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e-러닝 학습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Practical Study on Learning Effects of University e-Learning 원문보기

Information Systems Review, v.12 no.3, 2010년, pp.19 - 48  

김준호 (아주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존의 e-러닝에 관한 개념적 연구 결과 및 실증적 연구들을 바탕으로 대학 e-러닝 교육의 최우선 목표라고 할 수 있는 학습자에게 학습의 흥미를 지속시키고, 학습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유형화하여, 이를 실종적으로 검정하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어떠한 요인이 e-러닝 학습효과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서 함께 분석하였다. 그리고 e-러닝 학습효과라는 결과 요인을 하나의 단일적으로 측정하였던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학습만족 및 학습전이, 그리고 학습추천 등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e러닝 학습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 요인을 크게 학습내용과 교수설계, 사용자 편의성 등 3개의 요인으로 유형화하여 설정하였다. 그리고 학습대용 요인은 학습주제와 목표, 지식정보, 일관성과 적절성 등 3개의 세부적 요인으로 구성하였고, 교수설계 요인은 흥미와 공감성, 상호작용, 내용제시, 설명전략 등 4개의 세부적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편의성 요인은 화면구성, 내용 및 진도확인 등 2개의 세부적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학습내용과 교수설계, 그리고 사용자 편의성 등 3개의 요인 모두 e-러닝 학습효과(학습만족, 학습전이, 학습추천)에 유의한 영향용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부적으로 e-러닝 학습만족에 있어서는 학습내용 요인의 학습주제와 목표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만족을 높이기 위해선 학습주제와 목표는 학습자를 기준으로 하여 설정해야 할 것이며, 평가가 가능한 학습목표로 선정해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습전이에 있어서는 교수설계 요인의 내용제시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전이를 높이기 위해선 강의내용의 상호관계와 제시순서가 학습을 촉진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구조화시켜 학습자에게 접근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학습추천에 있어서는 교수설계 요인의 흥미와 공감성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수자가 시의적절한 미디어를 잘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최대한 유도시키며, 적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학습자가 공감을 가질 수 있게 강의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characterizing various factors in order for learners to maintain their interests in learning and to maximize learning effects as the top priority purpose of university e-Learning, on the basis of results of conceptual studies on existing e-Learning and practical studies, and th...

주제어

참고문헌 (107)

  1. 강순정, 이동철, 김형길, "이러닝 강의시스템 품질이 학습자의 몰입과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8권, 제3호, 2008, pp. 211-237. 

  2. 고일상, 최수정, 정경호, "웹 기반 원격교육에서 학습자 몰입의 영향요인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6권, 제1호, 2006, pp. 83-108. 

  3. 곽덕훈, "고등교육 e-러닝 활성화 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대학정보화 심포지엄, 2005. 

  4. 곽소아, "기업 e-Learning 교육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5. 교육인적자원부, "새로운 교육혁신 e-러닝 학습 체제 구축(안)", 2004. 

  6. 구교정, "교원 정보화 원격교육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평생교육 학연구 제12권, 제1호, 2006, pp. 1-22. 

  7. 김광용, "인터넷을 이용한 효과적인 원격수업의 운영", 경영정보학연구, 제8권, 제1호, 1998, pp. 125-144. 

  8. 김기수, 한영춘, 이상현, "웹 기반 원격교육시스템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 제18권, 제3호, 2003, pp. 195-218. 

  9. 김명숙, "성공적인 e-learning 진화발전과정에 관한연구", 기독교교육정보, 제10권, 2005, pp. 383-408. 

  10. 김미량, "학습자 중심 웹 기반 교수-학습체제의 화면설계 전략", 교육공학연구, 제16권, 제4호, 2000, pp. 51-76. 

  11. 김미량, "e-Learning 대학원 과정에서의 학습자 몰입 및 강의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 제32권, 제1호, 2005, pp. 65-201. 

  12. 김병욱, "나도 할 수 있다. 통계분석 방법의 키포인트", 킴스정보전략연구소, 2004. 

  13. 김병학, "e-비지니스와 전자상거래", 청문각, 2003. 

  14. 김선경, "인터넷 교육방송의 교수설계 준거요인 탐색 및 분석: 국내 인터넷 교육방송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5. 김성균, 성행남, 정대율, "e-러닝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품질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16권, 제1호, 2007, pp. 1-230. 

  16. 김수욱, "대학 이러닝 경쟁력 확보를 위한 특성화.차별화 운영 전략에 관한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29권, 제1호, 2007, pp. 167-190. 

