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한식당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고찰 I : 한식당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국가별 인식 차이 연구
Comprehensive Study of Customers' Perceived Service Quality of Korean Restaurants I : Cross-Cultural Perception on Service Quality of Korean Restaurants by Nationality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0 no.6, 2010년, pp.987 - 996  

정효선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  윤혜현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customers' perception of the service quality of Korean restaurants and then compare differences in perceived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customer nationalit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2812 subjects, an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국내 한식당 방문 고객의 인지된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였으며, 방문 고객의 국적에 따른 서비스 품질의 인식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인식으로 구분된 군집별 일반적인 특성에는 어떠한 분포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포괄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결과를 통해 내국인과 외국인의 인지된 서비스 품질에 대한 태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 검증되었으며, 특히 내국인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외국인이 국내 한식당의 서비스 품질을 호의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외국인의 국적을 좀 더 세분화하여 국적별 서비스 품질의 인식 차이를 구체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표본의 국적을 중국권, 일본권, 영어권(미주 및 유럽), 동남아권, 한국권으로 세분화하여 국적에 따른 평균 차이를 검증한 결과, 모든 17개 측정 항목과 4개 요인에서 모두 유의한(p<0.
  • 본 연구에서는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국내 한식당 고객의 인지된 서비스 품질을 고찰함으로써, 한식당 방문 고객의 국적에 따른 서비스 품질의 인식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인식으로 구분된 군집별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분포 차이를 비교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 특히, 본 연구에서는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충분한 표본을 확보하기 위해 6개월의 시차를 두고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국내 한식당 고객의 인지된 서비스 품질에 대해 고찰한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국내 한식당 방문 고객의 인지된 서비스 품질에 대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메뉴 품질, 직원 서비스, 가격 및 가치, 물리적 환경을 포함한 총 4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누적 설명력은 73.303%로 조사되었고, 크론바하 알파값이 모두 0.8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할만한 수준이었다. 둘째, 표본의 국적에 따른 국내 한식당 방문 고객의 인지된 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균 차이 조사 결과, 내·외국인으로 구분된 독립변수에서는 11개 측정 항목과 4개 요인(직원 서비스, 물리적 환경, 가격 및 가치, 메뉴 품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모든 항목에서 내국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국인의 평균값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세부적인 표본의 국적을 중국, 일본, 영어권(미주 및 유럽), 동남아, 한국으로 구분하여 평균 차이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모든 17개 측정 항목과 4개 요인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모든 항목에서 일본인의 평균값이 가장 낮았고, 영어권 외국인의 평균값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 한식당 방문 고객의 인지된 서비스 품질 요인으로 군집 분석과 판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식당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비호의적 집단과, 호의적인 집단으로 각각 군집명을 부여하였다. 국내 한식당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군집별 표본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비호의적 집단에 있어서는 내국인이 외국인보다 상대적으로 분포가 많았으며, 그 중에서도 일본인과 한국인의 분포가 많았다. 반면, 호의적 집단에는 내국인보다 외국인의 분포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그 중에서도 중국인과 영어권 고객의 분포가 많았다. 외국인의 체류 목적에 있어서 비호의적 집단은 단기적인 목적으로 체류하는 관광객의 분포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호의적인 집단에는 장기적인 목적으로 국내에 체류하는 표본의 분포가 더욱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음식 문화 산업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거시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은? 우리나라는 최근 식품 산업을 미래의 新성장동력으로 구분하고, 한국 음식의 세계화를 위해 “세계인이 즐기는 우리 한식”이라는 비전과 각종 추진 전략을 발표하였으며(Park et al 2009b), 세계 각국에서도 국가적인 차원에서 자국의 음식을 전략적으로 세계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Lee et al 2008). 결과적으로 한 국가의 음식 문화 산업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거시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외국인이 인식하는 한국 음식에 대한 총체적인 속성뿐만 아니라, 소비 행동을 유발하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며(Kim et al 2010), 한식당을 최종적으로 이용하는 고객의 구체적인 세분화된 특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과거에는 고객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수동적인 역할로만 인식되어 왔으나, 현재에는 기업의 경영 방식에 있어서 고객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고, 나아가 고객으로 인해 새로운 제품이 창출되기도 하며, 결과적으로 서비스 품질에 대한 고객의 의견은 제품 혹은 서비스 전략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조직과의 호의적인 교환 관계를 형성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겠다(Babakus et al 2003).
한국 음식의 세계화를 위해 설정한 비전은? 우리나라는 최근 식품 산업을 미래의 新성장동력으로 구분하고, 한국 음식의 세계화를 위해 “세계인이 즐기는 우리 한식”이라는 비전과 각종 추진 전략을 발표하였으며(Park et al 2009b), 세계 각국에서도 국가적인 차원에서 자국의 음식을 전략적으로 세계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Lee et al 2008). 결과적으로 한 국가의 음식 문화 산업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거시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외국인이 인식하는 한국 음식에 대한 총체적인 속성뿐만 아니라, 소비 행동을 유발하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며(Kim et al 2010), 한식당을 최종적으로 이용하는 고객의 구체적인 세분화된 특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bakus E, Yavas U, Karatepe OM, Avci T (2003) The effect of management commitment to service quality on employee affective and performance outcomes. J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1: 272-286. 

