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두대간 단목령-구룡령 구간의 산림식생유형 분류 및 종조성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Types and Species Composition in the Sector between Danmoknyeong and Guryongnyeong of Baekdudaegan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2 no.2, 2018년, pp.176 - 184  

김민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조현제 (경북대학교 임학과) ,  김준수 (자연과숲연구소) ,  배관호 (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  천정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물다양성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백두대간 일대인 단목령-구룡령 구간의 산림식생을 보다 더 생태적이고 체계적인 보전 및 관리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총 조사구 142개소에 대해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였고 식생조사 및 입지 환경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림식생의 유형은 1개 군락군, 2개 군락, 4개 군, 4개 소군의 단위체계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상재도급 V형에 해당하는 신갈나무와 당단풍나무는 대체적으로 향존중으로 나타났으며, 조사 지역의 산림생태계 관리 계획에 있어 중점관리대상종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종다양성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VT3형에서 우점종들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고 VT4형의 종들은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종들이 제일 풍부하게 나타났다. 또한, 단목령-구룡령 구간에서는 희귀식물이 다소 분포하였는데 멸종위기종인 벌깨풀과 위기종인 구실바위취, 취약종인 백작약, 두메대극, 금강초롱꽃, 어리병풍, 약관심종인 등칡, 도깨비부채, 참배암차즈기, 미치광이풀, 병풍쌈 등 총 24종의 희귀식물이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more ecological and systematic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ning of forest vegetations in the Baekdudaegan sector between Danmoknyeong and Guryongnyeong where biodiversity is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A vegetation survey using the Zurich-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2015)에 대한 식생구조 파악 연구가 수행된 바 있으나 방대한 범위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기에는 미흡하므로 구간 별로 생태적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축적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백두대간의 생태적・생물적 요소가 잘 나타나 있는 단목령-구룡령 구간에 산림 군락유형을 밝히고 그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며 향후 복원 및 관리 계획 수립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적 가치 측면에서 백두대간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렇듯 대간을 지표 분수계 중심으로 하여 여러 방향으로 뻗어나간 산줄기들은 지역을 구분 짓는 경계선의 역할과 인간의 생활권 형성 등 다양한 역할을 해왔다(Korea Forest Service, 2017). 또한, 중심 지맥에 뿌리를 둔다는 역사적 의미가 강한 편이며, 동고서저 라는 지리・지형적 위치 때문에 한반도 전체의 생태계권 생물 군집의 발달과 퇴행의 과정을 거치면서 생태학적으로 특산식물이나 희귀 및 멸종 위기종 등의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처로서 생태적 가치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Korea Forest Service, 2001).
백두대간은?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부터 뿌리가 시작되어 동쪽 해안선을 따라 남서쪽의 지리산까지 연결되어 우리 땅의 골간을 이루는 거대한 산줄기이다. 총 길이는 약 1,400km에 이르며 남한에서 산행할 수 있는 거리는 진부령에서 지리산까지 약 690km에 이른다.
백두대간의 길이는?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부터 뿌리가 시작되어 동쪽 해안선을 따라 남서쪽의 지리산까지 연결되어 우리 땅의 골간을 이루는 거대한 산줄기이다. 총 길이는 약 1,400km에 이르며 남한에서 산행할 수 있는 거리는 진부령에서 지리산까지 약 690km에 이른다. 백두대간은 1대간 1정간 13정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조선 후기 영조 때의 실학자인 신경준이 편찬한 산경표에서 산맥 연결을 대간과 정간 그리고 정맥으로 나타내어 따라 붙여진 이름이다(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3 Aufl. Springer, Wien, 865pp. 