  17. 김유경, "e-러닝 학습법 상위 1%는 하고 있다", 미디어 윌, 2005. 

  18. 김유진, "웹 기반 가상연수의 교육효과에 영향을 주는 원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19. 김은정, 박양규, 박중재, "SPSS 통계분석 10", 서울: 21세기사, 2001. 

  20. 김진아, "사용성 타당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포털사이트 사용성 테스트를 중심으로",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1. 김재식, "기업 이러닝(e-Learnig) 시스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해관계자 관점에서의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22. 김형주, "노동부 인적자원개발 웹 사이트의 이용자 편의성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3. 김혜영, "원격대학의 웹 기반 강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평가", e-비즈니스연구, 제4권, 제1호, 2003, pp. 87-102. 

  24. 노영, "원격교육의 학습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웹 기반 원격 교육과 혼합(Blended) 원격교육의 만족도차이 비교를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제6권, 제2호, 2005, pp. 111-132. 

  25. 박준철, 이규상, "사이버대학 학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경제경영연구, 제2권, 제2호, 2004, pp. 225-239. 

  26. 박철, 서인석, "기업의 경영학 교육에서 e-Learning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GBS 학습모델을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제10권, 제1호, 2006, pp. 145-169. 

  27. 박혜정, "대학 교육에서 e-러닝의 학습효과와 관련된 변인들 간의 관계 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28. 백순근, 신효정, "위계서형모형을 활용한 대학생의 강의평가 분석: S대학교 교양강의를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제21권 제2호, 2008, pp. 1-24. 

  29. 백현기, "ARCS 모델을 적용한 이러닝(e-Leanring) 교육시스템의 학습동기와 학업 성취 관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6. 

  30. 서창갑, 이석용, "e-Learning 학습자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18권, 제3호, 2009, pp. 1-25. 

  31. 산업자원부, 한국전자거래진흥원, "2006 이러닝 산업실태조사", KIEC-173, 2007, pp. 1-230. 

  32. 서현주, 정예선, 김효근, "학습 공동체의 특성이 기업 e-Learning 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연구, 제5권, 제1호, 2004, pp. 19-38. 

  33. 송미섭, 지은림, "강의평가 설문지에 관한 문항 분석 연구", 교육평가연구, 제7권, 제2호, 1994, pp. 263-283. 

  34. 송영수, "디지털 시대의 인재양성 방향과 e-Learning 전략", 산업교육연구, 제7호, 2000, pp. 139-151. 

  35. 양영선, "가상교육의 운영 및 설계 요인과 효과성 연구 동향 분석", 교육정보방송연구, 제7권, 제3호, 2001, pp. 49-71. 

  36. 엄명용, 김태웅,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본 이러닝 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제35권, 제1호, 2006, pp. 51-80. 

  37. 유시정, 오종철, "e-Learning 사이트 특성과 기술 수용모형에 관한 연구: 학습자 스타일을 중심으로", e-비지니스연구, 제7권, 제2호, 2006, pp. 97-118. 

  38. 유영만, "수업체제설계: 탐구논리와 실천논리", 서울: 교육과학사, 1998. 

  39. 유영만, "e세상 e러닝: e모양 e꼴의 e러닝", 한언, 2002. 

  40. 유일, 황준하, "학습자의 원격교육 시스템 이용의 도와 성과에 대한 원격교육 자기효능감의 역할", 경영정보학연구, 제12권, 제3호, 2002, pp. 45-70. 

  41. 유일, 신선진, "교수자 요인과 매체풍부성이 원격교육 학습자의 이용의도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보시스템연구, 제15권, 제3호, 2006, pp. 35-53. 

  42. 윤여순, "기업에서의 성공적인 가상교육 구현을 위한 총체적 전략: LG Cyber Academy 사례를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제3권, 제3호, 1999, pp. 27-49. 

  43. 이도형, "조직내 교육훈련의 학습 및 전이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44. 이명근, 양유정, "웹기반교육에서의 강좌평가 도구개발", 교육공학연구, 제18권, 제1호, 2002, pp. 175-192. 

  45. 이명무, "e-Learning 사이트에서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반적인 만족, 신뢰, 몰입의 매개 끝에 효과를 중심으로", 지식연구, 제4권, 제1호, 2006, pp. 30-69. 

  46. 이윤배, 정민식, 조연희, "협동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학업성취도 분석 및 평가", 한국정보처리학회 추계 학술대회, 제14권, 제2호, 2007. 

