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교육 학생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연구
Developing a Measurement Tool for Student Satisfaction in Higher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0, 2020년, pp.338 - 352  

민상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손애리 (삼육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장사랑 (삼육대학교 보건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 목적은 대학교육의 학생만족도 영역에 대한 질문을 개발함으로써 학생 만족의 필수 영역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 교육수요자 FGI, 교육측정 전문가 자문을 거쳐 개발된 56문항에 대해서 S대학교 재학생 54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조사를 실시하였다. 개발 도구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해 개발영역과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대학의 학생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교과 과정 및 수업, 학생 지도, 교육 환경, 학생 지원, 대학생활, 학교이미지, 행정서비스 총 7개 영역과 54개의 문항이 도출되었다.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mbach' α 이용한 결과, 전체문항에 대해서는 0.970, 요인별로는 0.70~0.93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GFI 0.830, CFI 0.916, TLI 0.910, RMR 0.047, RMSEA 0.047로 연구 모델의 적합도가 양호하였다. 집중타당성 검증 결과, 개발된 문항들이 도구의 구성 영역을 일관되게 설명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대학교육 학생만족도 측정도구는 학생만족도 측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d essential areas of student satisfaction by presenting questions concerning each educational area. The measurement tool of this study was develop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d exploratory and confi...

주제어

표/그림 (5)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령인구 감소는 어떠한 문제로 이어지게 되는가? 2019년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국내 학령인구(만 18세 인구)는 2018년 62만 명에서 2024년 43만 명으로 급속히 감소하다가 2040년 28만 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1]. 학령인구 감소는 대학입학지원자 감소로 이어지고, 상당수 대학에서 신입생·재학생 충원의 어려움을 겪으면서 심각한 대학 재정난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대학 운영의 경쟁력 확보와 대학의 ‘질 향상’을 꾀하고 있는 세계적인 추세[2]를 감안할 때, 국내 대학의 혁신적인 변화가 절실한 상황이다.
국내 학령인구의 추세는? 2019년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국내 학령인구(만 18세 인구)는 2018년 62만 명에서 2024년 43만 명으로 급속히 감소하다가 2040년 28만 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1]. 학령인구 감소는 대학입학지원자 감소로 이어지고, 상당수 대학에서 신입생·재학생 충원의 어려움을 겪으면서 심각한 대학 재정난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교육만족도를 구성하는 필수영역을 파악하고, 영역별로 세부문항을 제시하는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연구문제 1: 대학교육 학생만족도를 구성하는 필수영역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개발된 대학교육 학생만족도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은 적합한가?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19 

  2. W. R. Doyle, "State accountability policies and Boyer's domains of scholarship: Conflict or collaboration?," New Directions for Institutional Research, pp.97-113, 2006. 

  3. 권대봉, 오영재, 박행모, 손준종, 송선희, "대학생들의 교육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탐색적 논의," 교육학연구, 제40권, 제3호, pp.181-202, 2002. 

  4. J. Hemsley­Brown, A. Lowrie, T. Gruber, S. Fuss, R. Voss, and M. Glaser­Zikuda, "Examining student satisfaction with higher education serv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Sector Management, Vol.23, No.3, 2010. 

  5. P. Jarvis, "The changing university: Meeting a need and needing to change," Higher education quarterly, Vol.54, pp.43-67, 2000. 

  6. R. L. Oliver, "Processing of the satisfaction response in consumption: a suggested framework and research proposition," Journal of Consumer Satisfaction, Dissatisfaction and Complaining Behavior, Vol.2, No.1, pp.1-16, 1989. 

  7. R. A. Servier, "Those important things: What every college president need to know about marketing and student recruiting," College & University, Vol.71, No.4, pp.9-16, 1996. 

  8. A. Athiyaman,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impact of student satisfaction on attitude toward the university," Proceedings of The Academy Marketing Studies, Vol.6, No.2, pp.38-45, 2001. 

  9. R. M. Brown and T. W. Mazzarol, "The importance of institutional image to student satisfaction and loyalty within high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Vol.58, No.1, pp.81-95, 2009. 

  10. 한동욱, 강민채, "교육만족도 관점에서 학생의 학업중단 의도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63-71, 2016. 

  11. 강민채, "교육만족도를 통한 대학생들의 대학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4호, pp. 365-374, 2017. 

  12. L. R. Fabrigar, and D. T. Wegene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3. O. W. DeShields, A. Kara, and E. Kaynak, "Determinants of business student satisfaction and retention in higher education: applying Herzberg's two-factor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Management, Vol.19, No.2, pp.128-139, 2005. 

  14. J. Douglas and A. Douglas, "Evaluating teaching quality," Quality in Higher Education, Vol.12, No.1, pp.3-12, 2006. 

  15. M. Sigala, E. Christou, L. Petruzzellis, A. M. D'Uggento, and S. Romanazzi, "Student satisfaction and quality of service in Italian universities," Measuring Service Quality, Vol.16, No.4, pp.349-364, 2006. 

  16. L. M. Arpan, A. A. Raney, and S. Zivnuska, "A cognitive approach to understanding university image, Corporate Communications," An International Journal, Vol.8, No.2, pp.97-113, 2003. 

  17. D. W. Letcher, J. S. Neves, J. S, "Determinants of undergraduate business student satisfaction,"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Journal, Vol.6, No.1, pp.1-26, 2010 

  18. A. I. Moro-Edgioa and J. Panades, "An analysis of student satisfaction: Full-time vs. part-time studen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96, pp.363-378, 2010. 

  19. Institutional Research and Assessment, Noel-Levitz student satisfaction inventory and berea-specific student satisfaction survey structured items report, Institutional Research and Assessment, 2013. 

  20. National Satisfaction Survey, 2019, https://www.officeforstudents.org.uk/advice-a nd-guidance/student-information-and-data/n ational-student-survey-nss/ 

  21. 한은숙, "지방대학교육의 교육만족도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1권, pp.379-399, 2013. 

  22. B. Y. Grace and J. H. Kim,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quality of college life in the student satisfaction and student loyalty relationship," Applied Research in Quality of life, Vol.3, No.1, pp.1-21, 2008. 

  23. 신소영, 권성연, "대학 교육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과학연구, 제44권, 제3호, pp.107-132, 2013. 

  24. JoongAng Daily, "University Customer Satisfaction Index, UCSI,"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37385&clocolink $|$ article $|$ default. 

  25. 송홍준, "대학교육 만족도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556-567, 2016. 

  26. 삼육대학교, 삼육대학교 학생만족도 조사 결과 보고서, 2018. 

  27.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생만족도 조사 결과 보고서, 2018. http://www.sookmyung.ac.kr/sookmyungkr/2799/subview.do 

  28. 숭실대학교, 숭실대학교 학생만족도 조사 결과 보고서, 2017. http://pre.ssu.ac.kr/web/kor/intro_b_08 

  29. 조소영, 조규락, "신입생의 대학교육서비스 요구도와 대학생활적응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18호, pp.1073-1097, 2019. 

  30. L. Masserini, M. Bini, and M. Pratesi, "Do quality of services and institutional image impact students' satisfaction and loyalty in higher educ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146, pp. 91-115, 2019. 

  31. A. Aghaz, A. Hashemi, and M. S. Sharifi Atashgah, "Factors contributing to university image: the postgraduate students' points of view," Journal of marketing for higher education, Vol.25, No.1, pp.104-126, 2003. 

  32. P. F. Merenda, "A guide to the proper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conduct and reporting of research: Pitfalls to avoid,"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30, No.3, pp.156-164,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