  2. Gronroos C (1984) A service quality model and its marketing implication. European J Marketing 18: 36-44. 

  3. Jang JH, Seo SH (2009) Foreigners' attitudes toward Korean foods and dining out behavior of Korean cuisine restaurants based on their nationality and involvement. J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2: 141-160. 

  4. Jung HS, Song MK, Lee SL, Kang OG, Yoon HH (2009)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in Korean food restaurants up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roles of trust.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545-556. 

  5. Kim JK, Kim BG, Lee CS (2010) A study on categorizing Chinese consumer's cognition type on Korean food consumption by Q-methodology. Korean Trade Research 35: 135-156. 

  6. Kim KH, Kim KM (2010) A study on Chinese consumers' Korean food consumption behavior based on food-related lifestyle. Korean Food Marketing Association 27: 41-62. 

  7. Kim WG, Ng CYN, Kin YS (2009) Influence of institutional DINESERV on customer satisfaction, return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 J Hospitality Management 28: 10-17. 

  8. Kivela J, Inbakaran R, Reece J (1999) Consumer research in the restaurant environment, part 1: A conceptual model of dining satisfaction and return patronage. Int J Cont Hospitality Management 11: 205-222. 

  9. Kweon SY, Yoon SJ (2006)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Chinese at Seoul residence. Korean J Food Culture 21: 17-30. 

  10. Lee DH, Khoe KI, Sul WS (2007). How knowledge and preference on Korean food influence the purchasing demand of Chinese residents in Korea. Korean Food Marketing Association 24: 19-41. 

  11. Lee EJ, Kim TH, Kim DR (2008). Globalization of Korean cuisine through the Korean food items promotion: Focus on marketing strategy of Korean food items. Korean J Food Culture 23: 729-736. 

  12. Lee JY, Kim KJ, Park YH, Kim HR (2010) Preference and perception of Korean foods of foreign consumers by nationality. Korean J Food Culture 25: 9-16. 

  13. Lee SJ, Kim YM, Lee MA, Kim SA (2006) Consumer survey of foreigners and Koreans about Korean and Thai foods and restaura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122-130. 

  14. Lee SM, Chung HY (2009) A study on revisiting, satisfaction and Korean restaurant selection of foreigners living in the Korea. J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2: 293-313. 

  15. Lee YJ (2007) A study on the recogniti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of Japanese tourists based on traditional Korean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156-164. 

  16. Nunnally JC (1978)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NY. USA. 

  17. Oh JE, Han JY (2009) The influence of ga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factors affecting Korean food selection upon overall satisfaction of foreign tourists. Korean Tourism Research Association 23: 153-166. 

  18. Park MR, Kim YA, Yoon KS, Liu F, Byun GI (2009a) A research on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 in Shenyang region of China: Focused on Bibimbap. Th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5: 169-180. 

  19. Park SH, Lee MA, Cha SM, Kwock CK, Yang IS, Kim DH (2009b) Analysing foreign consumers' perceived brand image of Korean food.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655-662. 

  20. Sul WS, Lee DH, Khoe KI, Choo GH (2007) A study on major factors influenced on the preference of foreigner for Korean food. J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11: 713-734. 

  21. Won DY, Lee HS, Lee SB (2006) Study of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into the IPA of Chinese tourists on Korean food and service. Korean J Hospitality Administration 15: 169-182. 

  22. Youn NM, Lee SH, Yoon YS (2010)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Korean foods for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in Korea. J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3: 149-168. 

  23. Yuksel A, Yuksel F (2002) Measurement of tourist satisfaction with restaurant services: A segment-based approach. J Vacation Marketing 9: 52-6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