  47. 이은진, "대학 이러닝에서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48. 이인숙, "대학 집합수업과 통합된 웹기반 온라인수업 학습자의 인식 및 학습유형 분석", 교육공학연구, 제15권, 제10호, 1999, pp. 197-218. 

  49. 이종기, "학습환경품질과 자기효능감이 e-Learning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50. 이지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예비교사를 위한 실제적", 서현사, 2008. 

  51. 이헌철, 구본희, "이러닝 특성이 학습자의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2009, pp. 201-209. 

  52. 임병노, "대학에서 사이버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센터의 역할과 전략", 한국스쿨넷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1권, 2003, pp. 183-193. 

  53. 임병노, 이준, "고등교육에서의 e-러닝 콘텐츠 실태와 시사점",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3권, 제2호, 2007, pp. 277-307. 

  54. 임정훈, 정인성, "웹 기반 가상수업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학습자의 인지적.심리적 변화", 교육공학연구, 제14권, 제3호, 1998, pp. 331-357. 

  55. 임철일, "상호작용적 웹 기반 수업설계를 위한 종합적 모형의 탐색", 교육공학연구, 제15권, 제1호, 1999, pp. 3-24. 

  56. 정인성, "웹기반 교육의 효과요인 분석", 서울: 교육과학사, 1999. 

  57. 정인성, 임병노, "전국 대학의 사이버교육 현황 분석", 전국대학 사이버교육기관협의회 연구보고서, 2010. 

  58. 정인성, 임철일, 최성희, 임정훈, "평생교육을 위한 웹 기반 학습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효과 분석", 교육공학연구, 제16권, 제1호, 2000, pp. 223-246. 

  59. 정인성, 최성희, "온라인 열린 원격교육의 효과 요인 분석", 교육학연구, 제37권, 제1호, 1999, pp. 369-388. 

  60. 정해용, 김상훈, "사이버교육 효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공공조직을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제11권, 제1호, 2002, pp. 51-74. 

  61. 주영주, 김나영, 조현국, "사이버대학에서의 강좌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및 양호도 검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2008a, pp. 109-120. 

  62. 주영주, 김은영, "사이버대학의 강좌평가을 위한 측정 도구개발", 교육과학연구, 제35권, 제2호, 2004, pp. 1-21. 

  63. 주영주, 조현국, 조일현, "기업 이러닝 강좌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및 양호도 검증", 기업교육연구, 제10권, 제2호, 2008b, pp. 1-20. 

  64. 주영주, 하영자, 박성희, 김나영, "공무원 사이버 강좌 만족도 평가를 위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과학연구, 제38권, 제3호, 2007, pp. 75-91. 

  65. 최광신, 노진덕, "사이버교육의 영향요인이 학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 및 교수와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보전략학회지, 제5권, 제2호, 2002, pp. 23-52. 

  66. 최미나, "동일 교수자의 동일 수업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 환경에 따른 학습효과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3권, 제4호, 2007, pp. 5-23. 

  67. 최수정, "대학의 교실수업에서 이러닝시스템 이용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사회적, 기술적, 개인적 특성", 정보시스템연구, 제17권, 제4호, 2008, pp. 233-260. 

  68.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디지털콘텐츠 산업백서 (2004-2005)", jinhan MandB, 2005. 

  69. Alvarez, L. C. G., "Seven Principles of Good Teaching Practice: Predictors of perceived learning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courses", PhD, THE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2005, pp. 3186855. 

  70. Baldwin, T. T. and J. K. Ford, "Transfer of Training: A 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Personnel Psychology, Vol.41, 1998, pp. 63-105. 

  71. Benigno, V. and G. Trentin, "The evaluation of online courses",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Vol.16, 2000, pp. 259-270. 

  72. Berge, Z. L., "Facilitating computer conferencing: Recommendations from the field", Educational Technology, Vol.15, No.1, 1995, pp. 22-30. 

  73. Bolliger, D. U. and T. Martindale, "Key Factors for Determining Student Satisfaction in Online Courses", International Journal on e-learning, Vol.3, No.1, 2004, pp. 61-67. 

  74. Brophy, J. E. and T. L. Good, "Teacher Behavior and Student Achievement",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New York: McMillan Inc, 1986, pp. 328-375. 

  75. Bruning, R. H., "Key Elements of Effective Teaching in the Direct Teaching Model", The Nebraska Consortium, Teacher Education Monograph,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Vol.1 No.ED-246-027, 1984. 

  76. Cheung, W., "The use of the World Wide Web for commercial purposes", Industrial Management and Data Systems, Vol.98, No.4, 1998, pp. 172-177. 

