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백두대간 소백산국립공원의 산림식생유형 분류
Forest Vegetation Classification on Sobaeksan National Park in the Baekdudaegan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4 no.6, 2010년, pp.630 - 637  

윤주완 (경북산림생태과학원) ,  정성철 (국립산림과학원) ,  구교상 (국립산림과학원) ,  이중효 (국립환경과학원) ,  윤충원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주성현 (경북대학교 임학과)

초록

소백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2008년 5월부터 2008년 9월까지 109개소의 방형구를 설정하여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산림식생유형을 분류한 결과 최상위 단계에서 신갈나무군락군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신갈나무군락군은 소나무군락, 청시닥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 잣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소나무군락은 굴참나무군과 피나무군으로 세분되었고, 청시닥나무군락은 떡버들군과 사스래나무군으로 세분되었으며, 사스래나무군은 주목소군과 사스래나무전형소군이 하급식생단위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백산국립공원 일대의 산림식생유형은 1개 군락군, 5개 군락, 4개 군, 2개 소군으로 분류되어, 총 8개의 식생단위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식생단위 분포는 해발고와 지형에 있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forest vegetation structure of Sobaeksan National Park from May to October in 2008 using the methodology of the ZM school's phytosociological analysis.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 community groups such a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Quer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95) 소백산국립공원 탐방로 전체를 대상으로 산림식생에 대한 군락유형 및 구조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백산국립공원의 산림 군락유형을 밝히고 입지환경과 식생단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여 백두대간계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소백산국립공원 산림생태계의 효율적인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갈나무군락군은 어떻게 분류 되었는가? 소백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2008년 5월부터 2008년 9월까지 109개소의 방형구를 설정하여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산림식생유형을 분류한 결과 최상위 단계에서 신갈나무군락군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신갈나무군락군은 소나무군락, 청시닥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 잣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소나무군락은 굴참나무군과 피나무군으로 세분되었고, 청시닥나무군락은 떡버들군과 사스래나무군으로 세분되었으며, 사스래나무군은 주목소군과 사스래나무전형소군이 하급식생단위로 나타났다.
소백산국립공원 일대의 산림식생유형은 어떠한가? 소나무군락은 굴참나무군과 피나무군으로 세분되었고, 청시닥나무군락은 떡버들군과 사스래나무군으로 세분되었으며, 사스래나무군은 주목소군과 사스래나무전형소군이 하급식생단위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백산국립공원 일대의 산림식생유형은 1개 군락군, 5개 군락, 4개 군, 2개 소군으로 분류되어, 총 8개의 식생단위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식생단위 분포는 해발고와 지형에 있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굴참나무군은 무엇으로 이루어져있는가? 본 군은 상위 소나무군락에서 종군 3의 식별종인 굴참나무, 산거울, 고사리, 우산나물의 출현으로 분류된 군으로 총 조사구수는 27개소였으며, 평균출현종수는 24종으로 나타났다. 본 굴참나무군의 입지환경요인들 중에서 평균해발고는 915m(711m∼1195m), 평균경사도는 18°(2°∼35°), 평균암석노출도는 5%(0%∼70%)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der Vegetation 9. Auf, Springer-Verlag, Wien, N.Y., 865pp. 

  2. Ellenberg, H.(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gliede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In : Walter, H.(Hrsg.) Einfuhrung in die Phytologie IV. Stuttgart, 136pp. 

  3. Kim, G.T., J.S. Kim and G.C. Choo(1993)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Dosolbong Area in Sobaeksan. Kor. J. Env. Eco. 6(2): 127-1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im, J.H., W. Jo and B.H. Han(2008) Vegetation Structure of Ridges and Restoration Areas between the National Astronomy Observatory and Birobong in Sobae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2(5): 551-5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orea Forest Service(2001) A study on the preservation of Natural Ecosystem and Restoration of Disturbed Areas in Baekdudaegan. Korea Forest Service, 306pp. (in Korean) 

  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09) http://www.kma.go.kr/ (in Korean) 

  7. Korea National Park(2007) Natural resources research on Sobaek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677pp. (in Korean) 

  8. Korea National Park(2009) http://www.knps.or.kr/ (in Korean) 

  9. Lee, J.B. and J.I. Jeon(1987) Synecological study of the habitat of Taxus cuspidata on Mt. Sobaek. J. of Natural Sciences. 6: 203-2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K.J., G.T. Kim and K.B. Yim(1994) Management Proposal of Sobae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7(1): 58-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K.J., S.H. Choi, H.S. Cho(1993) The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Huibang Valley in Sobae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6(2): 113-126. 

  12. Lee, K.J., W. Jo and J.C. Jo(1993) Analysis on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Chundong Valley in Sobae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6(2): 134-1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Masaki, T., Y. Kominami and T. Nakashizuka(1994) Spatial and seasonal pattern of seed dissemination of Cornus controversa in a temperate forest. Ecology 75: 1903-1910. 

  14. Ministry of Environment(2001) Management plan to effective on Baekdudaegan(The first year). Ministry of Environment, 86pp. (in Korean) 

  15. Ministry of Environment(2002) Management plan to effective on Baekdudaegan(The second year). Ministry of Environment, 129pp. (in Korean) 

  16. Park, I.H., Y.C. Choi and G.S. Moon(1993)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the Dalbatjae-Birobong Ridge in Sobaeksan Area. Kor. J. Env. Eco. 6(2): 147-1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Song, J.S., S.D. Song, J.H. Park, B.B. Seo, H.S. Chung, K.S. Roh and I.S. Kim(1995)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Quercus mongolica Forest on Mt. Sobaek by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Techniques. Korean J. Env. Ecol. 18(1): 63-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Walter, H.(1979) Vegetation of the Earth and Ecological Systems of the Geo-biosphere, 2nded. Springer-verlag, N.Y., 274pp. 

  19. Yim, J.H.(1990) Studies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stands in Pinus koraiensis Ph. D. Thesis Korea Univ., Seoul. 95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0. Yim, K.B.(2005) Principle of Foresrty. Hyangmunsa, Seoul, 347pp. (in Korean) 

  21. Yim, K.B., G.T. Kim, K.J. Lee and J.S. Kim(1993) Studies of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Birobong Area in Sobaeksan -Taxus cuspidata forest-. Kor. J. Env. Eco. 6(2): 154-1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