  2. Bruce, M.C., B.G. James and L.U. Dean(2002) Analysis of Ecological Communities, MjM Software Design, Oregon. 

  3. Cho, H.J., B.C. Lee and J.H. Shin(2004) Forest vegetation structure and species composition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3(5): 331-3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 H.J., K.H. Bae, C.S. Lee and C.H. Lee(2004) Species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evergreen coniferous forest vegetation of the Subalpine A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3(5): 372-3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 H.S. and S.D. Lee(2013)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Haneoryoung-Daetjae Rideg, the Baekdudaegan Mountain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6): 733-7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7. Ellenberg, H.(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1.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in: Walter, H.(Hrsg.) Einfuhrung in die Phytologie IV, Stuttgart, 136pp. 

  8. Han, B.H., J.W. Choi, T.H. Noh and D.W. Kim(2015)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in Jungdaesa-Birobong Area,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9(5): 764-7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Hill, M.O.(1979)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 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ersity, Ithaca, New York, 99pp. 

  10. JeriLynn, E.P.(2016)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step-by-step, MjM Software Design, Oregon. 

  11. Kim, N.C., U.J. Nam and K.J. Shin(2008) A study on the slope ecologic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models of the Baekdu-Mountain Range.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1(1): 72-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orea Forest Service(2003) Study for the administration range setting and management measures established in Baekdudaegan, 270pp. (in Korean) 

  13. Korea Forest Service(2017) Forest terminology dictionary. http://www.forest.go.kr (in Korean) 

  14.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17) Climate information (1981-2010). http://www.kma.go.kr (in Korean) 

  15. Korea National Arboretum(2017) Korean Plant Names Index. http://www.nature.go.kr/index.jsp (in Korean) 

  16. Kwon, T.H., K.J. Yoo, S.H. Choi and D.P. Kim(2003) Approach for effective resource management in Baekdudaegan -A case study from Manbokdae to Siribong A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6(4): 498-5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amb, T.(1998) A study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a reclamation evaluation of disturbed subalpine sites in Glacier National Park. British Columbia. MS. Thesis: University of Alberta, 89pp. 

  18. Lee, D.K., W.K. Song, S.W. Jeon, H.C. Sung and D.Y. Son(2007) Deforestation patterns analysis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0(4): 41-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H.Y., J.H. Lee and C.W. Yun(2015) Characteristics of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for the forest vegetation of aspect area in Mt. Eungbo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J.H., H.J. Hwon, G.S. Jeon, N.C. Kim, C.S. Park and H.K. Song(2008) Native plants selection for ecological replantation in roadside cutting-slope of the Baekdu Range.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1(4): 67-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S.D., S.H. Hong and J.S. Kim(2012)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Daetjae(hill)-Baekbongryung(ridge) the Baekdudaegan Mountain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5): 719-7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Lee, T.B.(2003) Cloured Flora of Korean (I, II). Hyangmunsa, Seoul. (in Korean) 

  23. Microsoft(2010) Microsoft Excel 2010. Microsoft Coporation. 

  24. Ministry of Environment(2001) Management plan to effective on Baekdudaegan(The first year). 86pp. (in Korean) 

  25. Ministry of Environment(2002) Management plan to effective on Baekdudaegan(The second year). 129pp. (in Korean) 

  26.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2017) Traditional ecology of korea. nationalatlas.ngii.go.kr (in Korean) 

  27. Oh, J.H., Y.K. Kim and J,O. Kwon(2007) An analysis of landcover change and temporal landscape structure in the main ridge area of the Baekdudaegan Mountaion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3): 49-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Park, S.G., H.J. Cho and C.B. Lee(2009) Vegetation types & floristic composition of native conifer forests i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8(4): 464-4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Shannon, C.E. and W. Weaver(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rbana, IL :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30. Shin, J.H.(2004) Management area and management strategy of Baekdudaega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8(2): 197-2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Simpson, E.H.(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688. 

  32. Whittaker, R.H.(1965)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Science 147: 250-260. 

  33. Yun, C.W., H.J. Kim, B.C. Lee, J.H. Shin, H.M. Yang, and J.H. Lim (2011) Characteristic community type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South Korea.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100(3): 504-5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