  77. Dewey, J., "Psychology and Social Practice", The Psychological Review, 1990. 

  78. Fosnot, C. T., "Media and Technology in Education: A constructivist View", ECTJ, Vol.32, No.4, 1984, pp. 195-205. 

  79. Gros, B. and M. Specter, "Evaluating automated instructional design systems: A complex problem",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34, No.5, 1994, p. 37. 

  80. Hair, J. F., R. E. Anderson, R. L. Tatham, and W. C. Black, "Multivariate Data Anaysis with Read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95. 

  81. Hall, B., "Marking sense of e-learning resources, content, tools and services", 2000, e-learning. [On-line] URL: www.elearningmag.com 

  82. Hammond, D., "Reality bytes", People Management Magazine, 2001. 

  83. Harroff, P. and T. Valentine, "Dimension of program quality",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20, No.1, 2006, pp. 7-22. 

  84. Hiltz, "The Virtual Classroom: Learning Without Limits Via Computer Networks",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1994, pp. 57-58. 

  85. Hlynka, D. and J. C. Belland, "Paradigms Regained: The Uses of llluminative, Semiotic, and Post-Modern Criticism As Modes of Inquiry in Educational Technology", Educational Technology Pubns: First Edition edition, 1991. 

  86. Horton, W., "Leading e-Learning", VA: ASTD, 2001. 

  87. Keegan, D., "The foundation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Croom Helm, 1986. 

  88. Kirshner, D. and J. A. Whitson, "Situated Cognition: Social, semiotic,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Mahwah, NJ: Erlbaum, 1997. 

  89. Leidner, D. E. and S. L. Jarvenpaa,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 Enhance Management School Education: A Theoretical View", MIS Quarterly, Vol.19, No.3, 1995, pp. 265-291. 

  90. Manatt, R. P., "Evaluating and Improving Teacher Performance",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ED-225-281, 1982. 

  91. Marsh, H. W. and L. A. Roche, "Making students' evaluation of teaching effectiveness effective: The critical issue of validity, bias, and utility", American Psychologist, Vol.52, 1997, pp. 1187-1197. 

  92. Mason, R. and M. Weller, "Factors affecting students' satisfaction on a web course",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16, No.2, 2000, pp. 173-200, URL: http://kn.open.ac.uk/public/document.cfm?docid256. 

  93. Miller, R. B., "Human Ease of Use Criteria and Their Tradeoff', IBM Technical Repaort, 1971. 

  94. Moore, M. G. and G. Kearsley, "Distance Education: A Systems View",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96. 

  95. Nielsen, J., "Usability Engineering", Morgan Kaufmann, 1994. 

  96. Piccoli, G., R. Ahmad, and B. Ives, "Web-Based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A Research Framework and a Preliminary Assessment of Effectiveness in Basic IT Skills Training", MIS Quarterly, Vol.25, No.4, 2001, pp. 401-426. 

  97. Reigeluth, C. M.,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003. 

  98. Robson, J., "evaluating on-line teaching", Open Learning, Vol. 15, No. 2, 2000, pp. 151-172. 

  99. Rosenberg, M. J., "e-Learning: Strategies for delivering knowledge in the digital age", NY: McGraw-Hill, 2001. 

  100. Ruttenbur, B. W., G. C. Spickler, and S. Lurie, "e-Learning: The Engine of the Knowledge Economy", Morgan Keegan, 2000. 

  101. Schonwetter, Dieter, J., R. A. Clifton, and R. P. Perry, "Content Familiarity: Differential Impact of Effective Teaching on Student Achievement Outcome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Vol.43, No.6, 2002, pp. 625-655. 

  102. Sharp, V., "Computer Education for Teachers", Chicago: Brown and Benchmark Publishers, 1996. 

  103. von Glasersfeld, E., "Cognition,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teaching", Synthese, Vol.80, No.1, 1989, pp. 121-140. 

  104. Vygotsky, L. 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105. Wang, Y. S., "Assessment of learner satisfaction with asynchronous electronic learning systems",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41, No.1, 2003, pp. 75-86. 

  106. Ware, B. L. and W. A. Linkugel, "They spoke in defense of themselves: On the criticism of apologia", Quarterly journal of Speech, Vol.59, 1973, pp. 273-283. 

  107. Willis, B. and J. Dickinson, "Distance education and the world wide web", In Khan, B. H.(Ed.), Web-Based Instruction, la. ed., Englewood Cliffs, New Jersey, USA,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Inc., Cap.9, 1997, pp. 81-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