lim(1991), Seasonal variation in the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of the Lower Han River system, Korean J. Limmol., Vol. 24, pp. 85-91. 

  24. Youn, S. H(2004),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and production of copepod Arurtia hongi in Kyeonggi Bay, Korea, Inha Univ., Ph.D thesis, p. 306. 

  25. Youn, S. H. and J. K. Choi(2003), Seasonal changes in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s off Incheon, J. Korean Soc. Oceanogr., Vol. 30, No.3, pp. 111-121. 

  26. Youn, S. H. and J. K. Choi(2007), Egg production of copepod Acartia hongi in Kyeonggi Bay, Korea, J. Mar. Sci., Vol. 67, pp. 217-224. 

  27. Youn, S. H. and J. K. Choi(2008), Distribution pattern of zooplankton in the Han River estuary with respect to tidal cycle, J. Ocean Sci., Vol. 43, No.3, pp. 135-1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