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약재 추출액의 S. aureus KCCM12256과 V. parahaemolyticus KCCM11965에 대한 항균 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to S. aureus KCCM12256 and V. parahaemolyticus KCCM11965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0 no.6, 2010년, pp.881 - 887  

도은수 (중부대학교 한방제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식품 보존제의 개발과 이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31종의 한약재 추출물 중 S. aureus와 V. parahaemolyticus 등 식중독 유발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한약재를 선발하고, 선발된 한약재 추출물의 농도나 분획물의 항균 활성 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물과 메틸알콜을 용매로 추출하여 S. aureus와 V.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 활성을 조사한 결과, 지유, 황련마치현 등이 강한 항균 활성을 가지며, 물보다는 메틸알콜 추출액의 항균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유의 물 및 메틸알콜 추출물 모두 S. aureus 및 V.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강한 항균 활성이 있었다. 지유 추출물은 S. aureus에 대해서는 5% 희석 농도까지 항균 활성이 인정되었으나, V. parahaemolyticus에 대해서는 10% 희석 농도까지 항균 활성이 인정되었다. 지유 추출물의 EtOAc, BuOH 및 $H_2O$ 분획물은 S. aureus와 V.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있었으며, S. aureus에 대해서는 EtOAc 분획물은 5%, BuOH 분획물은 2% 그리고 $H_2O$ 분획물은 1% 희석 농도까지 항균 활성이 인정되었으며, V. parahaemolyticus에 대해서는 EtOAc 분획물은 1% 희석 농도, $H_2O$ 분획물은 2% 그리고 BuOH 분획물은 5% 희석 농도까지 항균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rude water and methanolic extracts of Sanguisorba officinalis Linne, Coptis chinensis Makino, and Portulaca oleracea Linne, among 31 kinds of medicinal plants, had strong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여러 가지의 식물성 한약재 추출물 중 V. para- haemolyticus와 S. aureus 등 식중독 유발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한약재를 선발하고, 선발된 한약재 추출물의 농도나 분획물의 항균 활성 등을 검토함으로써 천연 식품 보존제의 개발과 이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생물 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식품의 부패와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가? 음식 문화 발달과 식습관의 변화에 따라 식품 전반에 걸쳐 식중독균이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고, 미생물 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식품의 부패와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열처리, 냉장, 냉동, 보존제 첨가, 방사선 조사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가열처리나 냉장 및 냉동법은 제품 질의 저하, 저장 비용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식품 보존제는 거의 합성제로서 다량 사용할 경우 인체에 피해를 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식품 보존료로서 benzoic acid, sorbic acid 및 염소제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식품 보존료로서 benzoic acid, sorbic acid 및 염소제 등을 허용량 이하로 섭취할 경우 안전성은 입증되었지만, 지속적으로 섭취하거나 이를 병용한 식품을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체내 축적으로 인한 만성독성, 발암성, 돌연변이 유발 등의 문제가 있다고 보고(Shin et al 1994, Bae et al 2005, Chang et al 2002)되어 있으며, 합성 보존료를 사용한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피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식품 보존료로서 인공 합성 보존제의 사용 대신 전통적으로 사용해온 천연 항균 물질에는 어떤 것이 주종을 이루는가? 천연 항균 물질의 개발과 이용은 인공 합성 보존제의 사용으로 인한 부정적인 측면을 해소하고, 소비자 기피현상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저장성 향상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좋은 방안으로 알려져 있으며(Jung & Cho 2003), 전통적으로 사용해 온 소금, 식초 등 일반 식품 소재 외에도 동물, 식물, 미생물 등에서 유래한 것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Cho et al 2005). 지금까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여 천연 식물 소재들에 대한 항균 활성이 검토되어 왔으나(Shin & Shin 1995, Park & Kim 2006, Lim et al 2008, Park et al 2009), 천연 항균 물질을 식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관능적인 측면에서 해결되어야 할 문제가 남아있는 것도 있고, 항균력이 약하거나 항균 스펙트럼이 좁아 아직까지 천연 항균제로 개발되어 상품화 된 제품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고 있다(An BJ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n BJ (1999) The material of natural antibacterial agents for the food preservativ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 5-16. 

  2. An BJ, Lee SA, Son JH, Kwak JH, Park JM, Lee JY (2004) Cytotoxic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anguisorbae officinalis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41-145. 

  3. Bae JH, Jang HJ, Jung JI (2005) Antimicrobial effect of Rubia akane Nakai extract on food-borne patho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389-394. 

  4. Cha JY, Ha SE, Sim SM, Park JK, Chung YO, Kim HJ, Park NB (2008) Antimicrobial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korea endemic herb plants. J of Life Science 18: 228-233. 

  5. Chang DS, Shin DH, Chung DH, Kim CM, Lee IS (2002) Food hygiene. Jungmoongak, Seoul, pp 244-246. 

  6. Cho JS, Kim YH, Kwon MS (2005) Antibacterial effects of propolis extracts on pathogenic bacteri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 457-464. 

  7. Choi I, Chang HS (2009)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dicinal herbs against Salmonella gallinarum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Korean J Poult Sci 36: 231-238. 

  8. Choi MY, Rhim TJ (2008) Antimicrobial effect of Oregano (Origanum majorana L.) extract on food-borne pathogens. Korean J Plant Res 21: 352-356. 

  9. Choi OJ, Rhee HJ, Choi KH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Korean wild tea extract according to the degree of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48-157. 

  10. Ferrand C, Marc F, Fritsch P (2000) Chemical and toxicological studies of products resulting from sorbic acid and methylamine interaction in food conditions. Amino Acids 18: 251-263. 

  11. Han SH, Woo NRY, Lee SD, Kang MH (2006)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ndemic plants extracts in Kore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 49-55. 

  12. Jung JH, Cho SH (2003) Effect of steeping treatment in the natural antimicrobial agent solution on the quality control of processed tofu. Korean J Food Preserv 10: 41-46. 

  13. Lee JY, Min YK, Kim HY (2001) Isol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Schisandra chinensis Baillon and antimicrobial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89-394. 

  14. Lim JH, Kim BK, Park CE, Park KJ, Kim JC, Jeong JW, Jeong SW (2008)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ersimmon leaf tea and green t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797-804. 

  15. Nam SH, Yang MS (1997)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hrysanthemun boreale M. J Agri Chem Biotech 38: 82-91. 

  16. Oh DH, Ham SS, Park BK, Ahn C, Yu JY (1998) Antimicrobial activities of natural medicinal herbs on the food spoilage or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s (in Kor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957-963. 

  17. Park YS, Kim YH (2006) The effect of medicinal herb extract o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and antioxidant activit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199-206. 

  18. Park YS, Rhu HH, Lee MK, Kim HJ, Heo BG (2009) Maturation effects of Don tea on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microbial.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32-37. 

  19. Seo HS (2007) The experimental study on antibacterial potency of Coptidis rhizoma extract compare with quantity on Staphylococcus aureus. J Pharm 10: 47-52. 

  20. Shin DH, Han JS, Kim MS (1994)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Sinomenium acutum (Thunb.) Rehd. et Wils and Glycyrrhiza glabra L. var. glandulifera Regel et Zucc on Listeria monocytogen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27-632. 

  21. Shin MK, Shin YS (1995) Antimicrobial effect of water extract of green tea against Pediococcus pentosaceus and Lactobacillus brevis isolated 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5: 309-3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